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차이신(財新)이 발표한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1.2를 기록하며, 4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 2월 50.8에서 0.4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경기 확장 국면을 유지하고 있다. 1일 차이신에 따르면, PMI는 기업 구매 담당자 조사를 바탕으로 경기 동향을 파악하는 지표로,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을 의미한다. 이번 51.2 기록은 로이터 시장 전망치인 51.1을 상회하며,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3월 제조업 PMI(50.5)와도 같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수출 주문이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면서 신규 주문이 급증해 기업 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대중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기 전에 미국 수입업자들이 중국산 제품 재고를 쌓은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차이신의 왕저 애널리스트는 "구직 시장이 여전히 침체 상태에 있으며, 유효 수요 부족으로 인해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압력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총
중국이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영유권 분쟁 중인 남중국해에서 무려 1억t 규모의 대형 유전을 발견했다. 중국해양석유그룹(CNOOC)은 남중국해 동부 해역 '후이저우 19-6' 지구에서 1억t급 유전을 찾아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중국이 처음으로 해상 심층·초심층 쇄설암(碎屑岩) 대형 유전을 발견한 것으로, 중국의 해양 자원 개발에 있어 중대한 성과로 평가된다. 후이저우 19-6 유전은 중국 남부 광둥성 선전시에서 약 170㎞ 떨어진 주장(珠江) 하구 분지에 위치하며, 평균 수심은 100m다. 측정 결과, 유전에서 하루 413배럴의 원유와 6만8천㎥의 천연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1억t 이상의 자원이 매장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당국이 언급한 '심층'은 매장 깊이 3천500m 이상, '초심층'은 4천500m 이상을 의미한다. 이번 발견은 최근 전 세계 신규 석유·가스 매장량의 60%가 심부 지층에서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중국해양석유그룹의 펑광룽 연구원은 "심층 지층은 자원이 풍부하지만 탐사가 덜 되어 있어 향후 석유·천연가스 성장의 중요한 후계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이번 유전 발견으로 에너지 안보와 해양 자원 개발에 있어 중요한 발판을
[더지엠뉴스] 중국이 드디어 하늘을 나는 드론택시 시대를 열었다. 중국 이항(億航)의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EH216-S가 최초로 상업 운항 허가를 받으며, 유료 승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중국민용항공총국(CAAC)은 이항의 자회사 광둥이항통항과 허페이허이항공에 유인 민간 무인항공기 운영합격증(OC)을 발급했다. 이는 중국 최초로 드론택시가 공식 운항 허가를 받은 사례로, 안전 운항 기준을 충족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번 허가는 중국 정부가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저공 경제'(Low-Altitude Economy)의 핵심 성과로 평가된다. 저공 경제란 고도 1,000m 이하 공역에서 드론과 eVTOL을 활용하는 산업으로, EH216-S의 운항은 저공 경제 유인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EH216-S는 조종사 없이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으며, 승객 2명 또는 260㎏의 화물을 최대 시속 130㎞로 약 25분 동안 비행할 수 있다. 안전 비행 기록도 6만 회 이상을 달성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그러나 드론택시의 상업적 성공까지는 아직 과제가 남아 있다. 비즈니스 모델 최적화와 다양한 지역에서의 상업 운항 허가 확대
