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의 국영 항공제조기업 중국항공공업그룹(中国航空工业集团, AVIC)이 파리에어쇼를 통해 J-10CE 전투기와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 J-35A를 처음으로 해외 전시에 선보였다. 17일 홍콩 성도일보 등 중화권 매체에 따르면, J-10CE는 지난달 인도-파키스탄 군사충돌 당시 파키스탄군이 운용해 인도 공군의 라팔(Rafale) 전투기를 포함한 5기를 격추했다고 주장된 기종이다. 중국항공공업그룹은 16일(현지시간) 개막한 프랑스 파리에어쇼에서 ‘함께 힘을 모아 가치를 창조한다’는 주제로 30개 핵심 항공 제품을 공개했으며, 이 중 J-10CE는 수출용 단좌 단발 다목적 전투기로 소개됐다. 해당 기체는 시계 밖 교전 능력, 지상 정밀 타격, 전자전 대응, 초음속 비행, 단거리 이착륙, 공중 급유 등의 역량을 갖췄다고 설명됐다. 특히 J-10CE는 파키스탄이 중국 외 국가 중 유일하게 도입한 기종으로, 파키스탄 공군은 2020년 중국에 PL-15E 공대공 미사일 250발과 함께 총 36대를 주문했으며, 2022년 첫 인도 이후 현재 20대를 실전 배치 중이다. 이와 함께 J-20 이후 개발된 중국의 또 다른 5세대 스텔스 전투기 J-35A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개발한 대규모 양자 컴퓨팅 측정·제어 시스템이 정식으로 인도되며 산업계와 자본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17일 중국 안후이성의 양자정보공학기술연구센터 발표에 따르면, 중국 최초로 천(千)비트 양자컴퓨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초전도 양자 측정제어 시스템 'ez-Q Engine 2.0'이 공식 납품됐다. 해당 시스템은 국둔량쯔(国盾量子, Guodun Quantum) 등 여러 기관이 공동 개발했으며, 총 5000비트 이상의 양자 측정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측정제어 시스템은 양자 컴퓨팅 산업 사슬 상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장비로, 전문가들은 이번 시스템 도입이 중국 양자 산업이 본격적인 고속 성장 단계로 진입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신형 시스템이 연구기관과 기업 현장에 도입되면 관련 투자와 인력 유입이 본격화되며, 양자 생태계 전반의 자립화 및 확산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전날 A주 시장에서도 관련 종목 주가가 크게 상승했다. ‘완더 양자 기술 콘셉트 지수’는 1.42% 상승했고, 시중 기업 중에서는 슝디커지(雄帝科技), 페이톈청신(飞天诚信)이 각각 10% 이상 급등했으며, 둥신허핑(东信和平)은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침습형 뇌-기계 인터페이스(BMI) 기술의 임상시험 단계에 진입하면서, 상하이·베이징·항저우의 선도 기업들이 치열한 기술 경쟁에 돌입했다. 16일 중국 주요 매체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뇌과학센터와 푸단대학 화산병원, 상하이계단의료과기 등이 공동으로 국내 최초 BMI 임상시험을 시작했다. 이는 미국에 이어 전 세계 두 번째 사례로, 의료기기 등록 임상시험 규범에 부합한 연구로 평가된다. 이번 BMI 기술은 주로 척수손상, 루게릭병 등 중증 운동 장애 환자를 위한 것으로, 뇌에 칩을 이식해 외부 장치를 제어하거나 손상된 신경 자극을 회복시키는 방식이다. 상하이계단의료는 이식 후 2~3주 내에 환자가 바둑, 게임 조작 등 기본 제어 기능을 습득했다고 밝혔으며, 베이징의 보루이캉과芯智达, 항저우의佳量의료도 각각 임상시험에 착수하거나 승인을 준비 중이다. 특히芯智达는 '북뇌1호' 칩을 통해 기계팔 제어, 텍스트 출력 등 초기 성과를 발표했고,佳量의료는 저장대학과 함께 신경 인터페이스 수술을 시행해 신체 반응을 복원하는 알고리즘을 실험하고 있다. 업계는 현재 수천 명의 마비 환자가 임상시험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향후 간질
더지엠뉴 김완석 기자 | 중국 서부 쓰촨성 이빈(宜宾, Yibin)시 궁현(珙县, Gongxian)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16일 중국지진대망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 37분경 북위 28.26도, 동경 104.87도 지점에서 규모 4.8의 지진이 관측됐으며, 진원의 깊이는 10km로 파악됐다. 얕은 깊이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은 인근 지역에 강한 진동을 일으켰고, 현지 당국은 즉시 긴급 대응체계를 가동해 인명 피해 여부와 건축물 피해 상황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지진이 발생한 궁현은 쓰촨성 남부 산악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과거에도 단층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했던 지역으로 지질학적 위험성이 높은 곳이다. 