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중국 애니메이션 ‘너자 2’가 북미 시장에서 강한 존재감을 보이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반면 마블의 신작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캡틴 아메리카 4)는 개봉 2주 차에 극장 수익이 68%나 감소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미국 박스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너자 2’는 단 772개 상영관에서만 상영됐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약 1,486만 달러(한화 약 214억 원)의 수익을 기록하며 외국어 영화로서는 이례적인 성적을 거두고 있다. 특히 ‘너자 2’는 지난달 29일 중국에서 개봉한 이후 단 9일 만에 역대 중국 최고 흥행 애니메이션으로 등극했다. 전 세계 누적 수익 역시 16억 9,900만 달러(약 2조 4,500억 원)를 넘어서며 ‘인사이드 아웃 2’를 제치고 글로벌 애니메이션 흥행 1위에 올랐다. 반면, 마블의 ‘캡틴 아메리카 4’는 개봉 첫 주말 8,088만 달러(약 1,277억 원)를 벌어들이며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지만, 2주 차 주말 수익은 2,820만 달러(약 406억 원)로 급감했다. 이는 최근 마블 작품들의 부진한 성적과 비슷한 흐름이다. 지난해 개봉한 ‘더 마블스’가 2주 차에 78%, ‘앤트맨과 와스프: 퀀
[더지엠뉴스] 미국 정부가 중국 해운·조선업을 겨냥한 새로운 규제를 추진하면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선박과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에 대해 항만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이 포함되면서,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 선박당 최대 100만 달러 또는 선박 용적 기준 톤당 최대 1천 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또한, 복수의 선박을 운영하는 선사의 경우 최대 150만 달러까지 추가 수수료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이에 대해 즉각 반발하며, 미국의 조치가 국제 무역 규칙을 위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이미 미국과 여러 차례 소통하며 입장을 전달했지만, 미국이 일방적인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상무부 대변인은 이번 조치가 미국의 조선업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운 비용을 상승시켜 물류비 부담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항만 사용료가 높아지면 해운업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미국 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미국 정부는 중국과의 투자 제한 조치도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더지엠뉴스] 중국이 인공지능(AI) 인재 양성에서 빠른 성장을 보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핵심은 상위 5% 인재를 선별해 집중 교육하는 특별 과정과 국가 차원의 AI 교육 인증제 도입이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마이크로 전공 도입 ▲‘AI+X’ 융합 교육 ▲AI 교육 품질 관리 ▲산학연 협력 등 체계적인 인재 양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비전공자도 AI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단기 학위 과정인 ‘마이크로 전공’을 운영하며, 해당 과정 도입 대학을 올해 100개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중국 대학 입학시험(가오카오) 상위 5% 학생을 대상으로 ‘강기계획’을 통해 베이징대 ‘투링반’, 칭화대 ‘야오반’ 등 AI 특화 교육을 제공하며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를 배출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은 AI 교육을 국가 차원에서 표준화하고 인증제를 도입해 교육 품질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정부 차원의 AI 실력 평가가 부재한 상황으로, AI 교육 체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고서는 중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향후 인재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2
[더지엠뉴스] 한국 반도체 기술이 중국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불과 2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이 앞서 있다는 평가가 있었으나, 최근 조사에서는 대부분의 분야에서 중국이 우위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발표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문가 3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한국의 반도체 기초 기술 역량이 전반적으로 중국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놓고 평가했을 때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에서 한국 90.9%, 중국 94.1% ▲고성능·저전력 AI 반도체 기술에서 한국 84.1%, 중국 88.3% ▲전력반도체에서 한국 67.5%, 중국 79.8% ▲차세대 고성능 센싱 기술에서 한국 81.3%, 중국 83.9%를 기록했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만이 한국과 중국이 동일한 74.2%로 평가됐다. 반도체 기술의 상용화 측면에서도 한국은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과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에서만 중국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같은 조사에서 한국이 중국보다 우위에 있다고 평가받았던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로,
[더지엠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열린 빅테크 중심의 민영기업 좌담회에서 중국 경제의 장기적인 우위를 강조하며 자신감을 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21일 시 주석이 참석한 지난 17일의 비공개 좌담회 내용을 보도했다. 그는 당시 민영기업 대표들에게 "장기적으로 동풍(東風)이 우세할 것"이라며 "자신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현재 중국 경제가 직면한 일부 어려움과 도전에 대해 "이는 개혁과 발전, 산업 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중국 경제의 장기적인 긍정적 요소와 기본적인 성장 추세는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시 주석의 '동풍이 우세하다'는 발언이 마오쩌둥이 1957년 구소련 방문 당시 했던 "동풍이 서풍을 압도한다"는 발언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동풍과 서풍은 각각 사회주의 세력과 자본주의 세력을 의미하며, 이는 중국의 부상과 서방의 쇠퇴를 시사하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한편, 시 주석은 춘제(春節·중국 설) 기간에 열린 행사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한 유니트리(Unitree) 창립자 왕싱싱을 격려한 것으로도 전해졌다. 그는 1990년생인
