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7.6℃구름많음
  • 강릉 20.3℃맑음
  • 서울 18.2℃구름많음
  • 대전 18.5℃맑음
  • 대구 19.0℃맑음
  • 울산 20.0℃맑음
  • 광주 18.4℃맑음
  • 부산 19.1℃맑음
  • 고창 18.4℃맑음
  • 제주 21.3℃맑음
  • 강화 15.3℃구름많음
  • 보은 17.3℃구름조금
  • 금산 18.1℃맑음
  • 강진군 18.7℃맑음
  • 경주시 20.7℃구름조금
  • 거제 19.7℃맑음
기상청 제공

2025.05.28 (수)

중국 '항만 경제' 해항도시의 발전 현황와 순위 [시장 인사이트 22-2]

더지엠뉴스와 KIC중국 공동


 

[더지엠뉴스-thegmnews] 해항도시 항만의 경제 발전 규모는 경제 가치 및 GDP 비중에 따라 여섯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화면 캡처 2024-10-04 145904.jpg

 


지역 항만 경제 발전 현황

산업 유형 관점에서 보면 북방은 전통 산업, 남방은 신산업 중심의 특징을 보인다.

 

1) 랴오닝(辽宁) 연해 지역 항만 경제 발전 현황

 

2023년 랴오닝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가치는 2,179 억 위안에 달해 중국 해항도시 항만 국내총새산(GDP)3.5%를 차지했고, 랴오닝 연해 지역의 GDP에 대한 기여도는 14.8%에 달했다.

 

각 해항도시별 항만 경제 발전 규모를 보면 다롄(大连) 항만의 경제 가치는 기타 도시보다 월등히 높았고, 잉커우(营口), 단둥(丹东), 진저우(锦州), 판진(盘锦), 후루다오(葫芦岛)는 상대

적으로 낮았다.

 

2022년과 비교했을 때 다롄의 항만 경제는 빠르게 성장했고, 판진의 항만 경제는 소폭 하락했다.

 

랴오닝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유형은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 화학 원료 및 화학 제품 제조업, 농업, 도매 및 소매업 등이 주를 이루며, 전통적인 산업 위주의 발전 모델을 기반으로 자원 유형의 제품 가공, 장비 제조 등 분야에 집중돼 있다.

 

2) 진지(津冀, 톈진-허베이) 연해 지역 항만 경제 발전 현황

 

2023년 텐진-허베이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가치는 4075억 위안에 달해 중국 해항도시 항만 GDP6.6%를 차지했고, 진지 연해 지역의 GDP에 대한 기여도는 12.6%에 달했다.

 

각 해항도시별 항만 경제 발전 규모를 보면, 탕산(唐山), 톈진(天津) 항만의 경제 가치는 기타 도시보다 월등히 높아 전제 지역의 88%이상을 차지하였고, 창저우(沧州), 친황다오(秦皇岛)는 상대적으로 경제 가치가 낮았다.

 

톈진·허베이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유형은 철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 산업, 교통 운송 창고 및 우편산업,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 도매 및 소매업, 화학 원료 및 화학 제품 제조업 등이 주를 이룬다.

 

3) 산둥(山东) 연해 지역 항만 경제 발전 현황

2023년 산둥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가치는 5714억 위안에 달해 중국 해항도시 항만 GDP9.3%를 차지했고, 산둥 연해 지역의 GDP에 대한 기여도는 12.3%에 달했다.

 

각 해항도시별 항만 경제 발전 규모를 보면, 칭다오(青岛), 옌타이(烟台) 항만의 경제 가치는 기타 도시보다 월등히 높았고, 빈저우(滨州), 르자오(日照), 웨이하이(威海)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2022년과 비교했을 때 칭다오(青岛)와 둥잉(东营)의 항만 경제는 빠르게 성장했다.

 

산둥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유형은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 화학 원료 및 화학 제품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교통 운송 창고 및 우편산업, 농업, 비철금속 제련 및 압연가공산업, 건축업, 철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 산업, 농업 및 부업 식품 가공 산업 등이 주를 이뤘다.

 

4) 장강삼각주(长三角)1 연해 지역 항만 경제 발전 현황

 

2023년 장강삼각주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가치는 28천억 위안에 달해 중국 해항도시 항만 GDP44.7%를 차지했고, 장강삼각주 연해 지역의 GDP에 대한 기여도는 13.9%에 달했다.

 

각 해항도시별 항만 경제 발전 규모를 보면, 상하이 항만의 경제 가치는 기타 도시보다 월등히 높아 지역 전체의 약 4분의 1을 차지했다.

 

2022년과 비교했을 때, 상하이의 항만 경제는 빠르게 성장했고 닝보(宁波), 원저우(温州), 우시(无锡), 창저우(常州), 롄윈강(连云港), 타이저우(台州) 등 도시의 항만 경제도 빠르게 성장했다.

 

장강삼각주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유형은 도매 및 소매업, 화학 원료 및 화학 제품 제조업,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 철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 산업, 전력열력 생산 및 공급업, 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기기 제조업, 교통 운송 창고 및 우편산업, 전기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자동차 제조업 및 건축업 등이 주를 이룬다.

 

화면 캡처 2024-10-04 145923.jpg

화면 캡처 2024-10-04 145944.jpg

5) 푸젠(福建) 연해 지역 항만 경제 발전 현황

 

2023년 푸젠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가치는 7116억 위안에 달해 중국 해항도시 항만 GDP11.5%를 차지하였고, 푸젠 연해 지역의 GDP에 대한 기여도는 15.5%에 달했다.

 

각 해항도시별 항만 경제 발전 규모를 보면, 취안저우(泉州), 푸저우(福州), 샤먼(厦门) 항만의 경제 가치는 기타 도시보다 월등히 높았다.

 

푸젠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유형은 도매 및 소매업, 교통 운송 창고 및 우편산업, 전력·열력 생산 및 공급업, 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기기 제조업, 농업, 철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 산업, 부동산업, 비금속 광물제품 산업, 전기 기계 및 장비 제조업, 가죽, 모피, 깃털 및 제품과 신발 제조업 등이 주를 이루며, 집적회로, 바이오 의학, 신소재 등 신흥 산업도 발전하고 있다.

 

6) 광둥(广东) 연해 지역 항만 경제 발전 현황

 

2023년 광둥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가치는 1 4000억 위안 달해 중국 해항도시 항만 GDP22.3%를 차지하였고, 광둥 연해 지역의 GDP에 대한 기여도는 12.3%에 달했다.

 

각 해항도시별 항만 경제 발전 규모를 보면, 광저우(广州), 선전(深圳), 둥관(东莞), 후이저우(惠州) 항만의 경제 가치는 기타 도시보다 월등히 높았다.

 

광둥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유형은 도매 및 소매업, 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기기 제조업, 전력·열력 생산 및 공급업,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 농업, 교통 운송 창고 및 우편산업, 전기 기계 및 장비 제조업, 화학 원료 및 화학 제품 제조업, 자동차 제조업 및 건축업 등이 주를 이룬다.

 

7) 시난(西南)1 연해 지역 항만 경제 발전 현황

 

2023년 시난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가치는 1285억 위안 달해 중국 해항도시 항만 GDP2.1%를 차지했고, 시난 연해 지역의 GDP에 대한 기여도는 14.1%에 달했다.

 

시난 연해 지역의 항만 경제 유형은 도매 및 소매업, 교통 운송 창고 및 우편산업,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 철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 산업전력·열력 생산 및 공급업 등이 주를 이루며, 전통적인 산업 및 서비스 산업 위주의 발전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관련기사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통찰·견해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