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6일 중국의 대표적 증권·경제 매체들은 노동절 연휴를 지나며 본격적으로 회복세에 접어든 소비 시장, 자금이 유입되는 증시, 민영경제 활성화 법제화 등 내수와 금융 안정 강화를 주요 이슈로 보도했다. 중국증권보는 ‘메이데이’ 연휴 동안의 자동차 시장 현황을 심층 취재하며, 베이징과 항저우 등지의 자동차 판매점들이 최대 5만 위안의 종합 할인, 무료 운전자 보조 시스템, 무료 충전 서비스 등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연휴 기간 동안 소비 진작과 차량 재고 해소를 동시에 겨냥한 전략으로, 중국 자동차 시장의 활력 회복을 뚜렷이 보여준다. 같은 지면에서는 중국전력투자공사(국가전력투자공사)의 계열사인 전력투자에너지(002128)가 5일 저녁 내몽골 백인화석탄화력유한공사의 지분 100%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도 실렸다. 이 인수는 주식 발행과 현금 지급 방식을 병행하는 대규모 자산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에너지 분야 국유자산 통합의 본격화로 풀이된다. 상하이증권보는 올해 상하이와 선전증시에 상장된 기업의 70% 이상이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들이 GDP와 제조업 총이익에서 각각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강조
[더지엠뉴스] 아시아 주요 통화가 연휴 기간 동안 달러 대비 일제히 상승 흐름을 나타냈다. 5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전날까지 이어진 강세에 힘입어 이날 오전 10시 31분 기준 역외 위안화 환율은 달러당 7.20위안을 돌파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으로 해당 지점을 넘긴 것으로, 하루 사이 130포인트 넘게 급등했다. 같은 시간대, 홍콩달러는 연속 두 거래일 동안 강세 흐름을 보이며 역내 거래 허용 구간의 상단인 7.75홍콩달러 선까지 치솟았다. 홍콩 금융관리국은 이를 대응하기 위해 465억 홍콩달러를 매도하고 달러를 매입했다. 이런 조치는 2020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홍콩 금관국 관계자는 "최근 주식시장 자금 유입과 아시아 통화 강세 흐름이 홍콩달러를 지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환 분석가들은 약세를 보이는 미국 달러, 강해진 '남하자금'(중국 자본의 홍콩 유입)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신타이완달러도 이틀 연속 급등세를 나타냈다. 이날 개장 직후 환율은 달러당 29.50 신타이완달러까지 하락하며, 4%에 가까운 일일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 4일에는 4.48% 뛰었다. 결과적으로 이틀 만에 8% 이상 절상된 것이다. 이는 단일 지역 현상이 아니었
[더지엠뉴스]중국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며 28일 AH시장에서도 관련주들이 크게 상승했다. 미국 시카고 미시간 애비뉴에 문을 연 팝마트(泡泡玛特, Pop Mart) 매장 앞에는 신제품 발매를 기다리는 인파가 새벽부터 길게 줄을 섰다. 뉴욕 중앙역에서도 중国产 액션캠을 구매하기 위해 이른 새벽부터 긴 대기열이 형성됐다. 미국 현지에서 인기를 끈 제품은 팝마트의 대표 IP인 라부부(LABUBU) 세 번째 시리즈 ‘전방 고에너지(前方高能)’와 선전(深圳, Shenzhen) 기업 영석창신(影石创新, Insta360)이 개발한 인스타360 X5(Insta360 X5) 전방위 카메라다. 라부부(LABUBU)는 홍콩 예술가 용가승(龙家升, Kenny Wong)이 창작한 캐릭터로, 북유럽 숲의 요정을 모티브로 삼았다. 세계적인 스타 리한나(Rihanna)와 케이트 블란쳇(Cate Blanchett)도 라부부 인형을 착용하고 외출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전방 고에너지 시리즈는 출시가 99위안으로 책정됐으나, 국내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최대 1300위안까지 치솟아 12배 이상의 프리미엄이 붙었다. 팝마트의 공식 앱은 25일 미국 앱스토어 쇼핑 부문 1위에 올