[더지엠뉴스] 금값이 치솟는 가운데, 중국에서 한 여성이 1억4천만 원짜리 순금 냄비를 제작해 훠궈를 끓이는 영상을 공개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중국 광둥성 선전시의 한 금은방은 고객의 주문을 받아 1kg짜리 순금 골드바를 녹여 냄비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이 황금 냄비의 가격은 70만 위안(약 1억4천만 원)에 달한다. 제작 과정은 금을 가열하고 두드리며 한 달 동안 정교하게 다듬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냄비를 주문한 여성은 완성되자마자 이를 이용해 훠궈를 끓였으며, 저렴한 라면을 넣어 먹는 장면을 영상으로 공개했다. 이 영상이 중국 SNS에 퍼지자 네티즌들은 극명하게 갈렸다. 일부는 "사치의 극치", "경제적 불평등을 조장하는 허세"라며 비판했다. 반면, "기발하고 예술적인 아이디어", "일종의 퍼포먼스"라며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었다. 일부 네티즌은 "금속 성분이 음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건강상의 문제를 제기했지만, 전문가들은 "금의 녹는점은 1,000도가 넘기 때문에 조리 시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여성은 황금 냄비가 일반 냄비보다 물이 빨리 끓는다는 점을 언급했지만, 음식 맛에는 차이가 없었다고 전했다. 금값
[더지엠뉴스] 중국이 가자지구에 추가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 궈자쿤(郭嘉昆)은 19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중국 정부가 약 6만 개의 식량 패키지를 포함한 긴급 인도적 지원을 요르단을 통해 가자지구로 보냈으며, 첫 번째 배송분 1만 2천 개가 이미 출발했다고 전했다. 궈 대변인은 “중국은 가자지구 사태가 국제사회에서 소외되어서는 안 되며, 즉각적인 휴전 이행과 후속 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가자지구의 전후 재건 과정에서는 ‘팔레스타인인에 의한 팔레스타인 통치’ 원칙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궁극적으로는 ‘두 국가 해법’을 통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공존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앞으로도 국제사회와 협력해 가자지구의 인도적 위기를 해결하고, 중동 지역의 장기적인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 국회가 80억 달러 규모의 철도 건설 프로젝트를 승인하면서, 중국과 베트남 간의 교통 및 경제적 연결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양국은 철도 연결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논의해 왔으며, 현재 여러 노선의 타당성 연구 및 계획 수립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더지엠뉴스]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너자2(哪吒2)'가 전 세계 애니메이션 시장을 뒤흔들었다. 18일 로이터통신과 중국 환구시보에 따르면, ‘너자2’는 픽사의 ‘인사이드 아웃2’를 제치고 전 세계 애니메이션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현재까지 누적 수익 16억9,900만 달러(약 2조4,500억 원)를 기록하며, '인사이드 아웃2'의 16억9,800만 달러를 단숨에 넘겨버렸다. ‘겨울왕국2’(14억5,300만 달러)도 순위에서 밀려났다. '너자2'는 춘제 연휴 기간 중국에서만 개봉했지만, 벌써 2억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역대급 기록을 세웠다. 최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서 개봉하며 글로벌 흥행까지 시동을 걸었고, 22일에는 홍콩과 마카오에서도 개봉된다. 중국 내에서는 ‘N차 관람’ 열풍이 불고 있다. 관객들은 SNS에 티켓을 인증하며 "중국이 해냈다"는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다. '너자2'는 중국 신화 속 영웅 ‘너자(나타)’를 현대적으로 각색한 판타지 애니메이션이다. 2019년 개봉한 전작도 대흥행을 기록했지만, 이번 속편은 디즈니와 픽사의 독주를 깨버리는 파격적인 성과를 냈다. 연출을 맡은 양위(楊宇) 감독은 중국 영화계의 거장 장이머우
[더지엠뉴스] 중국 외교부가 18일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한반도 문제, 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경제 경쟁 등 주요 국제 이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중국은 북한 관광 재개와 관련해 "중조(중국-조선) 간 교류 협력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특정 여행사의 계획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피했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중국은 "대화와 협상을 통한 해결이 유일한 방법"이라며 미국과 러시아의 협상을 환영했다. 또한, 모든 당사국이 적절한 시기에 협상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틴아메리카에서의 미중 경쟁에 대한 질문에는 "중국은 지리적 패권을 추구하지 않으며, 협력과 상생이 핵심"이라며 미국이 영향력 확대를 목적으로 중국 견제에 나서는 것은 비합리적이라고 반박했다. 이 외에도 중국 외교부는 글로벌 연금 문제,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가능성, 우크라이나의 광물 협상 문제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답변했다.
[더지엠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베이징에서 중국의 대표적인 민간기업 총수들과 회동을 가졌다. 이번 회동에는 알리바바 창업자인 마윈, 화웨이의 런정페이, 샤오미의 레이쥔, 전기차 기업 BYD의 왕촨푸 등 주요 기업인들이 참석했다. 특히, 최근 AI 분야에서 급부상한 딥시크(DeepSeek)의 량원펑도 참석해 주목받았다. 시진핑 주석은 연설에서 “민영 경제 발전은 중국 경제 성장의 중요한 부분이며, 민간 기업이 국가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일부가 먼저 부자가 되어야 한다”는 덩샤오핑의 ‘선부(先富)론’을 다시 언급하며, 공동 부유(共富) 정책과 균형을 맞추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이번 회동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직후 열린 것으로, 중국 정부가 민간 기업과 협력해 경제 성장과 기술 자립을 도모하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마윈의 등장도 관심을 모았다. 그는 2020년 알리바바의 금융 자회사인 앤트그룹 상장이 좌절된 이후 공개 석상에서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회동에 참석하면서 중국 정부와 기업 간의 관계가 다시 회복되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