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트랜드 4-1]에서 이어집니다.
- 5GRedCap 산업
글로벌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5GRedCap 은 이미 규모화 및 상업화의 조건을 갖췄다. 2023년 말 기준 글로벌 8개국 이상 12개 통신사에서 RedCap 기술 검증 또는 상업화 시범운영을 완료했다. 중국의 여러 도시에서 이미 시범 상업화 단계에 들어갔다.
또 통신사 3곳에선 이미 상하이, 항저우 등 10개 이상의 도시에서 RedCap 엔드 투 엔드 상업화 보급을 시작했고 산업, 전력, 차량커넥트 등 여러 산업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5GRedCap 산업이 빠르게 성숙화되면서 다양한 칩 제품과 30개 이상의 RedCap 단자 제품이 출시됐다.
- 5G-A3CC, 규모화 상업화 적용 단계 진입
중국의 3대 메인 통신사는 설비 기업과 함께 5G-A3CC 규모화 상업화 시범 보급에 돌입했다. 테스트와 검증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으며, 규모화 네트워킹의 실행 가능성이 일부 테스트를 통해 검증됐다.
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은 화웨이와 함께 창사(长沙), 스자좡(石家庄) 등에서 5GA3CC(2.6GHz+4.9GHz) 기술을 활용해 5G-A 혁신 기술 모범구와 선행 시범구를 구축했고, 실측 하향 최고 속도는 4Gbps 이상 달했다.
차이나유니콤(中国联通)은 화웨이와 함께 베이징에서 중점 지역의 5G-A 규모화 네트워킹 및 실내 분포 솔루션의 테스트 검증을 완료했으며 칭다오(青岛), 닝보(宁波), 톈진(天津)에서 5G-A3CC(3.5GHz+2.1GHz) 시범 보급 및 테스트를 완료했고 실측 하향 속도는 4Gbps에 도달했다.
차이나텔레콤(中国电信)은 화웨이와 함께 우한(武汉), 상하이(上海)에서 5GA3CC(3.5GHz+2.1GHz) 상업용 네트워크 배치를 완료했으며, 실측 하향 속도는 약 4Gbps, 상향 속도는 약 1Gbps였다.
- 5G-A 공감각 통합, 기술 테스트 검증 가속화
통신사는 설비 기업과 함께 5G-A 공감각 통합 테스트 및 응용 분야에서 큰 진전을 거뒀다. 차이나모바일은 ZTE 통신과 함께 지난쉐예후항공클럽기지(济南雪野湖航空俱乐部基地)에서 5G-A 공감각 통합 기술 시범을 완료하였으며, 저공 무인기의 통신 감지 융합 테스트를 마무리했다.
차이나유니콤은 선전샤허산업생태단지(深圳沙河产业生态园)와 난징민용무인항공시범구(南京民用无人驾驶航空试验区)에서 5G-A 공감각 기지국을 통해 저공 감지 데이터 발굴을 진행했다.
차이나텔레콤은 화웨이와 함께 난징에서 5G-A 공감각 분야의 혁신 실험 기지를 구축하고, 여러 기지에서의 저공 목표 검측 능력 검증을 끝냈다.
ZTE 통신은 단일 AAU 공감각 통합을 실현하고, 업계 최초로 5G-A 공감각 통합 네트워킹 검증 테스트를 완료했으며, 단일 포인트 기술 검증을 통해 네트워킹 설치를 여러 기지로 확장했다.
-5GNTN 산업 생태계
5GNTN 기술은 위성통신 및 저공통신 등 새로운 응용 시나리오를 위한 중요한 선진 기술로서, 선진국(지역)들은 위성 통신을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위성통신과 모바일통신의 융합은 통신 산업의 발전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GSA 데이터에 따르면, 34개 국가/지역의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사와 위성 통신사 간 공개 발표된 5GNTN 협력 파트너 관계는 총 49개로, 그중 미국(11개), 중국(4개), 영국(4개) 세 국가에서 가장 많은 협력 관계를 보유했다.
또 가장 많은 협력 관계를 보유한 위성 통신사는 SES(9개), OneWeb(8개), AST Spacemobile(7개) 등으로 집계됐다.
일부 휴대전화 제조기업들은 휴대전화의 위성 직접 연결 상용화에 성공했으며, 화웨이 Mate60Pro 시리즈, 애플 iPhone15 시리즈, 아너 Magic6 시리즈, OPPO FindX7 시리즈, 샤오미 14Ultra 등 휴대전화는 위성 통신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응용: 글로벌 5G 혁신을 선도하는 중국
중국의 5G 응용 개발은 글로벌적으로 선도적인 수준에 도달했다. 2023년 말 기준 중국의 5G 응용은 71개 국민경제 분야를 커버하고 있으며, 5G 응용 사례는 9.4만건을 초과했고, 5G 산업 가상 전용 네트워크 프로젝트의 총수는 3.16만건을 넘어섰다.
산업, 채굴, 전력, 항만, 의료 등 산업에서 규모화 보급을 실현하였으며 수리, 건축, 방직, 해양, 저공 등 분야에서 5G 응용 탐색을 가속화하고 있다.
5G의 수직적 산업 응용은 점차 선두기업에서 산업체인의 전후방 중소기업으로 확산돼 가고 있다.
2023년 5G 공장 리스트에는 총 300개의 프로젝트가 있으며 참여 건설 기업은 대기업이 52.7%, 중소기업이 47.3%를 각각 차지했다. 그 중 중견기업은 27.7%, 영세기업은 19.6%였다.
■정책: 업게 응용에 초점을 맞춘 5G 정책
중국의 5G 발전 정책은 계속해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2023년 기준 총 25개 국가급 5G 정책, 128개의 성시급 5G 정책이 발표됐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