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이 해외 드라마를 포함한 우수 프로그램의 방송을 확대하기로 했다.
9년 가까이 이어져 온 한류 제한 조치인 한한령 완화 가능성과 연결되며 문화 교류 변화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19일 상관신문과 재련사 등 현지매체에 따르면 국가광파전시총국은 최근 ‘TV 대형화면 콘텐츠를 한층 더 풍부하게 하고 라디오·TV·영상 공급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를 발표했다. 이 조치에는 해외 드라마를 포함한 우수 프로그램의 도입을 추진하는 내용이 담겼다.
광파전시총국은 관련 법률·제도를 정비해 프로그램 저작권 보호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수한 숏폼 드라마의 TV 진출을 장려해 시청자 접근성을 높이고, 드라마 콘텐츠 심사 절차 개선을 통해 효율성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도 내놨다. 중국에서 평균 2분 내외의 숏폼 드라마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번 조치와 맞물려 해외 드라마 쿼터 확대 여부가 주목되는 가운데,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반적인 제한 완화 분위기가 감지되면서 전날 중국 증시에서 미디어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고, 저장화처 영화·텔레비전 주가는 상한가(+20%)를 기록했다.
앞서 15일 광파전시총국은 드라마 제작과 혁신 증진을 위한 회의를 열어 정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한한령 완화 기대감도 고조되고 있다.
중국은 2016년 주한미군 사드(THAAD) 배치에 반발해 한국 드라마·영화·음악의 수입을 사실상 차단했다. 그러나 ‘오징어 게임’, ‘더 글로리’, ‘폭싹 속았수다’ 같은 한국 작품은 비공식 경로를 통해 인기를 얻으며 불법 시청 논란을 낳았다.
또한 영화 ‘미키 17’의 중국 개봉, 인디가수 검정치마의 공연 허용, 하이브의 중국 법인 설립, 텐센트 뮤직의 SM엔터테인먼트 지분 확보 등 최근 사례들은 문화 교류 완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다만 중국 정부는 한한령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직접적인 해제 선언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