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약산업이 항암제 임상시험에서 2년 연속으로 미국을 제치며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임상 건수 확대와 함께 해외 제약사와의 기술 제휴도 급격히 늘어나면서 중국 의약품의 국제 영향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9일 중국 국가의약감독관리국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제약기업이 지난해 진행한 암 치료 관련 임상시험은 총 896건으로 세계의 약 39%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미국은 약 32%, 유럽은 20% 수준으로, 중국은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세계 최다를 기록했다.
중국의 점유율은 2009년 2%에서 2023년 35%로 급등하며 처음으로 미국을 앞섰다.
중국 정부는 혁신 신약 연구개발에 대규모 정책자금과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임상 절차 간소화와 데이터 관리 체계 고도화를 병행하고 있다.
이 같은 제도적 지원을 기반으로 다수의 중형 바이오기업이 신약개발 경쟁에 뛰어들면서 산업 구조도 고도화되고 있다.
아이큐비아(IQVIA)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제약사와 외국 기업 간 제휴 계약은 61건으로 집계됐다.
총 계약 규모는 485억 달러(약 70조 7천억 원)로, 전년도 전체 규모인 448억 달러를 이미 넘어섰다.
특히 항암제, 항체약물접합체(ADC), 세포치료제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협력이 집중되고 있다.
일본의 다케다약품공업은 지난해 중국 바이오기업과 항암제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고, 지난달에는 12억 달러(약 1조7천억 원)에 중국 신약 후보물질을 인수했다.
미국 제약사들도 중국 내 기술 확보 경쟁에 나서며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가 확대되는 양상이다.
닛케이는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업은 중국이 제약 산업에서도 미국의 주도권을 위협하고 있다”며 “중국산 의약품이 앞으로 세계 시장에서 주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