[더지엠뉴스]중국 전기차 업체 BYD의 왕촨푸 회장이 전기차 자율주행화가 2∼3년 내에 이루어질 것이라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왕촨푸 회장은 29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전기차 100인 포럼'에서 전기차의 '후반전' 변혁이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며,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의 전환이 2년 만에 이루어진 것처럼 전기차도 비슷한 속도로 스마트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전기차 100인 포럼은 주요 기업과 당국자, 전문가들이 모여 전기차와 스마트 주행의 발전을 논의하는 자리다. 중국 자동차 업계는 전기화를 신에너지차 경쟁의 '전반전'으로, 스마트화를 '후반전'으로 구분해 보고 있다. BYD는 전기차 스마트 주행의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모델을 스마트 주행 에디션으로 업그레이드하며, 가격도 10만 위안(약 2천만 원) 이하로 설정해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왕 회장은 이와 함께 신에너지차 해외 진출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리창 부총재는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컴퓨팅 능력이 여전히 테슬라에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하며, 자율주행 기술 향상을 위해 더 많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BYD는 지난해 전기차 판매량에서 테슬라를 앞
[더지엠뉴스] 샤오미가 자사 고성능 스마트폰 브랜드 포코(POCO)의 신작 '포코 F7 프로'를 한국 시장에 처음 선보인다고 밝혔다. 28일 기준, 샤오미는 포코 브랜드를 통해 고성능·가성비 전략을 내세우고 있으며, 이번에 처음으로 국내에 F 시리즈를 출시한다. 포코 F7 프로와 F7 울트라는 샤오미의 최신 운영체제인 하이퍼OS 2를 탑재해 반응 속도를 개선하고, 기기간 연결 기능도 강화됐다. 이와 함께 구글의 인공지능 플랫폼 제미나이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어시스턴트도 지원된다. 프로 모델에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8 Gen 3 칩셋이, 울트라 모델에는 스냅드래곤 8 엘리트 플랫폼이 적용됐다. 샤오미 측은 CPU 성능은 최대 45%, GPU는 44% 향상됐으며, 전력 소비는 각각 52%, 46%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용량도 차별화됐다. 프로는 6천mAh, 울트라는 5천300mAh의 대용량 배터리를 갖췄으며, 1천600회 충전 후에도 초기 용량의 80%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카메라 역시 고성능 사양을 갖췄다. 5천만 화소의 라이트 퓨전 800 이미지 센서가 탑재됐고,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처리 기술도 적용돼 사진 품질 향상에 중점을 뒀다.
[더지엠뉴스]국가통계국은 27일, 올해 1~2월 중국 전국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매출이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4년 전체 증가율보다 0.7%포인트 빠른 수치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순이익은 0.3% 감소했으나, 2024년 연간 낙폭보다 3.0%포인트 줄어들며 회복 조짐을 보였다. 통계에 따르면 총수익에서 생산 원가를 제외한 기준으로 집계한 이익은 2024년 전체 0.3% 감소에서 올해 1~2월 2.0% 증가로 전환됐다. 국가통계국 공업사 우웨이닝(于卫宁, Yu Weining) 통계사는 “1~2월 산업 기업의 매출과 이익 모두 회복세를 나타냈고, 특히 설비제조와 원자재 산업은 손실에서 이익으로 전환됐다”고 평가했다. 설비제조업의 경우, 1~2월 매출은 전년 대비 8.1% 늘어나 전체 산업 평균보다 5.3%포인트 높았다. 이익도 5.4% 증가하며 산업 전체 이익 상승에 1.4%포인트 기여했다. 이 분야 8개 산업 중 6개 업종이 흑자 전환했다. 원자재 제조업 이익은 15.3% 증가하며, 작년 22.9% 감소에서 큰 폭의 개선세를 보였다. 특히 신에너지 수요 증가로 비철금속 산업 이익은 20.5% 급등했다. 정부의 대규모 설비 교
[더지엠뉴스]중국 가전업체들이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중심 전략에서 벗어나 자체 브랜드 수출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시장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26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중국 가전의 글로벌 진출 가속화’란 특집 기사에서 중국 수출입상품교역회(캔톤페어)를 앞두고 중국 가전 기업들이 고급 시장까지 진출하며 적극적인 수출 수주전에 돌입했다고 전했다. 중국 남부 광둥성 중산시에 위치한 한 기업 관계자는 과거에는 대기업만 해외 진출을 시도했지만, 지금은 2·3선 업체들까지도 자사 브랜드를 앞세워 해외로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주문자상표 생산 방식에서 벗어나 자체 브랜드 생산 방식(OBM)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중국 가전제품 수출액은 2019년 700억달러에서 2024년 1천124억달러로 60% 이상 증가했다. 반면 중국 내수 시장은 8천억~9천억위안 수준에서 정체돼 있어, 수출이 성장의 핵심 축이 되고 있다. TCL, 하이센스, 하이얼 등 중국 주요 가전 브랜드들은 기술 혁신과 고급화 전략을 통해 삼성전자, LG전자, 일본 다이킨 등과 하이엔드 시장에서 정면 경쟁에 나섰다. TCL의 장뱌오
