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의 재집권 이후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금이 가장 주목받는 자산으로 떠올랐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6일(현지시간) "트럼프발 무역 정책 변화로 인해 세계 경제가 불확실성을 맞이하면서 투자자들이 금으로 몰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13일 국제 금값은 온스당 2,942.70달러까지 상승하며,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7% 이상 급등했다. 같은 기간 뉴욕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 상승하는 데 그쳤다.
반면, 지난해 11월 트럼프의 당선 이후 강세를 보였던 미국 달러화 가치와 미 국채 금리는 하락세로 돌아섰다.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화 지수는 취임일 직전 109에서 106으로 하락했고, 미 국채 10년물 금리도 4.62%에서 4.48%로 내려갔다.
비트코인(Bitcoin) 역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트럼프 당선 후 7만5천 달러대였던 비트코인은 한때 10만 달러를 돌파했으나, 취임 이후 하락세로 전환돼 현재 9만7천 달러대에 머물고 있다.
금 정련업체 MKS 팸프(PAMP)의 애널리스트 니키 실스(Nicky Shiels)는 "금값과 트럼프의 관세 정책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형성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자산운용사 RLAM의 다중자산 책임자 트레버 그리샴(Trevor Grisham)은 "금은 지정학적 리스크, 인플레이션, 달러화 가치 변동에 대한 헤지(위험 회피)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예상보다 신중하게 관세 정책을 펼치면서 유로화 등 일부 수출 중심 국가의 통화 가치는 상승했다. 이와 동시에 글로벌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국채 매입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런 경제 흐름 속에서 홍콩 항셍지수는 올해 들어 13% 이상 급등했으며, 유로스톡스50 지수 역시 9% 상승해 다른 글로벌 지수 대비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