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우한은 후베이성(湖北省)의 성도로 창강(长江)과 창장의 최대 지류 한수이(汉水)로 충적된 장한평원(江汉平原)의 동쪽, 중국 중부지역의 경제‧정치‧교통‧교육의 중심지다.
또 중국 내륙지역 중 규모가 가장 큰 항운으로 알려져 있다. 2022년 12월 기준 우한시 상주인구 1374만여명으로 중국 전체 도시 중 인구 규모 8위로 기록됐다.
우한시는 13개 행정구로 이루어져 있다. 우창(武昌), 한커우(汉口), 한양(汉口)이 우한시의 중심부를 이루는데 강을 사이에 두고 서 있다는 의미로 세 지역은 ‘우한싼전(武汉三镇)’으로 불린다.
◼7개 중점 도시 건설 지역
2020년 5월 우한시 정부(武汉市政府)는 도시 건설 중요 프로젝트에 관한 업무 회의에서 7개의 중심 지역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관련된 지역은 장안구(江岸区), 장한구(江汉区), 차오커우구(硚口区), 한양구(汉阳区), 우창구(武昌区), 훙산구(洪山区), 칭산구(青山区)이다.
1) 장안구(江岸区)
장안구는 북쪽으로는 루거우차오루(卢沟桥路)부터 남쪽으로는 장한루(江汉路)까지, 서쪽으로는징한다다오(京汉大道)부터 동쪽으로는 옌장다다오(沿江大道)까지에 포함한다.
장안구는 중국공산당 우한시위원회, 우한시 인민정부, 우한시 인민정부, 우한시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우한시 시정협위원회가 위치한 우한의 중심 도시 중 하나이며 2022년 말 현재 장안구의 상주인구는 105만1100명에 달했다.
2022년 장안구의 지역 총생산액은 1528억9400만 위안이며 그 중 2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287억4200만 위안, 3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1241억5200만 위안을 기록했다.
2022년 말까지 장안구 시장 주체는 15만6600 가구로 전년 대비 18.1% 증가했다. 그 중 자영업자는 9만 400가구, 내자기업은 6만 5500가구, 외자기업은 700가구, 농민전문협동조합은 8가구이다.
2) 장한구(江汉区)
장한구는 동쪽으로는 장한루(江汉路)부터 서쪽으로는 첸진우루(前进五路), 요의난루(友谊南路)까지, 남쪽으로는 연장다다오(沿江大道)부터 북쪽으로는 징한다다오(京汉大道), 중산다다오(中山大道)까지에 이른다. 면적은 약 1.74㎢이고 장한구 상주인구는 69만500명(2022년 말)으로 집계됐다.
장한구는 장강과 한수가 합류해 붙여진 이름으로 고대 한커우진의 발원지이며 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예로부터 '초나라에서 가장 번성한 곳'이다. 장한구는 우한의 중심 도시이자 중요한 상업 및 무역 금융 지역으로 경제 밀도, 인구 밀도 및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모든 도시 지역에서 1위를 차지한다.
2022년 장한구는 지역 총생산 1526억 9600만 위안을 달성해 전년동기대비 4.4% 증가했으며 연간 일반 공공 예산 총수입은 204억 26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장한구는 비즈니스 서비스 산업을 집중 발전시키고 있어 세계 500 대 기업 및 지점 65개, 국내외 주한 대표부 465개, 전문 컨설팅 기관 30개, 인적 자원 및 법률소 기업 350개 이상을 입주시키는데 성공했다.
또 장한구는 천억급 성급 금융시범집적지구로 8개 전국금융본부, 72개 지역금융본부, 거의 500개 금융기관이 집결되어 있다.
3) 차오커우구(硚口区)
차오커우구는 동쪽으로는 요의난루(友谊南路)부터 서쪽으로는 우성루(武胜路)까지, 남쪽으로는 옌허다다오(沿河大道)부터 북쪽으로는 중산다다오(中山大道)까지에 이르며, 면적은 약 1.33㎢에 달한다.
2019년까지 집계된 통계에 따르면 차오커우구의 총 인구는 53만 9800명으로 한, 회, 만, 투가 등 38개 민족이 있다.
차오커우구는 우한시의 가장 창조적이고 활력 있는 중심 도시이자 가장 발전 잠재력이 있는 경제 중심지로 손꼽힌다.
2022년 기준 차오커우구의 지역 총생산액은 950억 위안으로, 세금 환급을 제외하고 지방 일반 공공 예산 수입은 68억 위안으로 4.3% 증가했다. 투자 유치 금액은812억 위안을 기록했으며, 산업 프로젝트 관련 200억 위안의 자금을 조달했다. 그 외 대외무역 수출입은 44억 위안을 기록했으며, 외국인 투자는 4억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과학기술성과 측면에서 보면, 2019년 차오커우구 특허출원은 594건으로 전년 대비 13.14% 증가했다. 총 97개의 정부 승인 하이테크 기업이 있으며 하이테크 산업의 부가가치는 144 억 3300만 위안으로 12.9% 증가했다.
