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중국이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84%에서 125%로 대폭 인상한다. 11일 발표된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 고시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대한 정면 대응으로, 중국은 미국의 무역 압박을 국제 규칙을 위반한 '일방적 괴롭힘'으로 규정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관세 정책은 경제 상식에 어긋나고 강압적 방식으로 국제질서를 파괴하고 있다"며 "향후 미국이 관세를 추가 인상하더라도 중국은 전혀 개의치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복귀 이후 대중 관세 총합을 145%로 산정했다. 이 가운데 중국의 펜타닐 대응 미비를 이유로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고, 여기에 상호관세로 125%를 적용하면서 전례 없는 충돌이 이어졌다. 이에 중국은 전날부터 84%의 맞대응 관세를 시행한 데 이어, 하루 만에 이를 125%까지 끌어올리며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중국은 관세 인상 외에도 미국 여행과 유학에 대한 자제령, 미국 영화 수입 축소 등 비관세 조치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2기 정부가 출범한 뒤 미국의 중국 압박은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
[더지엠뉴스]대중국 고강도 압박을 이어가던 미국이 결국 먼저 태도를 바꿨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중국과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며 “합의를 원한다”고 밝혔다. 이는 하루 전까지 누적 145%에 달하는 초고율 관세를 중국에 단독 적용하며 전면전을 예고하던 기조에서 180도 달라진 반응이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9일, 중국을 제외한 70여 개국에는 90일 간 상호관세율 유예를 선언하면서 기본 10% 관세만 적용했다.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누적 145%에 달하는 초고강도 관세를 즉시 발동했다. 하지만 중국은 트럼프식 압박에 정면으로 맞서기보다는 계산된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미 미국에 대해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있던 중국은, 추가로 관세 인상에 나서지 않고 대신 미국산 영화의 수입 제한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이 문화보복 카드는 헐리우드를 비롯한 미국 내 콘텐츠 산업과 직결되는 민감한 분야였고, 실제로 시장 반응은 빠르게 나타났다. 트럼프의 고강도 관세 조치 직후 잠시 상승했던 뉴욕증시는 곧바로 급락세로 돌아섰고, 월가는 극심한 불확실성에 휘청였다. 이에 백악관은 전략을 조정하기 시작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중국과의 합의
[더지엠뉴스] 미국이 중국에 대한 무역 압박을 한층 더 강화하며, 주요 동맹국들에 대한 관세는 일시 유예하는 강수를 뒀다. 10일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3시간 전 발표된 상호관세 정책을 수정해 중국에 대해서는 기존 104%에서 125%로 관세를 인상하고, 한국을 비롯한 70여 개국에 대해서는 90일간 10% 기본관세만 적용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에서 중국의 맞대응 조치를 문제 삼으며 “중국이 미국과 동맹국을 더 이상 착취하지 못할 것임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조치는 미국이 지난 5일부터 모든 무역 상대국에 10% 관세를 일괄 적용한 데 따른 추가 조치로, 중국을 ‘경솔한 보복국’으로 지목하며 사실상 무역전쟁의 중심에 놓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반면 미국과 협상 테이블에 앉은 국가들에 대해선 관세율을 크게 낮추며 유예 기간을 주는 방식으로 동맹 압박과 이탈 방지를 동시에 시도했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은 “중국이 미국을 때리면 더 강하게 맞받아칠 것”이라고 밝혔으며,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은 미국과 협상에 나서며 맞대응을 자제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발표는 세계 주식 시장의 폭락이
[더지엠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향해 104%에 달하는 추가 관세를 발표하자, 중국이 이에 강하게 맞서며 전면적인 반격에 나섰다. 9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10일 정오 12시 1분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기존 34%였던 추가 관세를 최대 84%까지 인상한다고 9일 밝혔다. 중국 상무부도 같은 날 쉴드AI, 시에라 네바다 등 미국 군수기업 6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 포함시키고, 드론, 바이오, 광학 분야 기업 12곳에 대해서는 이중용도 물자 수출을 제한하는 조치를 내놨다. 미국 측의 관세 조치가 본격화되자,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도 미국을 추가로 제소하며 다자간 무역 질서 위반 문제를 국제사회에 제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1월 취임 이후 중국산 제품에 10%씩 두 차례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여기에 9일부터는 국가별로 상호관세 34%를 적용하겠다고 밝히며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미국 측이 중국의 대응을 문제 삼아 다시 50%의 추가 관세를 예고하고 실제 집행하면서, 양국 간 무역 갈등은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이번 조치로 중국은 사실상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대해 중첩되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게
[더지엠뉴스]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백서로 대응하며, 중미 무역 불균형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9일 기준, 중국 국무원은 2만8천자 분량의 공식 백서를 발표하며, 미국이 주장하는 대중 무역적자는 중국의 고의가 아닌 미국의 경제 구조에서 비롯된 필연적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백서는 ‘중미 경제·무역 관계의 몇 가지 문제에 관한 중국의 입장’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됐고, 총 6개 장으로 구성됐다. 중국은 이번 백서를 통해 미국이 취하고 있는 일방적 조치에 강하게 반발하며, 양국 무역이 본질적으로 상호 이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특히 중국 측은 미국의 상품 무역 적자만 부각하는 방식은 왜곡된 시각이라고 지적하며, 서비스 무역에서는 오히려 미국이 큰 폭의 흑자를 누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상무부 관계자는 "중국은 상품 무역에서의 흑자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적이 없다"며, "이는 미국 경제 구조의 결과이자 글로벌 분업 체계 속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2007년 GDP의 9.9%에서 2024년 2.2%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며, 흑자 구조가 완화되고 있다는 점도 근거로 제시
