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7.6℃구름많음
  • 강릉 20.3℃맑음
  • 서울 18.2℃구름많음
  • 대전 18.5℃맑음
  • 대구 19.0℃맑음
  • 울산 20.0℃맑음
  • 광주 18.4℃맑음
  • 부산 19.1℃맑음
  • 고창 18.4℃맑음
  • 제주 21.3℃맑음
  • 강화 15.3℃구름많음
  • 보은 17.3℃구름조금
  • 금산 18.1℃맑음
  • 강진군 18.7℃맑음
  • 경주시 20.7℃구름조금
  • 거제 19.7℃맑음
기상청 제공

2025.05.29 (목)

중국 과학기술이 돈을 끌어모으는 이유 [시장 인사이트 38]

2024년, 대학과 연구소 기술이 억단위 투자를 받은 10가지 사례



화면 캡처 2025-03-21 125311.jpg

 

 

[더지엠뉴스] 중국 과학기술의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자본의 눈에 띄기 시작했다.

2024년 한 해 동안, 중국 각 대학과 과학기관이 중심이 된 기술 성과 전환 기업들이 총 수십억 위안 규모의 자금을 유치했다. 그 중심에는 인공지능, 반도체, 우주기술, 합성생물학, 데이터베이스 등 첨단 분야가 포진해 있었다.

 

2024년 가장 큰 규모의 자금 유치 사례는 칭화대학의 즈푸 AI였다.

12월 17일, 즈푸 AI는 총 30억 위안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받으며 기업가치를 약 300억 위안으로 끌어올렸다.

이 회사는 1996년 칭화대 컴퓨터학과의 지식공학실험실에서 시작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대형 모델 분야의 선두주자로 성장하고 있다.

 

두 번째로 큰 사례는 화중과기대학의 다멍데이터였다.

이 회사는 6월 12일, 커촹판 상장을 계기로 16.5억 위안의 투자를 유치했다.

자체 개발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고성능, 고신뢰성, 고보안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며, 중국 정부와 금융기관 등에서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있다.

12월 5일에는 전자과기대학의 쟈츠커지가 커촹판에 상장하면서 12.45억 위안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쟈츠커지는 전력전자 장비와 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용 제어 시스템의 디지털화를 선도하고 있다.

 

베이징대학의 인허통용도 11월 18일 12억 위안의 자금을 유치했다.

위성통신과 우주항법기술을 접목한 고신뢰 통신 플랫폼을 개발 중인 이 회사는, 중국의 차세대 국방통신 인프라 구축에도 관여하고 있다.

중국과학원위성혁신연구원의 거스항톈은 12월 30일 A 플러스 라운드에서 10억 위안을 투자받았다.

이 회사는 소형 위성군 구성과 정밀 영상처리 기술을 통해, 상업용 우주관측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푸단대학의 줴신웨이뎬즈는 3월 8일 5억 위안을 투자받았다.

이 회사는 반도체 결정 및 부품 공정에 특화된 기술로, 항공우주 및 정밀 장비용 집적회로를 개발 중이다.

9월 2일에는 칭화대학의 또 다른 기업인 우원신츙이 약 5억 위안의 투자 유치를 발표했다.

이 회사는 인공지능 대형 모델에 특화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협업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독자적 추론 가속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공간기술연구원 산하 항톈위싱은 5월 6일 B 및 C 라운드에서 각각 수억 위안을 확보했다.

고정밀 항법 위성과 민간 우주선 통신 기술에 집중하는 이 회사는 중국 우주사업 민영화 흐름의 대표 주자다.

중국과학원미생물연구소의 기술 성과 전환 기업인 웨이위안허청도 8월 29일 A 라운드에서 3억 위안 이상을 투자받았다.

이 기업은 합성생물학 기반으로 희귀당, 천연색소, 활성 분자 등을 개발하고 있다.

 

중국과학기술대학의 중커커러는 2월 26일 프리 A 라운드에서 3억 위안의 자금을 확보했다.

이 회사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태양광 패키징 소재, 사이클로올레핀 공중합체 등 신소재 산업화에 주력하고 있다.

 

2024년의 이들 10대 자금 조달 사건은 단순한 투자 성과를 넘어서, 중국의 기술력과 자본이 맞닿는 접점이 어떻게 확장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관련기사

3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통찰·견해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