국가급 인큐베이터 1개(우한 3신소재 과학기술기업 인큐베이터), 국가급 창업공간 1개(C창업사)가 있다. 2019년에는 314건의 다양한 기술 계약을 체결했으며 계약 거래액은 7억 8,300만 위안으로 전보다 35% 증가했다.
4) 한양구(汉阳区)
한양구 면적은 약 2.36㎢에 달하며 한양구에는 좡족, 만주족, 후이족, 먀오족, 위구르족, 투족, 이족, 몽골족,조선족 등 22개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다. 또 소수민족 총인구는 3931명에 이른다. 2022년 말 기준으로 한양구 전체 상주인구는 90만 600명이다.
2022년 한양구 지역 총생산액은 801억 86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이 중 제2산업의 부가가치는 150억 400만 위안으로 10.3% 증가했고, 제3산업의 부가가치는 651억 4500만 위안으로 0.8% 증가했다.
2022년 말까지 한양구에는 286개의 첨단 기술 기업이 있고 35개의 기술 기업 R&D 플랫폼이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그 중 4개의 국가 인증 기업 R&D 플랫폼, 12개의 성급 인증 기업 및 19개의 시급 인증을 받았다.
한양구의 연간 총특허 라이선스 수는 2766건으로 전년 대비 11.3% 증가했으며 발명 특허 라이선스 수는 228건으로 전년 대비 55.1% 늘었다.
기술 시장 계약 금액은 45억 14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다. 연간 하이테크 산업의 부가가치는 62억 94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했다.
5) 우창구(武昌区)
우창구 면적은 약 7.9 Km2 에 달하며 2022년 GDP는 1772억 200만 위안을 달성했다. 이 가운데 제2산업의 부가가치는 198억 2400만 위안, 제3산업의 부가가치는 1573억 7700만 위안에 달했다.
2022년 말까지, 우창구에는 788 개의 첨단 기술 기업이 있으며 전년 대비 50.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기술 계약 거래는 87억 3,8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6) 칭산구(青山区)
칭산구는 북쪽으로는 린장다다오(临江大道)부터 남쪽으로는 허핑다다오(和平大道)까지, 서쪽으로는 건설 6로(建设六路)부터 동쪽으로는 삼환선(三环线) 도로까지에 이르며, 면적은 약 1.5 ㎢에 달한다.
2021년 지역 총생산액은 907.15억 위안으로 계산됐으며 전년 대비 19.28% 상승했다. 이 중 제 2산업의 생산액은 15.041억 위안으로 증가했고, 제3산업은 651억 4500만 위안으로 0.8% 늘었다.
2022년 기준으로 칭산구(화학공업구)에는 152개의 예비 하이테크 기업이 입주됐으며, 149개의 하이테크 기업이 들어섰다.
또한 110개의 하이테크 기업이 새로 인정되며 2022년 말까지 이 지역에는 305개의 국가 하이테크 기업이 여기에 입주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2022년 칭산구 첨단산업의 총생산액은 1622억 100만 위안, 첨단서비스업의 영업수익은 91억 3400만 위안, 첨단건설산업의 총생산액은 692억 4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첨단 기술 산업의 부가가치는 501억 98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3% 증가했다.
칭산구에는 국가중점실험실 1곳, 기업기술센터 3곳, 성급중점실험실 8곳, 엔지니어링연구센터 11곳, 학교기업 공동건설연구센터 3곳, 학교기업 공동혁신센터 3곳, 성급 기업기술센터 13곳, 시급 엔지니어링연구센터 4곳 등 총 46곳의 각종 연구개발기관이 있다.
아울러 국가급 2개, 성급 8개 등 총 15개의 인큐베이터가 이곳에 입주해 있으며 성급 5개, 시급 2개를 포함해 8개의 크라우드소싱 공간이 존재한다.
2022년 칭산구 특허 3231건 중 발명 특허는 1105건으로 조사됐다. 2022년 말까지 칭산구에는 총 6350건의 발명 특허가 나왔다.
7) 훙산구(洪山区)
훙산구의 면적은 약 13.6㎢에 달하며 2022년 기준으로 훙산구의 GDP는 1145억 6200만 위안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1 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7100만 위안, 2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264억 3300만 위안, 3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880억 5800만 위안이다.
2020년까지, 훙산구는 과학기술 '작은 거인' 기업 142개, 하이테크 기업 266개, 가젤 기업(瞪羚企业)271개, 히든 챔피언 기업(隐形冠军企业) 4개를 육성했으며, 그 중 처음으로 하이테크 기업을 203개, 하이테크 기업을 63개 재인증해 지역 내 하이테크 기업의 총 수는 570개를 돌파했으며 하이테크 산업의 생산 가치는 322억 위안으로 1.5% 증가했다.
홍산구의 건설목표는 약 2㎢에 달하는 우한 이공대학의 캠퍼스를 시범 지역으로 하며 캠퍼스 주변의 종합적 환경 정비와 대학의 혁신 경제권 건설을 실현하는 것이다.
훙산구에는 ‘우한둥후국가자주혁신시범구(武汉东湖国家自主创新示范区,이하 둥후 시범구)’는 2009년 12월 국무원의 승인을 받은 베이징 중관춘에 이은 중국의 두 번째 국가 자주 혁신 시범구이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