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한국 반도체 기술이 중국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불과 2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이 앞서 있다는 평가가 있었으나, 최근 조사에서는 대부분의 분야에서 중국이 우위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발표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문가 3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한국의 반도체 기초 기술 역량이 전반적으로 중국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놓고 평가했을 때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에서 한국 90.9%, 중국 94.1% ▲고성능·저전력 AI 반도체 기술에서 한국 84.1%, 중국 88.3% ▲전력반도체에서 한국 67.5%, 중국 79.8% ▲차세대 고성능 센싱 기술에서 한국 81.3%, 중국 83.9%를 기록했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만이 한국과 중국이 동일한 74.2%로 평가됐다.
반도체 기술의 상용화 측면에서도 한국은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과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에서만 중국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같은 조사에서 한국이 중국보다 우위에 있다고 평가받았던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로, 2년 사이 중국이 빠르게 격차를 좁히면서 오히려 앞서나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산업이 ▲핵심 인력 유출 ▲미·중 기술 패권 경쟁 ▲각국의 반도체 자립 정책 ▲공급망 변화 등의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이 중 AI 반도체 기술만이 한국에 유리한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KISTEP은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력 확보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확대 ▲핵심 인재 양성과 기존 인력 유출 방지 등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