현재까지 사망자나 부상자 등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여진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주민 대피와 구조 인력이 배치된 상태다. 중국 SNS 웨이보에는 “지진이 갑작스러웠다”, “창문이 흔들려 깜짝 놀랐다”는 현지 주민들의 반응이 잇따랐다. 중국 당국은 정확한 피해 집계를 마무리하는 한편, 향후 여진에 대비한 경계태세 유지와 재난 예방 교육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인 이트륨-90(Yttrium-90)의 상업용 원자로 기반 대량 생산 기술을 자체 확보했다. 15일 중국중앙(CC)TV 등 중국 관영 매체에 따르면, 저장성에 위치한 친산(秦山, Qinshan) 핵발전소에서 상업용 중수로를 활용한 이트륨-90 유리 미세구체의 방사선 조사 및 검출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중국핵공업그룹(中核集团)은 이를 통해 향후 이트륨-90의 대량 상업화 생산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이트륨-90은 이트륨-89에 중성자를 조사해 생성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체내 투여 후 베타선(β-ray)을 방출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한다. 중국은 이번 기술 확보로, 간암 치료에 널리 쓰이는 이트륨-90 유리 미세구체를 자국 내에서 직접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5일 기준 관련 기관에 따르면, 방사선 조사 후 미세구체의 품질은 기준을 충족했으며, 의료용 분리·분석 작업을 거쳐 실제 의료현장 투입이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중수로(重水炉)는 높은 중성자 밀도와 안정적 연속운전이 가능해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에 적합한데, 친산 핵발전소는 중국 내 유일한 상업용 중수로를 보유하고 있다. 이 핵발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13일 중국 매체 보도에 따르면, 팝마트(泡泡玛特, Pop Mart)가 운영하는 LABUBU는 최근 세 번째 시리즈 출시와 함께 각종 한정판과 ‘숨겨진 캐릭터’로 수집 욕구를 자극하며 수십 배 프리미엄이 붙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소비자들 사이에선 “생산량 부족인가, 의도된 조절인가”라는 의심이 확산되고 있다. LABUBU는 홍콩 예술가 룽자성(龙家升, Long Jiasheng)이 만든 캐릭터로, 이른바 ‘겉은 반항, 속은 유약한’ 감정의 반전 매력으로 Z세대의 공감을 끌어내며 유명세를 탔다. 특히 2024년 출시된 3.0 시리즈부터는 전세계적으로 동시 품절 사태가 이어졌고, 일반 상품은 정가 99위안(약 1만8천원)에서 200위안(약 3만7천원) 이상으로, 한정판은 수천 위안에서 1만 위안(약 185만원)을 넘는 거래도 확인됐다. 일각에선 “중국 섬유·완구 산업의 생산 능력을 감안하면 공급 부족이 사실인지 의문”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이에 대해 팝마트는 "설 명절 이후부터 인력을 재배치하고 생산 라인을 확대했지만, 수요 증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회사 내부에서는 일부 IP에 대해 ‘7할 포만감 전략’을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베이징에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 4S 매장이 문을 연다. 로봇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 중인 중국이 본격적인 대중 판매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13일 중국신문망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는 전날 브리핑을 통해 오는 8월 ‘세계로봇대회’ 개최에 맞춰 베이징 이좡(亦庄, Yizhuang) 로봇산업단지 내에 로봇 4S점을 정식 오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4S점은 차량 업계처럼 판매(Sale), 부품(Spare part), 사후서비스(Service), 피드백 조사(Survey)를 통합 제공하는 모델로, 휴머노이드 및 체화지능(embodied intelligence) 로봇을 전시·판매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베이징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센터, 애지봇(智元机器人), 유비테크(UBTECH), 러쥐(Leju) 등 약 10개 기업이 입주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기업은 로봇 직접 판매는 물론 부품 교체, 정비, 사용자 피드백 수집 기능까지 담당하게 된다. 