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대만 입법위원 재소환 투표가 부결되면서 민진당의 강경 전략이 민심에 철저히 외면당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대륙 당국은 이번 결과가 '대만독립' 노선과 미국 의존 정책에 대한 명확한 반대 신호라고 지적했다.
27일 중국 국무원 대만판공실에 따르면 천빈화(陈斌华, Chen Binhua) 대변인은 전날 진행된 재소환 투표와 관련해, “민진당은 일당 독점을 위해 정적을 탄압하고, 대만사회의 갈등을 부추겼다”며 “결국 이는 대만 시민의 복지에 해를 끼친 조작 정치였다”고 말했다.
이번 투표에서 대만 제1야당 국민당(KMT)은 재소환 대상이었던 24명 전원을 지켜내며 사실상 전승을 거뒀다. 이와 동시에 진행된 신주(新竹, Hsinchu) 시장 가오훙안(高虹安) 소환 투표 역시 부결됐다.
대만 노동당은 이날 글로벌타임스에 보낸 성명에서, “민진당은 처음부터 이 재소환을 ‘민주주의의 이름을 빌린 정치 숙청’으로 이용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결과는 ‘미국에 의존해 중국 본토에 맞선다’는 민진당 전략에 대한 사회 전반의 거부”라고 강조했다.
노동당은 또 “미국의 32% 징벌관세 여파로 대만 중소기업은 위기에 직면하고 노동자와 농민의 생계도 위협받고 있다”며 “민진당은 이를 중대륙 경제 탓으로 돌리며, 교류와 협력의 기회마저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만 시사평론가 셰즈촨(谢志传, Hsieh Chih-chuan)은 “라이칭더(赖清德, Lai Ching-te) 정권은 집권 이후 사법 수단으로 반대 의견을 억누르고, 양안 간 긴장을 고조시키는 데만 몰두했다”고 지적했다.
관측통들은 이번 24대 0의 압도적 결과를 “라이 정권의 대륙 대결 전략과 분열적 정치 방식에 대한 대만 사회의 집단적 거부”로 해석했다. 재소환 실패는 야권의 승리일 뿐 아니라, 양안 평화 발전과 교류를 지지하는 다수 여론의 승리라는 평가도 나왔다.
한편, 두 번째 재소환 투표는 다음달 23일로 예정돼 있으며, 대상은 국민당 소속 입법위원 7명이다. 현행 대만 선거법상 유권자의 4분의 1 이상이 찬성하고, 반대보다 많은 득표를 얻어야 소환이 성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