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7.6℃구름많음
  • 강릉 20.3℃맑음
  • 서울 18.2℃구름많음
  • 대전 18.5℃맑음
  • 대구 19.0℃맑음
  • 울산 20.0℃맑음
  • 광주 18.4℃맑음
  • 부산 19.1℃맑음
  • 고창 18.4℃맑음
  • 제주 21.3℃맑음
  • 강화 15.3℃구름많음
  • 보은 17.3℃구름조금
  • 금산 18.1℃맑음
  • 강진군 18.7℃맑음
  • 경주시 20.7℃구름조금
  • 거제 19.7℃맑음
기상청 제공

2025.05.28 (수)

의치 장비로 세계를 뒤흔든 중국 기업이 있었다 [기업 리서치 42]

중국의 '현대치과',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 키우며 세계 1위 노려


화면 캡처 2025-03-21 123147.jpg

 



[더지엠뉴스] 중국 광둥성에 본사를 둔 **현대치과(现代牙科, Xiandai Yake)**가 전 세계 치과 산업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의치 장비 제조 분야에서 이 기업은 단순한 생산업체를 넘어, 글로벌 기술 주도권을 가진 혁신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1993년 설립된 현대치과는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홍콩 증시에 상장된 세계적 수준의 치과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특히 의치 제작 장비와 관련된 기술력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전 세계 13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주요 제품군은 인공치아 제작 시스템, 디지털 치과 솔루션, 치과용 소재 등으로, 완전한 수직통합 생산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현대치과는 특히 CAD/CAM 기반 디지털 의치 제작 장비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수작업 중심 의치 제작 과정을 자동화·정밀화하면서 전 세계 치과 기공소와 병원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회사는 중국, 유럽, 미국 등지에 R&D 센터와 생산 기지를 분산 배치해, 글로벌 고객의 요구에 맞춘 제품을 빠르게 공급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3,000곳 이상의 유통 파트너와 협력하고 있으며, 치과 학회 및 전시회에도 활발히 참가해 브랜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현대치과는 치과 소재 개발에도 강력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세라믹, 레진, 티타늄 소재는 고정밀 의치 제작에 필수적인 재료로, 유럽 CE 인증과 미국 FDA 인증을 동시에 획득한 제품도 다수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의치 자동 설계 시스템도 상용화에 성공하며, 디지털 치과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


회사의 또 다른 핵심 전략은 치과 교육 솔루션 사업이다.


치과 대학 및 교육기관을 위한 시뮬레이터, 실습용 마네킹, 디지털 학습 콘텐츠 등 교육용 장비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현대치과는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3년 기준 글로벌 시장 점유율 5위를 기록했으며, 중국 내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2024년 들어서는 고령화와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전 세계 의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치과는 그 중심에서 시장을 이끌고 있다.


중국 정부의 전략 산업 육성 정책, 특히 디지털 의료기기와 치과 장비에 대한 정책적 지원도 현대치과 성장에 강력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현대치과는 현재 글로벌 IPO 재추진도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해외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아프리카, 중동, 동남아시아 등 신흥 의료시장 공략을 위한 현지 생산 및 물류 인프라 구축도 추진 중이다.


치과 의료기기 시장은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분야지만, 현대치과는 품질, 기술, 가격경쟁력 세 가지를 모두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중국 브랜드가 세계 의치 시장의 기술 표준을 선도하는 시대, 그 정중앙에는 현대치과가 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관련기사

1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통찰·견해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