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7.6℃구름많음
  • 강릉 20.3℃맑음
  • 서울 18.2℃구름많음
  • 대전 18.5℃맑음
  • 대구 19.0℃맑음
  • 울산 20.0℃맑음
  • 광주 18.4℃맑음
  • 부산 19.1℃맑음
  • 고창 18.4℃맑음
  • 제주 21.3℃맑음
  • 강화 15.3℃구름많음
  • 보은 17.3℃구름조금
  • 금산 18.1℃맑음
  • 강진군 18.7℃맑음
  • 경주시 20.7℃구름조금
  • 거제 19.7℃맑음
기상청 제공

2025.05.29 (목)

글로벌 창업투자 클러스터구(IN.GEN Centre) [시장 인사이트 4]

더지엠뉴스와 KIC중국 공동
최상위 창업 투자 기관이 클러스터구의 공동 파트너

화면 캡처 2024-06-03 073423.jpg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의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 강국 건설을 위한 중대한 전략적 배치 요구 사항에 따라 베이징시 과학위원회(北京市科委), 중관춘관리위원회(中关村管委会), 베이징시 금융국(北京市金融局) 및 차오양구 정부朝阳区政府20196월 글로벌 창업 투자 클러스터구(国际创业投资集聚区, 이하 클러스터구)를 공동으로 설립했다.

 

1.0 단계에서의 건설 성과

클러스터구는 창업 투자 자본을 기반으로, 1.0 건설 단계에서 창업투자 기관, 창업투자 프로젝트, 창업투자 인재, 서비스 기관의 클러스터를 형성해 과학기술 혁신 센터 건설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화면 캡처 2024-06-03 073516.jpg

  

*자본 클러스터

글로벌 창업 컨소시엄(国际创投联盟)은 클러스터구의 지원 플랫폼으로서, 국제적 권위와 영향력을 갖춘 최상위 창업 투자 기관을 클러스터구의 공동 파트너로 선정해 혁신 기업의 발전을 함께 지원하고 있다.

 

2023년 초 기준, 이미 약 40여개의 글로벌 및 중국 유명 창업 기관이 클러스터구 건설에 참여 신청을 했으며, 프로젝트 입주 선발, 인재 유치, 혁신 창업 활동 등 분야에서 이익 공유 메커니즘을 구축했다.

 

현재 가오링(高瓴), 훙산(红杉), 하이얼(海尔), 촹예방(创业邦) 등 창업투자 메인 기관들은 각각 가오링신재생에너지센터(高瓴新动能中心), 훙산중국기술혁신인큐베이팅센터(红杉中国科技创新孵化中心), 하이얼카오 생태클러스터센터(海尔卡奥斯生态集聚中心), 촹예방혁신에너지센터(创业邦创新赋能中心)를 설립해 각 목적에 맞는 창업투자 사업을 빠르게 육성시켜 나가고 있다.

 

동시에 클러스터구는 차오양구 창업지원 펀드를 설립해 차오양구 중점 사업 및 영역에 더 많은 사회 자본이 투입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현재 천산완우(晨山万物) 물류 스마트네트워크 펀드, 가오링 하이웨어 기술 펀드 등 약 10개의 하위 펀드가 클러스터구에 입주해 있으며, 자금의 규모는 이미 100억 위안에 달한다.

 

2023년에는 완커(万科)와 건설은행이 공동 설립한 졘완(建万) 주택임대 투자 펀드가 클러스터구에 입주했는데, 해당 펀드의 모집 자금 규모는 100억 위안에 이른다.

 

주로 기업, 자회사, 관련 업체가 보유한 주택, 상업용 부동산 등 보유 자산에 투자했다. 또 기타 부동산 기업이 소유한 투자 가치가 있는 주택, 상업용 부동산 등 보유 자산에 투자해 임대주택에 활용됐다.

 

화면 캡처 2024-06-03 073545.jpg

 

*프로젝트 클러스터

클러스터구는 출범 후 총 30개 이상의 창업 프로젝트 및 전문 서비스 기관을 유치했다. 이 가운데 소프트웨어 및 정보 서비스 기업이 50%, 과학기술 서비스가 22%, 차세대 정보 기술16%, 의료 보건 분야가 5%를 차지하고 있다.

 

예컨데 우수 기업 중 하나인 베이징 바이루이 데이터 기술 주식유한공사(北京柏睿数据技术股份有限公司)’는 자체 개발한 데이터베이스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두 제품 체계를 바탕으로, 데이터 경제 시대의 스마트 데이터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테크기업이다.

 

이 기업은 공신부의 국가 전정특신(专精特新) ‘작은 거인(小巨人)’ 기업, 베이징 전정특신 100대 기업, 베이징시 100대 민영기업, 베이징시 고성장 20대 기업의 칭호를 얻었다.