[더지엠뉴스]샤오미 창업자 레이쥔이 다시 입을 열었다. 15일, 그는 소셜미디어에 ‘샤오미 스마트폰 3월 중국 시장 판매 1위’라는 조사 결과를 공유하며 “응원에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그의 이번 발언은 지난 6일 이후 9일 만이다. 공개된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3월(10주~13주 기준),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샤오미는 신규 스마트폰 활성화 수 324만3700대로 전체 1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17.98%였으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6.99% 증가했다. 2위는 화웨이로 322만9600대, 점유율 17.90%, 전년 대비 19.87% 상승이었다. 3위부터는 비보, 오포, 애플 순이었지만 모두 전년보다 하락세를 보였다. 샤오미와 화웨이만 유일하게 전년 대비 판매량이 증가한 셈이다. 오포는 271만5000대(-7.69%), 비보는 288만6800대(-2.71%), 애플은 255만6500대(-9.86%)를 기록했다. 샤오미 내부 임원들도 줄줄이 글을 올렸다. 샤오미 총괄 사장 루웨이빙은 “3월 중국 시장에서 샤오미가 1위를 차지했으며, 성장한 브랜드는 샤오미와 화웨이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성과에는 샤오미 15 시리즈의 역할이 컸다. 2024년 10
[더지엠뉴스] 중국의 대표 전자 제조업체 리쉬웬징미(立讯精密, Luxshare Precision)가 미국 내 생산기지 설립설에 대해 전면 부인하고 나섰다. 14일 기준, 미국이 발표한 ‘상호관세(对等关税)’ 조치가 글로벌 증시에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A주 상장사 120여 곳이 잇달아 투자자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입장을 밝혔다. 리쉬웬징미는 자사 매출의 85%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미국을 제외한 지역에서 나오는 만큼 미국 관세로 인한 타격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특히 일부에서 제기된 ‘미국 현지 공장 건설설’에 대해서는 “사실무근”이라고 단호하게 부인했다. 데이터바에 따르면 4월 7일부터 11일까지 투자자 소통 플랫폼을 통해 140개 기업이 관세 영향을 설명했으며, 이 중 120개 기업은 영향이 미미하다고 강조했다. 다수 기업은 “미국 고객과 긴밀히 협의 중이며 관세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영향이 적다고 밝힌 업종은 전자, 전력장비, 기계, 자동차, 기초화학 분야 순으로 많았다. 고얼(歌尔, GoerTek)은 “수출 거래 대부분이 FOB 조건으로, 관세는 미국 수입자가 부담한다”며 영향이 제한적
[더지엠뉴스]중국 각지의 지방 국유자본 플랫폼들이 상장회사의 주가를 지키기 위해 적극적인 자금 투입에 나섰다. 9일 기준, 상하이(上海, Shanghai), 안후이(安徽, Anhui), 저장(浙江, Zhejiang) 등 주요 지역의 국유자본 운영 기관들이 자사주 매입, 지분 확대, 장기 보유 등을 통해 중국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를 행동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하이에서는 상하이고성그룹(上海国盛集团)을 비롯한 다수 국유자본 운영 기관이 상하이 국유기업 상장지수펀드(ETF)와 상장기업 주식을 대거 사들이고 있다. 이들은 자본시장 안정을 위해 장기자본, 전략자본, 인내자본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히며, 상장사의 고품질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상하이국제그룹(上海国际集团)은 금융지주사와 시가총액 관리를 결합한 핵심 기능을 앞세워 전략적 투자기관과 상장사 지분을 장기 보유하고 있으며, CVC(기업벤처캐피탈), 기술성과 전환펀드 등 혁신자본을 통해 가치 창출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상하이국투(上海国投公司)는 펀드 관리 및 혁신 인큐베이팅에 초점을 맞춰, 상장사와의 공동 펀드 운용, 기술창업 육성 등을 통해 실질적 가치 방어에 나서고 있다. 안후이성에서는 안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가 4대 국영은행의 자본을 확충하기 위해 무려 5천억 위안(약 101조 2천650억 원)을 투입한다. 이번 대규모 자본 확충은 중국 경제의 안정성을 높이고 금융기관의 실물 경제 지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31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의 4대 국영은행인 교통은행, 중국은행, 중국우정저축은행, 중국건설은행은 상장 주식 유상증자를 통해 총 5천200억 위안을 조달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중국 재정부가 유상증자의 최대 투자자로 나서며 5천억 위안 규모의 주식을 매입한다. 자금은 특별 국채 발행으로 마련될 예정이다. 은행들은 지난 28일 상하이 증시 종가에 8.8~21.5%의 프리미엄을 더해 신주를 발행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는 국영은행들의 자본 비율을 유지하고, 신흥 산업 지원과 금리 인하로 인한 예대마진 하락 압력에 대응하려는 목적이 크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9월 국영은행 지원 계획을 처음 발표했으며, 이달 초에는 5천억 위안 규모의 특별 국채 발행을 통해 주요 국영은행의 자본 확충을 발표했다. 중국의 대규모 금융 지원은 경제 성장 목표인 5% 달성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 분석된다. 특히 주택담보대출과 금리 인하 등
