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미중 간 관세 전쟁 휴전에 따라 대미 추가관세율을 대폭 낮추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14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홈페이지를 통해, 이날 낮 12시 1분(중국시간 기준)부터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던 125%의 추가 관세율 중 91%포인트를 즉시 정지한다고 밝혔다.
또한 남은 34%포인트 가운데 24%포인트는 향후 90일간 시행을 유예하며, 최종적으로 적용 관세율은 10%로 낮아지게 된다.
이번 조치는 지난 12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 결과에 따른 것으로, 양국은 공동성명을 통해 상호 간 수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대부분 철폐하고 일부는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중국 측의 발표에 따르면 이번 관세 인하는 중미 양국 생산자 및 소비자의 기대에 부합하며, 양국 경제 교류는 물론 세계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반면 미국은 합성마약 펜타닐 관련 품목에 대해 올해 2월과 3월 각각 10%씩 관세를 부과한 조치를 유지하고 있어, 현재 기준 대중국 추가관세율은 30%가 된다.
중국은 비관세 보복 조치의 철회 방침도 밝혔다.
중국중앙TV(CCTV)는 "지난 4월 2일 이후 미국의 관세 인상에 대응해 취해졌던 비관세 반격 조치는 중국 내 관련 부처가 조만간 중단 또는 취소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발표로 미중 양국 간 통상 긴장이 일정 부분 완화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추가 합의 이행 여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펑리후이(冯力辉, Feng Lihui)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 대변인은 이번 조치가 “양국 지도자의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결과”라고 설명하며, 향후 추가적인 협조 가능성도 언급했다.
한편, 중국 상무부와 외교부는 향후 발표되는 미국 측의 후속 조치를 면밀히 검토할 방침이다.
미중 양국 간 통상 현안은 글로벌 공급망과 금융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사안으로 평가되며, 이번 합의는 여러 차례의 실무 교섭과 고위급 대화를 통해 도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기준, 관세 조정 관련 공고는 국무원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전면 공개됐으며, 해당 조치는 이미 실무적으로 각 세관에 전달된 상태다.
관세율 조정과 함께 중국은 대미 수입품 통관 절차 및 검역 조치 등에서의 비관세 장벽도 완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향후 양국 간 실질적 교역 회복 여부가 주목된다.
중국의 이번 발표는 대외 개방 확대와 안정적 통상 환경 조성을 위한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무역정책 조율 가능성도 배제되지 않고 있다.
미국 측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관세정책을 조정 중이며, 곧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주석과 통화를 진행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현재까지 미국산 제품 중 일부 품목에 대한 최종 관세율 조정을 남겨둔 상태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 일정은 별도로 발표될 예정이다.
중미 간 통상 합의는 세계 시장의 안정을 위한 주요한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실질적인 정책 이행이 향후 신뢰 회복의 핵심으로 지목되고 있다.
중국 관세세칙위원회는 이번 합의가 양국 이익을 조화롭게 반영한 결과라며, 관련 업계의 이해관계 조정을 위한 협의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상무부는 14일 오전부터 관련 문의에 대한 공식 대응을 시작했으며, 향후 양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무 설명회도 예정되어 있다.
미국 재무부와 무역대표부(USTR) 역시 14일 오전 중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관세 조정에 대한 미국 측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 조치와 관련한 모든 이행 과정은 중미 양국이 별도로 구성한 통상 합의 이행 위원회를 통해 감시되며, 위반 시에는 자동적으로 보완 조치가 적용된다.
중국 관세정책의 이번 변화는 시진핑 주석이 강조해온 ‘호혜 상생의 개방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되며, 향후 다자주의 무역체제 강화 움직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