
[더지엠뉴스]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중국의 전체 무역 규모가 14조1400억 위안에 달하며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중국 해관총서 발표에 따르면, 이 기간 수출은 8조3900억 위안으로 7.5% 늘었고, 수입은 5조7500억 위안으로 4.2% 감소했다.
4월 한 달 동안의 무역총액은 3조8400억 위안으로, 그중 수출은 2조2700억 위안으로 9.3% 증가했고, 수입은 1조5700억 위안으로 0.8% 증가해 전반적으로 회복 흐름을 보였다.
중국의 무역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 무역은 전체의 64%를 차지하며 9조500억 위안 규모로 0.6% 증가했다.
가공무역은 2조5400억 위안으로 6.6% 늘었고, 보세물류 방식의 무역도 2조400억 위안으로 7% 증가해 다양한 무역 방식에서 고른 성장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이 최대 교역국으로 부상했다.
총 무역액은 2조3800억 위안으로 9.2% 증가했고, 그 가운데 수출은 1조4800억 위안으로 12.6% 상승했다.
유럽연합과의 무역도 1.1% 증가한 1조7800억 위안에 달했으며, 미국과의 무역은 1조4400억 위안으로 2.1% 감소해 상반된 흐름을 나타냈다.
‘일대일로’ 관련 국가들과의 무역도 꾸준히 증가해 3.9% 증가한 7조2500억 위안을 기록했다.
기업 유형별로는 민영기업이 전체의 56.9%를 차지하며 무역 주체로 부상하고 있다.
민영기업의 수출은 5조4700억 위안으로 전체 수출의 65.1%를 차지했고, 수입은 2조5800억 위안으로 4.2% 증가했다.
반면 국유기업은 수입 감소폭이 커 전체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9%로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기계 및 전자제품 수출이 총 5조400억 위안으로 9.5% 증가하며 수출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이 중 자동 데이터 처리기기, 집적회로(IC), 자동차 수출이 두드러졌으며, 반면 섬유류를 포함한 노동집약형 제품은 소폭 감소했다.
수입에서는 철광석, 원유, 석탄 등 주요 원자재 수입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기계·전자제품의 수입은 5.7% 증가해 기술 관련 품목의 수요는 꾸준함을 보였다.
중국의 무역 구조는 동남아 및 유럽을 중심으로 한 지역 분산과 민영기업 중심의 수출 구조, 기계전자 중심의 품목 편중이 뚜렷해지는 흐름으로 요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