[더지엠뉴스]중국의 대표 IT기업 샤오미(小米)가 자금 조달을 위해 8억 주 규모의 주식 배치를 단행하며 약 425억 홍콩달러를 마련할 계획이다. 25일 홍콩거래소 공시에 따르면 샤오미는 보유 중인 기존 주식 8억 주를 주당 53.25홍콩달러에 배치한다고 밝혔다. 총 조달 금액은 약 425억 홍콩달러(약 7조3천억 원)로, 향후 사업 확장과 연구개발(R&D), 일반적인 기업 운영 목적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보다 앞선 24일에는 주당 52.80~54.60홍콩달러 범위로 7.5억 주를 배치할 것이라는 소문이 나왔으나, 당시 샤오미 측은 “통보받은 바 없다”고 부인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공식 발표로 샤오미는 대규모 외부 자금 유치를 사실상 확정했으며, 특히 향후 주력 사업으로 키우고 있는 전기차 부문 투자 확대를 위한 자금 확보 성격이 강하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샤오미 주가는 최근 59.45홍콩달러까지 치솟았으며, 이번 주식 배치 가격은 24일 종가(57홍콩달러)보다 6.58% 할인된 수준이다. 샤오미는 최근 공개한 2024년 연간 실적에서 사상 최대인 3,659억 위안의 매출과 272억 위안의 조정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연 매출은 전년 대비
[더지엠뉴스]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개발자 플랫폼에 아무런 예고 없이 최신 AI 모델 V3의 업데이트 버전을 올리며 글로벌 시장에 다시 충격을 던졌다. 25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딥시크는 공식 발표 없이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V3-0324’라는 이름의 모델을 등록했다. 허깅페이스는 거대언어모델(LLM)과 머신러닝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딥시크의 이번 조용한 출시는 개발자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다. 업데이트된 모델은 기존보다 프로그래밍 기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코드 생성, 디버깅, 알고리즘 문제 해결 등에서 뛰어난 지원 능력을 보여주며, 실제 적용 사례에서 높은 효율성과 정확성을 입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딥시크는 지난 1월에도 미국 애플 앱스토어에서 챗GPT를 제치고 무료 앱 다운로드 1위를 기록하며 업계를 놀라게 한 바 있다. 당시 공개된 경량형 추론모델 R1은 성능과 속도에서 오픈AI의 최신 모델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평가받았고, 이로 인해 미국 기술주가 흔들릴 정도의 파장이 이어졌다. R1은 수십억 달러의 인프라 없이도 고성능 모델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면서
[더지엠뉴스]미국과 중국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기술전쟁에 돌입했다. 25일 CNN은 집안일을 처리하고 간병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아이 로봇’이 현실이 되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의 주요 기술기업들이 이 시장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등이 피규어AI(Figure AI)에 투자했으며, 메타플랫폼(페이스북 모회사)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는 지난달 자사의 옵티머스(Optimus) 프로젝트가 장기적으로 최대 10조 달러(약 1경 4,698조 원)의 매출을 낼 수 있다고 언급하며 로봇 산업의 잠재력을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휴머노이드가 자동차나 휴대전화처럼 모든 가정에 보급될 소비자 전자제품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다. 홍콩대학 시닝 교수는 휴머노이드가 본격적인 사회적 영향력을 갖기까지 5~10년이 걸릴 수 있지만, 결국은 대중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2035년까지 전 세계 휴머노이드 시장 규모가 380억 달러(약 5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으며, 5년 내 산업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