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의 대중국 수입을 또다시 멈추며 양국 간 갈등이 한층 긴장되는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대만 문제를 둘러싼 정치적 충돌과 경제적 조치가 연속으로 이어지며 중일 관계의 충격 범위가 빠르게 확장되는 모습이다.
19일 일본 매체에 따르면, 중국은 이날 오전 외교 채널을 통해 일본 정부에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즉시 중단하겠다는 방침을 전달했다.
이번 조치는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최근 대만 유사 상황에서 일본이 집단적 대응에 나설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놓은 뒤 이어진 일련의 대응 가운데 또 하나의 조치로 언급됐다.
중국은 이미 일본 여행 자제 권고와 유학 관련 경보, 일본 콘텐츠 개봉 일정 조정 등 다양한 형태의 조치를 취해 왔다.
해당 발표는 일본산 식품 수입 재개의 시차를 고려할 때 더욱 주목을 받았다.
2023년 8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방류가 시작된 직후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전면 금지를 시행했고, 이후 후쿠시마(福岛, Fudao)와 미야기(宫城, Gongcheng) 등 10개 광역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제품은 제한적 절차를 거쳐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재개됐다.
이달 초 홋카이도 지역 냉동 가리비가 중국 시장에 반입되며 2년 만에 일본산 수산물이 다시 통관 절차를 밟기 시작했지만, 약 보름 만에 흐름이 다시 끊긴 셈이 됐다.
중국 측은 방사성 물질 검사를 둘러싼 관리·감독 체계가 엄격하게 운영되고 있다며, 오염수 관련 위험 요소가 발견될 경우 수입 제한을 즉시 시행할 수 있다는 기존 원칙을 유지했다.
중국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 대한 국제적 감시 체계를 강조해 왔고, 중국 당국이 자체적으로 샘플 채취와 모니터링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수입 재개 과정에서 중국은 일본 측에 관련 시설 등록과 방사성 물질 검사 증명서 제출을 요구했으나, 일본에서 신청한 600여 개 시설 가운데 승인된 곳은 극히 일부에 그쳤다.
일본 언론은 중국이 추가적인 안전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세웠다고 보도하며, 수입 중단 통보가 일본 정부 관계자를 통해 확인됐다고 전했다.
중국은 식품 안전 관리 체계와 관련 절차가 법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다시 언급하며, 방류 문제를 둘러싼 국제 사회의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해 관리 기준을 지속 유지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이번 조치는 대만 문제를 둘러싼 외교적 갈등과 경제 조치가 서로 맞물려 움직이는 국면에서 발표됐다는 점에서 중일 관계의 긴장도를 가늠하는 지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