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한미 양국이 상호관세 부과 시한을 앞두고 워싱턴에서 최종 협상에 돌입했다. 미국은 ‘최선이자 최종적인 협상안’을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고, 한국은 핵심 산업의 대미 협력을 카드로 내세워 관세율 방어에 나섰다.
30일 산업부와 기재부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구윤철 경제부총리 등이 미국 상무부 및 무역대표부(USTR)와 연쇄 고위급 회동을 이어가고 있다. 협상 시한은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일인 8월 1일이다.
이번 협상의 최대 쟁점은 상호관세 수준이다. 한국은 일본, 유럽연합(EU)이 각각 합의한 15% 수준을 상한선으로 보고 협상을 진행 중이다. 반면 미국은 관세 인하를 조건으로 대규모 투자와 산업 협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한국은 조선업과 반도체, 배터리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패키지 딜’ 전략으로 대응 중이다.
미국 측은 협상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의 장기투자와 기술공유 방안을 지속적으로 거론해 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날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한국 측에 “최종안(final offer)을 올려달라”고 촉구한 것으로 보도했다.
재계에서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이 전면에 나섰다. 특히 조선업 협력이 이번 협상의 핵심 지렛대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통령실도 “미국 측의 조선산업에 대한 강한 관심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대미 협상 결과가 국내 수출 여건과 직결되는 만큼 민관 공동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산업부, 기재부는 물론 통상 라인과 청와대 경제안보실까지 긴밀히 공조 중이다. 8월 1일 이전 최종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한국의 수출 관세 구조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