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중국이 주도하는 최초의 정부 간 국제 분쟁 조정기구가 공식 출범을 앞두고 있다.
홍콩에서 열리는 다자간 조약 서명식에는 60여 개국과 유엔 등 주요 국제기구 대표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2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王毅) 외교부장은 오는 30일 홍콩에서 열리는 ‘국제조정원 설립에 관한 조약’ 서명식에 참석할 계획이다.
이번 조약은 2022년 중국이 약 20개국과 함께 제안한 국제조정원 설립 구상이 실제 제도화되는 단계로,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유럽의 여러 국가와 함께 유엔을 비롯한 약 20개 국제기구가 참여한다.
서명식 당일 오후에는 ‘국가 간 분쟁 중재’와 ‘국제 투자 및 상사 분쟁 조정’을 주제로 한 국제조정 포럼도 개최될 예정이다.
국제조정원은 중국 홍콩에 본부를 두며, 이는 세계 최초로 정부 간 차원에서 국제 분쟁을 오직 조정(mediation) 방식으로 해결하도록 설계된 법적 기구다.
중국 외교부는 조정이 유엔헌장이 규정한 평화적 분쟁 해결 방식 중 하나이며, 당사자 간의 자율성과 절차의 신속성, 비용 효율성, 실행 가능성 측면에서 독특한 강점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조정은 동방 전통의 ‘화합’ 정신을 반영하고 있으며, 국제조정원은 이러한 방식으로 유엔헌장의 정신과 원칙을 구현하는 새로운 국제 메커니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제조정원이 정식 출범하면, 글로벌 법치 시스템을 보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게 중국 측의 설명이다.
외교부는 “각국이 평화, 안정, 발전이라는 공동 관심을 갖고 있으며, 국제조정원은 그러한 요구를 반영한 시대의 산물”이라며, “법계가 다른 국가 간의 법률 전통을 융합하고, 다양한 분쟁 해결 수단을 보완하는 기능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국제조정원 설립이 기존의 국제 분쟁 해결 구조와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더욱 많은 국가가 이 제도에 동참하길 희망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정례브리핑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질문도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날 통화를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 및 협상 개시를 논의했다는 외신 보도에 대해, 중국은 모든 평화 노력에 대해 일관된 지지 입장을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직접 대화 및 정치적 해법을 일관되게 지지하며, 각 당사국이 수용 가능한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구속력 있는 평화합의가 이뤄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지는 질의에서는 중국의 북두(北斗, Beidou) 위성 시스템에 대한 국제적 주목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5월 18일 발표된 ‘2025 중국 위성항법 및 위치서비스 산업 발전 백서’에 따르면, 북두 시스템은 최근 수년 간 빠르게 발전해왔다. 외국 언론에서는 미국 GPS 시스템의 글로벌 우위에 도전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북두 시스템은 중국이 국제사회에 기여한 과학기술 성과이며, 결코 누구를 겨냥한 것도, 도전하려는 것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의 북두는 세계의 북두”라며, 앞으로도 개방성과 협력을 원칙으로 더 많은 국가와 함께 위성항법 기술을 인류 복지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활용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한편, ‘샹그릴라 대화’와 관련된 질문도 제기됐다.
일부 외신이 “중국 국방부 장관이 오는 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샹그릴라 대화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는 익명의 보도를 인용해 질문하자, 외교부는 “해당 사안은 주관 부처에 문의하라”고 응답했다.
또한 에페(埃菲)통신 기자가 “향후 우크라이나 평화회담이 바티칸 등에서 열릴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이 참여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자, 외교부는 “중국은 당사국의 의사에 따라 국제사회와 함께 건설적인 역할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국제조정원 설립을 계기로 유엔 헌장을 근간으로 하는 다자간 분쟁 해결 메커니즘을 제도화하며, 평화·안정·법치에 대한 글로벌 논의에서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