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7.6℃구름많음
  • 강릉 20.3℃맑음
  • 서울 18.2℃구름많음
  • 대전 18.5℃맑음
  • 대구 19.0℃맑음
  • 울산 20.0℃맑음
  • 광주 18.4℃맑음
  • 부산 19.1℃맑음
  • 고창 18.4℃맑음
  • 제주 21.3℃맑음
  • 강화 15.3℃구름많음
  • 보은 17.3℃구름조금
  • 금산 18.1℃맑음
  • 강진군 18.7℃맑음
  • 경주시 20.7℃구름조금
  • 거제 19.7℃맑음
기상청 제공

2025.05.28 (수)

중국 태양광 산업 발전 현황 1회 [산업 트랜드 1-1]

더지엠뉴스와 KIC중국 공동
국가전략신흥산업 ‘중국의 태양광’


화면 캡처 2024-07-01 081011.jpg

 

 

[thegmenews]중국은 태양광 산업을 국가 전략 신흥 산업 중 하나로 지정했고, 산업 정책 및 시장주도의 이중 작용으로 급속한 발전을 이뤘다.

 

여기다 중국은 태양광 산업의 국제 경쟁에 참여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고, 국제적으로 경쟁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태양광 산업에서 중국 위치

 

태양광 산업은 반도체 기술과 신에너지 수요가 결합하여 파생된 산업이다. 이 가운데 산업체인 업스트림의 경우 결정성 실리콘 원료의 채취와 실리콘봉, 실리콘 잉곳, 실리콘 웨이퍼의 가공 제작 등으로 구성된다.

 

또 미드스트림에는 태양광 전지판과 태양광 전지 모듈 및 부대설비의 제조, 다운스트림에는 태양광 발전소 시스템의 집적과 운영이 포함된다.

 

화면 캡처 2024-07-01 081038.jpg

 

 

전 세계 태양광 산업체인의 중국 의존도는 매우 높은데 각각 폴리실리콘(72%), 잉공(98%), 웨이퍼(97%), (81%), 모듈(77%) 등 순이다.

 

업스트림-태양광 실리콘 웨이퍼

 

태양광 관련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태양광 발전 비용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전 세계 태양광 신규 설치 규모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성장 동력 역시 매우 강력하다.

 

태양광 산업의 발전으로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의 발전 역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실리콘/이퍼는 태양전지나 반도체 집적회로 등에 널리 사용되는 기본 재료다. 실리콘 단결정이나 다결정을 얇게 판모양으로 자른 것을 말한다.

 

태양광 산업 발전에 없어선 안 될 핵심 재료 중 하나로, 2022년 전 세계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 생산량은 381.1GW(기가바이트)에 달했으며, 성장률은 60% 이상을 기록했다.

 

화면 캡처 2024-07-01 081057.jpg

 

 

- 중국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 생산량

 

중국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 제조업체들은 해외 기업에 비해 비용 통제와 제품 성능에서 상당한 우위를 가지고 있다. 결정 실리콘, 실리콘 웨이퍼, 전지, 모듈 등 각 단계의 생산 중심이 중국으로 이동하는 형국이다.

 

실제 2022년 기준 중국의 실리콘 웨이퍼 생산량은 371.3GW에 이르렀고, 이는 전 세계 생산량의 97.4% 수준이다.

 


화면 캡처 2024-07-01 081113.jpg

 


- 중국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의 생산구조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는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갖고 있어, 같은 조건에서 발전량이 더욱 높고, 장기간 사용에도 전력 감소가 적으며, 약광 반응도보다 우수하다.

 

특히 다이아몬드 절단 공법의 출현으로 단결정 및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의 생산 단가 격차가 크게 줄어들면서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의 제품 구조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2022년에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의 시장 점유율은 96.4%까지 확대되었고,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는 3.6%로 줄었다.

 

화면 캡처 2024-07-01 081254.jpg

 

 

-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 산업의 경쟁 환경

 

차오건태양광(草根光伏)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주요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 기업의 명목 생산 능력은 677.6GW에 달했다.

 

중국의 실리콘 웨이퍼 산업은 롱지그린에너지(隆基绿能)TCL 중환(TCL 中环)40% 이상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양자 구도가 형성됐다.

 

2021~2022년 롱지그린에너지와 TCL 중환의 CR2(1위와 2위 기업의 시장 점유율 합계)는 각각 53%48%에 달해, 양자 구도가 더욱 선명해졌다.

 

화면 캡처 2024-07-01 081311.jpg

 

화면 캡처 2024-07-01 081332.jpg

 

 

 

 

-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 산업 관련 정책

 

최근 몇 년간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태양광 산업은 발전 초기인 2013년부터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지정돼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았다.

 

국가 정책은 주로 보조금을 낮추고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를 추진하는 데 중점을 뒀으며, 이는 태양광 산업의 업그레이드와 설비의 규모 증가를 촉진시켰다.

 

화면 캡처 2024-07-01 081419.jpg

화면 캡처 2024-07-01 081435.jpg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관련기사

1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통찰·견해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