[더지엠뉴스]미국 국민 절반 이상이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관세가 자국 경제에 부정적이라는 의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발표된 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성인 응답자 중 52%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미국에 해를 끼친다고 답했다. 조사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주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을 선언하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추가적으로 34% 관세를 예고하기 직전인 3월 24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됐다. 해당 조사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24%에 그쳤으며, 나머지 24%는 효과가 없거나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공화당 및 공화당 성향의 무당층 유권자 가운데서도 약 4분의 1이 관세가 미국에 손해라고 답했다는 부분이다. 이는 트럼프가 이미 두 차례에 걸쳐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한 이후의 반응이며, 이후 34% 추가 관세와 중국 측의 34% 보복 관세, 그리고 최대 50% 추가 관세 위협이 발표되기 전 이뤄진 조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캔자스대학교 정치학자 잭 장(Jack Zhang)은 이번 결과에 대해 “관세가 미국인에게
[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미국의 "대등 관세" 조치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조치가 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하고 국제 무역 질서를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미국 동부 시간으로 4월 2일, 미국은 중국을 포함한 모든 무역 파트너에게 "대등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WTO 분쟁 해결 메커니즘을 통해 정식으로 제소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미국의 "대등 관세"가 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하며, WTO 회원국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권익을 침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규칙 기반의 다자 무역 체제와 국제 경제 무역 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로, 전형적인 일방적 패권주의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국제 경제 무역 질서를 확고히 지키며, 다자 무역 체제를 적극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에게 잘못된 조치를 즉각 시정하고, 일방적 관세 조치를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중국 정부는 앞으로도 국제 규범을 준수하며, 무역 파트너와의 공정한 경제 교류를 위해 WTO 체제를 활용할 방침이다.
[더지엠뉴스] 중국이 미국의 '34% 상호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3일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대변인 명의의 담화를 통해 미국의 관세 부과가 국제 무역 규칙에 부합하지 않으며, 관련국의 정당하고 합법적 권익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한, "미국은 주관적이고 일방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상호관세를 도출했다"며 다수의 무역 상대국이 강한 불만과 명확한 반대를 표명했다고 강조했다. 상무부는 미국에 즉시 일방적 관세 조치를 철회하고 무역 상대국과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적절하게 해소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관세 인상이 미국 자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글로벌 경제 발전과 공급망 안정을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허야둥 대변인은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에 대해 "중국은 평등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3월 26일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와 미국 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가 화상 통화를 통해 양국 경제·무역 부문 간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는 2일(현지시간)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관세율을
[더지엠뉴스]중국 외교부는 27일 미국 정부가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의 신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외교부 대변인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은 미국의 발표 이후 주요 무역 파트너국들이 잇따라 반응을 내놓고 있다며, 무역 전쟁과 관세 전쟁에서는 어느 누구도 승자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어떤 나라의 발전과 번영도 관세 부과로 이루어진 적이 없다며, 미국의 이번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의 규정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궈 대변인은 또 이같은 일방적 행위는 규칙 기반의 다자간 무역 체제를 훼손하고, 국제사회 전체의 공동 이익을 해친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그는 미국이 직면한 자국 내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조치라며, 중국은 관련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언은 미국 전역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다시 부각되는 가운데, 25% 관세 부과 방침이 공식화된 데 따른 것이다. 중국은 국제 사회와 함께 WTO 체제 수호, 무역 다자주의 원칙을 강조하며, 미국의 보호무역 노선에 대해 분명한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번 발표로 인해 세계 각국
[더지엠뉴스]중국 상무부는 27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중국과의 관세 문제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 분쟁 해결 절차에 따라 협상에 응했다는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기자가 “미국이 중국 및 캐나다와 각각 WTO 내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는 보도가 있다. 협상은 시작됐나?”라고 질문하자, 상무부 대변인 허야둥(何亚东, He Yadong)은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일방적으로 부과한 관세가 전형적인 일방주의이며 보호무역주의라고 비판했다. 허 대변인은 미국의 조치는 WTO 규정에 심각하게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이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맞서 WTO 분쟁 해결 기제를 통해 이미 제소한 상태이며, 이에 대해 미국이 14일 협상에 응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은 WTO 절차에 따라 향후 절차를 계속해서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부터 격화된 미중 무역 갈등의 흐름 속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양국 간 갈등 해소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중국 측은 기존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정식 절차에 따라 국제 규범을 토대로 대응을 이어가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중국과 캐나다가 동시에 미국과의 관세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