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서울시와 베이징시가 6년 만에 다시 마주 앉아 관광 협력을 공식화했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전날 시청에서는 베이징시 문화여유국 대표단과 서울시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베이징 관광정책 간담회’가 개최됐다.
이 회의는 코로나19 이후 처음 열리는 양 도시 간 대면 협력 행사로, 외래 관광객 회복세를 반영한 양측의 협력 재출발을 의미한다.
서울시에서는 구종원 관광체육국장이, 베이징시에서는 손지앤 문화여유국 부국장이 각각 대표로 참석했으며, 양측 관광 관련 실무자 12명이 자리를 함께했다.
이번 간담회는 한중 관광자원 교류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실질적 협력 방안을 조율하기 위해 마련됐다.
두 도시는 2013년 체결한 관광 협약 이후 공동 관광설명회, 해외 마케팅 등에서 긴밀히 협력해왔으나, 2019년 이후 팬데믹 영향으로 교류가 중단됐었다.
간담회에서 서울시는 외국인 대상 축제로 기획된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를 비롯해 사계절 내내 즐거움을 제공하는 ‘펀(FUN) 시티 서울’ 구상을 베이징 측에 소개했다.
베이징시 중축선(中轴线, Zhongzhouxian)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 대해 서울시는 축하의 뜻을 전하며, 유산 중심 도시로서 상호 이해와 공감을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손지앤 부국장은 서울시의 외래관광 전략과 마케팅 노하우가 매우 인상 깊다고 밝히며, 베이징시 역시 중국 인바운드 관광의 선두 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서울의 경험을 참고하고 싶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방한한 중국 관광객은 460만 명으로 전체 외래관광객 중 28%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같은 해 한국에서 중국을 방문한 여행객 수는 231만 명으로 전년 대비 115% 증가하며, 상호 관광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는 흐름을 보였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 중국 정부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관광 목적 단기 무비자 입국을 재개했으며, 한국 정부 역시 올해 3분기 중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비자 면제를 시행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를 기회로 삼아 유럽과 중국 등 주요 지역에서 서울을 알리는 관광 로드쇼를 진행하고, '혼자서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서울'이라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글로벌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서울시가 추진하는 '3·3·7·7 관광시대'는 연간 외국인 관광객 3천만 명, 1인당 관광 지출액 300만 원, 체류기간 7일, 재방문율 70%를 목표로 한다.
구종원 국장은 “베이징과의 협력을 시작으로 주요 해외 도시들과 관광 협력을 다변화하며, 서울의 매력을 전 세계에 알리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