 

화면 캡처 2024-06-03 073612.jpg

 

*스마트 클러스터

클러스터구는 기능 최적화와 스마트 업그레이드를 통해 공유 회의실, 휴식 레저, 교육 강의실, 전시 공간을 마련하여 클러스터구의 고위도 플랫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 리소스를 통합하고 서비스 방식을 혁신하며 서비스 채널을 최적화한다.

 

이를 통해 기업, 정부, 인재 서비스의 라스트 마일을 실현하고, 기업 발전 서비스 센터를 개설해 근거리 처리’ ‘온라인 처리서비스를 실현했다.

 

기업 발전 서비스 센터는 클러스터구 16 층에 위치하며, 정무 서비스 스테이션을 설치해 기업의 신설, 변경 등 91개 분야에 대한 종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업 전문 서비스 스테이션은 기업등록, 세무관리, 지재권, 인력자원, 자본 변경등기, 상장 등 36개 기업 관련 서비스를 지원하고 글로벌 인재 원스톱 서비스 스테이션에서는 19개 글로벌 인재 부처의 120개 서비스 프로젝트를 통합했다.

 

화면 캡처 2024-06-03 073745.jpg

  

클러스터구 2.0

클러스터구 2.0은 중국 20차 당대회에서 제시된 발전의 새로운 영역과 새로운 분야, 발전의 새로운 동력과 새로운 경쟁력 창조및 중앙 경제 공작 회의에서 추진하는 과학기술-산업-금융의 선순환 정책 방향을 실현하기 위해 클러스터구 2.0은 디지털 경제를 핵심으로 건설됐다.

 

*AI 산업 분야

둥후(东湖) 국제센터 A동은 클러스터구 2.0 건설의 핵심구이자 선발구로, AI 산업 분야에 초점을 맞춰 창업투자, 혁신, 창업을 핵심으로 하는 글로벌 산업 혁신 센터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또 둥후국제센터 A동의 16~18층 공용 공간 및 3~15층 사무 공간을 활용해 각각 차오양 과학기술 혁신 공공 서비스 및 AI 산업 범용 기술의 양대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한다.

 

공공 서비스 플랫폼은 주로 창업투자 생태계를 지원하고 차오양 테크 창업기업에 서비스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AI범용 기술 플랫폼은 연결-발견-평가-서비스-투자의 전체 주기, 전체 프로세스의 서비스 메커니즘을 구축하여, 범용 기술의 수요를 발굴하고, 전 산업에 걸친 AI스마트 범용 기술 플랫폼을 구축하여 글로벌 수준을 갖춘 AI 산업 혁신 클러스터구를 구축하고자 한다.

 

*중신·디지털 의료 국제혁신센터

클러스터구는 중신허예(中信和业)투자유한공사와 협력해 량마허(亮马河)의 우수한 지역적 우위를 활용해 중신·디지털 의료 국제혁신센터를 구축했다.

 

해당 프로젝트의 주요 산업 기능은 디지털 의료 공공 서비스 플랫폼과 디지털 의료 혁신 기업 사무구 두 유형으로 나뉜다.

 

이는 디지털 의료 산업의 글로벌 과학기술 창업 센터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클러스터구가 세분화 산업 분야에서 건설한 최초의 의료 첨단 과학기술+원천기술 혁신테마의 산업 육성 플랫폼이다.

 

이는 차오양구의 디지털 의료 산업 생태계 구축에 지원 역할을 하며, 디지털 의료 기업의 클러스터 효과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아울러 디지털 의료 산업의 글로벌 과학기술 창업 센터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클러스터구가 세분화 산업 분야에서 건설한 최초의 의료 첨단 과학기술+원천기술 혁신테마의 산업 육성 플랫폼이다.

 

*차오양 다크호스 디지털휴먼 액셀러레이터

차오양 다크호스 디지털휴먼 액셀러레이터(朝阳黑马数字人加速器)는 차오양구 정부의 지도 하에, 중관춘 차오양위안(朝阳园)관리위원회, 창업 다크호스 과학기술 그룹 유한공사, 베이징 차오양 국제 과학기술 혁신 서비스 유한공사가 공동 구축한 중국 디지털휴먼 기업을 위한 산업협력 기지다.

 

해당 기지는 클러스터구의 위치 경쟁력을 활용해 디지털휴먼 기술, 예술 및 산업 생태계를 연결하고, ‘공간+창업투자+성장 컨설팅모델을 통해 ‘3대 서비스 플랫폼+5대 매개체 공간+6대 서비스 체계+1개 산업 펀드의 새로운 산업 액셀러레이터 전문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시너지효과와 내재적 에너지를 발휘함으로써, 베이징시 디지털휴먼 기술 혁신과 사용환경 응용의 선도적 경쟁력을 형성하고 베이징시 디지털휴먼 기지의 칭호를 획득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관련기사

2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통찰·견해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