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엔비디아의 분기 실적 발표를 하루 앞두고 글로벌 금융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옵션 시장에서는 발표 직후 엔비디아 시가총액이 최대 2천600억 달러(약 362조원)까지 출렁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옵션시장 데이터는 엔비디아 주가가 실적 결과에 따라 어느 방향이든 약 6% 등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25일 기준 엔비디아 시총은 4조4천억 달러 수준으로, 발표 이후 시총이 급등하거나 급락할 가능성이 동시에 제기된 셈이다. 시장 분석업체 ORATS에 따르면 최근 12개 분기 동안 엔비디아 실적 발표 때 평균 예상 변동률은 7.7%, 실제 평균 변동률은 7.6%였다. 올해 2월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8% 넘게 빠졌으나, 5월 발표 직후에는 3.2% 상승하는 등 양방향의 급격한 흐름을 보여 왔다. 글로벌 투자사 서스퀘하나의 크리스 머피 파생상품 전략 공동 책임자는 “엔비디아 자체 주가 변동보다 연관 종목으로 번지는 파급력이 더 흥미로운 지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투기적 성격이 강한 일부 AI 종목이 고점에서 밀려났지만, 엔비디아는 여전히 사상 최고가 근처까지 회복한 점을 주목했다. 로이터통신은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화웨이 신제품 출시 기대와 무위안식품의 깜짝 실적이 A주 시장을 흔들었다. 가전과 축산업 관련주가 집단 급등하며 오후 장을 주도했다. 26일 증권시보에 따르면 상하이 종합지수는 장중 3,888선을 넘기도 했으나 0.39% 하락한 3,868.38로 마감했다. 선전 구성지수는 0.26% 상승했고, 차이넥스트 지수는 0.75% 내렸다. 이날 시장에서 2,800개 이상의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가전 부문에서는 화웨이 관련주가 장을 이끌었다. 화웨이 쿤펑 지수와 홍멍 지수가 모두 2% 이상 상승했고, 준이디지털과 에어로스페이스 그랜드비전은 상한가를 기록했다. 오는 27일 공개될 화웨이 AI SSD 신제품 출시 소식이 촉매가 됐다. 여기에 상하이자동차(SAIC)와 공동 개발한 ‘상제 H5’ 사전판매 개시도 호재로 작용했다. 이 차량은 ADS4 보조주행시스템, 192라인 레이저 레이더, 홍멍(Hongmeng) 콕핏 등 첨단 기술이 탑재됐다. 화웨이 클라우드 사업부의 대규모 구조조정도 시장의 이목을 끌었다. 화웨이는 일반 컴퓨팅, 지능형 컴퓨팅, 스토리지를 핵심으로 하는 “3+2+1” 체제로 재편하고, AI와 데이터베이스, 보안 역량을 집중 강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잭슨홀 연설 직후 폭등했던 암호화폐 시장이 하루 만에 급락세로 돌아섰다. 금리 인하 기대가 원위치되며 뉴욕증시와 주요 가상자산이 동반 충격을 받았다. 25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파월 의장이 와이오밍주 잭슨홀 미팅에서 고용 둔화 위험을 거론하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9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하루 전 91.5%에서 다시 75%로 떨어졌다. 에릭 로즌그렌 전 보스턴 연은 총재는 “파월 의장이 9월 인하를 약속한 것은 아니며, 데이터가 같은 방향으로 이어질 때만 가능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시장 기대가 꺾이면서 가상화폐 가격도 흔들렸다. 이더리움은 사상 처음 4천900달러(약 677만 원)를 돌파한 직후 약세로 전환했고, 비트코인은 11만7천 달러(약 1억6,210만 원)까지 치솟았다가 고점 대비 1만 달러 가까이 밀렸다. 리플도 약세 흐름을 피하지 못했다. 달러 환율, 국제유가, 국채 금리, 금 가격 등 주요 지표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며, 글로벌 금융시장은 다시 한 번 ‘파월 충격’에 흔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