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민간 항공우주 업체가 고속 기동과 표적 자동 식별 기능을 갖춘 YKJ-1000 극초음속 미사일을 공개했다. 새로운 전력은 민영 기업이 국가 주도의 극초음속 기술 체계에 직접 참여하는 흐름을 보여주며 중국 내 관련 산업 지형을 더욱 촘촘하게 재편하고 있다. 26일 중국 과학계에 따르면, 베이징링콩톈싱커지(北京凌空天行科技, Beijing Lingkong Tianxing Keji)는 자체 영상 공개를 통해 YKJ-1000의 성능과 운용 개념을 제시했다. 미사일은 5007의 속도로 설정돼 있으며, 발사 후 자동 표적 인식과 회피 기동을 병행하는 구성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발사 차량 탑재 운용 방식이 확인된 장면에서는 미사일이 초기 상승 이후 활공 단계로 전환하며 회피 기동을 반복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영상에서 제시된 설명에 따르면, 활공체에는 추가 로켓 엔진이 장착되어 있어 재가속 후 목표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해당 기체가 시험 발사 장면에서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하는 장면도 포함되어 있다. 기본형 YKJ-1000은 이미 양산 체계에 들어가 있으며, 인공지능 기반 의사결정과 군집 협업 기능을 결합한 지능형 모델도 개발에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화웨이가 접이식 신형 기기에서 지능형 협업 체계를 도입하며 스마트 기기 간 연동 범위를 한 단계 넓히는 흐름을 제시했다. AI 기반의 복합 명령 처리와 응용 프로그램 간 자동 연계가 같은 플랫폼 안에서 구현되며 산업 전반이 상용화를 확대하고 있다. 26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화웨이는 접이식 모델 메이트 X7을 통해 에이전트 투 에이전트 방식을 상업용으로 적용했다. A2A 협업은 여러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각각 작동하는 지능형 단위를 하나의 명령으로 묶어 처리하는 기능이다. 음성 입력 한 번으로 예약·결제·자료 다운로드 등 복합적 흐름을 연결해 자동 수행하는 구조가 가능해지고, 이는 기존의 단일 모델 방식보다 처리 효율이 크다는 점에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는 흐름으로 보인다. 기술 확산 속도가 빨라지면서 대형 기술기업, SaaS 기업, 스타트업 모두가 독자적인 지능형 단위를 구축하고 있으며, 올해 들어 산업용·소비용 모델의 초기 매출도 늘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신진융 연구진은 지능형 단위의 생태계가 강화되며 상용 단계 전환 속도가 단축되고, 연동 프로토콜·운영 플랫폼의 다양화가 기술 업그레이드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위안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에서 개발된 AS700 유인 비행선이 신규 주문을 확보하며 중저고도 산업 전반의 상업화를 넓히는 계기가 마련됐다. 비행선 플랫폼의 생산·인증·운용 전 과정을 자체 체계로 완성한 구조가 산업 생태 확장을 이끄는 기반으로 부각되고 있다. 25일 발표된 항공산업 관계 기관 자료에 따르면 저장성 항공공역통합 저고도산업발전회사가 AS700 ‘샹윈’ 18대를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취안상중궈(券商中国, Quanshang Zhongguo)에 따르면, 이 계약은 해당 기종의 화동 지역 첫 실기 인도 이후 진행된 대규모 주문으로 평가된다. AS700은 2024년 중항공산업 에어쇼 현장에서 처음 의향서 형식으로 논의가 시작됐다. 이후 개발사인 중국항공공업그룹의 특수차량연구소가 전략 협력 구도로 전환했고, 2025년에 대량 발주 단계로 연결되면서 전주기 협력 모델이 자리 잡았다. 연구소 측은 생산·검증·상업 운항까지 이어지는 순환 공정을 자체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유인 비행선 분야에서 독자적인 체계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 기반 위에 생산 능력 확장, 지역별 인도센터 구축, 장기 고객 지원망 확충 등 후속 단계가 준비되고 있다.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