기존 로봇 판매는 대부분 온라인 플랫폼에 의존했지만, 이번 4S 매장은 실물 체험과 상담을 통해 직접 구매가 가능한 체험형 공간으로 설계된다. 이는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항공모함 두 척이 동시에 서태평양에 출동해 실전형 훈련을 진행한 사실이 알려졌다. 항모 집단의 장거리 훈련 역량이 강화됐다는 분석 속에서, 이번 작전은 미국과 일본을 견제하려는 목적이 깔려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0일 중국 해군에 따르면, 랴오닝함(辽宁舰, Liaoning)과 산둥함(山东舰, Shandong)이 최근 서태평양 일대에서 동시에 항모 훈련을 실시했다. 이는 중국 해군이 최초로 두 항모를 동시 작전 배치한 사례로, 원해 방위 및 연합작전 역량을 점검하기 위한 정례 훈련이라는 설명이다. 이번 훈련에서 랴오닝함은 5월 27일 일본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섬 사이를 통과해 남동 방향으로 진입한 후, 6월 초에는 일본 도쿄에서 약 1800km 떨어진 남조도(南鸟岛) 해역까지 접근했다. 이는 중국 항모가 사상 처음으로 제2도련선 동부 해역에 진입한 사례다. 일본 방위성은 중국 항모의 움직임에 P-3C 초계기와 해상 자위대 함정을 동원해 밀착 감시했다. 국방부 대변인 장샤오강(张晓刚, Zhang Xiaogang)은 지난달 29일 브리핑에서 “랴오닝함의 훈련은 국제법과 국제 관례에 부합하며 특정 국가를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고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민정부가 9일 공동 발표한 정책에 따라, '스마트 요양 서비스 로봇 결연 협력 및 시범 응용 사업'이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전국적으로 추진된다. 노령 인구 증가에 대응해 로봇 기술과 요양 서비스의 융합을 본격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조치는 스마트 요양 로봇의 연구개발과 실제 적용을 연계해 제품 성능을 높이고, 다양한 생활 현장에서의 서비스 기능을 고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업정보화부와 민정부는 시범사업 대상 지역과 기업을 선정해, 가정과 커뮤니티, 요양시설 등에 맞춤형 로봇을 배치하고 6개월 이상의 현장 검증을 실시할 방침이다. 9일 발표된 공식 문건에 따르면, 결연 협력 형태의 기술 개발은 거동 불편자 돌봄, 감정 교류, 건강 증진, 생활 지원 등 5대 응용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특히 사용자 맞춤형 요구사항을 반영해 제품의 안전성·신뢰성·사용편의성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현장 시범 기준도 명확히 설정됐다. 가정용 로봇은 최소 200세대 이상에서, 커뮤니티 및 요양시설용 로봇은 각각 20개 이상 기관에 20대 이상을 배치해 실증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제품의 반복 개선 및 성능 향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지난 7일부터 진행 중인 중국의 대학 입학시험 ‘가오카오(高考)’가 9일 오후, 전국 각지의 고사장에서 마지막 종소리를 울리며 마무리됐다. 시험 종료와 동시에 교문은 활짝 열렸고, 수험생들은 마치 결승선을 통과하듯 운동장으로,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시험지를 접는 손보다, 펜을 높이 던지며 두 팔을 치켜든 몸짓이 더 많았다. 그들의 열두 해가 담긴 끝은, 환호성으로 채워졌다. 9일 중국 남통, 창사, 합비, 타이위안 등 주요 도시 고사장에선 수험생들이 시험 종료 직후 서로 부둥켜안거나, 손에 쥔 복습 노트를 하늘 높이 던지는 모습이 이어졌다. 흩날리는 종이들은 마치 새처럼 펄럭였고, 먼 거리에서 지켜보던 부모들의 눈엔 눈물이 맺혔다. 어떤 부모는 꽃을 들고, 어떤 가족은 손편지와 작은 케이크를 준비했다. 모두가 그 아이의 오늘을 기억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현장에는 자원봉사자들과 경찰들도 자리해, 혼잡한 인파 속에서도 마지막 순간을 조용히 지켜보았다. 시험을 마친 한 학생은 “이제야 진짜 여름이 시작된 것 같다”고 말했다. 교문 밖에는 친구와 손을 맞잡고 뛰는 아이들, 서로를 부르며 사진을 찍는 모습이 끝없이 이어졌다. 그 옆에서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