[더지엠뉴스] 홍콩 증시가 고점에서 조정을 받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 흐름은 구조적인 하락이 아닌 일시적인 숨 고르기로 분석됐다. 26일 LS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초 주요국 증시 대비 양호한 흐름을 이어오던 홍콩H지수가 고점 대비 6.1% 하락하며 약세장에 진입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지만, 이는 과열에 따른 자연스러운 조정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백관열 연구원은 AH 프리미엄 지수를 기준으로 홍콩 증시가 단기적으로 과열권에 진입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익 실현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라는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변수는 중화권 투자 심리를 크게 훼손하지 못했다고 판단했다. 단기적으로는 하방 압력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는 하락 전환보다는 순환매 또는 과열 해소 과정으로 봐야 한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백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양회 이후 내놓고 있는 각종 부양책에도 주목했다. 임금 인상, 가계 자산 증가, 소비 진작, 부동산 대출 한도 확대 등의 조치가 연이어 발표되며 정책적 기대감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기업들의 이익 경로가 지난 수
[더지엠뉴스] 홍콩에서 열린 ‘밀켄연구소 글로벌 투자자 심포지엄’에서 중국 주식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이 두드러지게 드러났다고 24일 중국 매체가 보도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유력 경제 싱크탱크인 밀켄연구소(Milken Institute)가 주관했으며, 중국에서 두 번째로 열린 투자 회의였다. 포럼에 참석한 다수의 투자 전문가들은 “중국 자산에 대한 기대심리가 회복되고 있으며, 향후 중국 증시는 여전히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입을 모았다. 중국 알리바바 공동창업자 차이충신(蔡崇信)의 블루풀 캐피털 CEO 올리버 와이스버그는 “최근 사모펀드, 헤지펀드, 롱포지션 기반 펀드들이 다시 홍콩으로 몰려들고 있다”며 “이는 홍콩이 글로벌 투자 중심지로 복귀하는 신호”라고 강조했다. 웰링턴 인베스트먼트의 아시아 투자 책임자 자넷 퍼루말은 중국의 인공지능(AI) 대표주자인 딥시크(DeepSeek)의 부상 이후 “중국 주식은 올해 더 오를 ‘절대적 공간’이 있다”고 단언했다. 그녀는 “중국 기업은 글로벌 평균 대비 현저히 저평가되어 있으며, 특히 미국 기술기업에 비해 수익성과 주주환원 측면에서 오히려 우위”라고 덧붙였다. 올해 초부터 특히 홍콩 주식시장에는 반
[더지엠뉴스] 14일(현지시간) 중국 주요 주가지수가 정부의 소비 진작책 발표 예고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 급등하며 연고점을 새로 썼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는 60.83포인트(+1.81%) 상승한 3,419.56으로 마감하며 지난해 12월 30일(3,407.326) 이후 처음으로 3,400선을 돌파했다.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는 94.98포인트(+2.43%) 오른 4,006.56으로 마감하며, 지난해 12월 12일(4,028.51) 이후 처음으로 4,000선을 회복했다. 이날 상승률은 상하이종합지수와 CSI 300지수가 각각 2.54%, 2.63% 상승했던 지난 1월 14일 이후 약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국 재정부, 상무부, 인민은행 등 경제 관련 부처는 오는 17일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내수 진작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중국 정부가 양회(两会,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설정한 것과 맞물려 시장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대표적인 소비주들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중국의 대표적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