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7월 마지막 주, 남향자금이 590억 홍콩달러(약 9조 8,800억 원) 규모로 홍콩 증시에 순유입되며, 조정 국면 속에서도 대형 기술주에 대한 적극적 매수세를 이어갔다. 특히 샤오미(小米, Xiaomi)와 텐센트(腾讯, Tencent), 알리바바(阿里巴巴, Alibaba)가 집중적인 자금 유입을 기록했고, 일부 종목은 보유량이 전주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3일 집계에 따르면, 홍콩 항셍지수는 3.47% 하락했고 항셍기술지수는 4.94% 급락했다. 그럼에도 남향자금은 82.43% 증가하며 총 590.2억 홍콩달러를 순매수했다. 주간 기준으로 거래가 가장 활발했던 종목은 샤오미로, 총 거래액이 259.2억 홍콩달러에 달했다. 샤오미는 7월 자동차 부문에서 3만 대 이상을 출하하며 새로운 기록을 세운 직후, 7월 29일 하루에만 16.89억 홍콩달러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한 주간 남향자금이 보유한 샤오미 주식은 3874만 주 증가하며 14주 연속 하락세를 끝냈다. 수익률 면에서는 반도체 기업 잉누어사이커(英诺赛科)가 주간 31.5% 상승하며 최상위를 기록했고, 웨이창이랴오(微创医疗), 쥐싱촨치(巨星传奇), 메이투(美图)는 각각 2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7월 한 달 동안 중국 본토 주식시장이 상승 흐름을 유지한 가운데, 상웨이신차이(上纬新材, Shangwei Xincai)가 전례 없는 상승률로 시장의 중심에 섰다. 20일간 주가가 10배 넘게 뛰어오르며 올해 A주 최초의 ‘10배주’가 됐다. 4일 집계에 따르면, 상웨이신차이는 7월 9일부터 30일까지 총 11거래일 동안 20% 상한가를 기록했다. 주가는 9.34위안(약 1,720원)에서 92.07위안(약 1만 6,950원)까지 폭등했다. 촉매 역할을 한 건 7월 8일 발표된 인수 공시였다. 상하이의 지위안신촹(智元新创, Zhiyuan Xinchuang)이 계열사와 함께 최소 63.62%의 지분을 확보하며 경영권을 가져가는 구조로, 실제 통제권은 덩타이화(邓泰华, Deng Taihua)에게 넘어간다. 이번 인수는 국구조9조(国九条)와 병합6조(并购六条) 이후 커촹반(科创板, Kechuangban) 상장사에서 처음으로 쥐선즈넝(具身智能, jù shēn zhì néng) 기업이 주도하는 사례로 주목받았다. 상웨이신차이는 1992년 설립된 신소재 전문 기업으로, 에너지 절감과 환경 보호,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특화돼 있다. 2024년 연간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김준호가 결혼식 축의금으로 차태현에게서 받은 액수를 공개했다. 방송에서는 예상치 못한 금액에 직접 전화를 걸어 확인한 사실까지 밝혀졌다. 3일 방송된 SBS ‘미운 우리 새끼’에서 김준호는 “차태현이 축의금 3만 원을 냈더라”며 “진짜 맞는지 전화를 걸어 물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차태현은 “5만 원이면 기억에 안 남을 것 같아서 그랬다”고 답했다. 김지민은 “큰 금액은 나한테 했다”며 상황을 덧붙였다. 이날 방송에서는 김준호·김지민 부부가 준비한 하객 답례품 규모가 약 1,200만 원에 달했다는 언급도 있었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손흥민이 토트넘 홋스퍼에서의 마지막 경기를 마친 뒤 공식적으로 작별을 선언했다.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의 LA FC가 유력한 새 소속지로 떠오르고 있다. 4일 영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손흥민은 지난 경기에서 팬들과 눈물로 이별하며 토트넘 유니폼을 벗었다. 그는 경기 후 “좋은 정답을 찾았다”고 말하며, 차기 행선지를 사실상 암시했다. 토트넘에서 10년간 활약한 손흥민은 총 454경기에 출전해 173골을 기록했다. 2021-2022 시즌에는 아시아 선수 최초로 EPL 득점왕에 오르기도 했다. BBC는 “손흥민은 토트넘에서 영원히 숭배받을 존재”라고 전하며 그의 10년을 집중 조명했다. 손흥민은 “내년 월드컵에서 모든 것을 쏟아부을 수 있는 팀”을 새로운 소속팀의 조건으로 제시해왔으며, LA FC는 이 요건을 충족하는 팀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이적이 성사될 경우 손흥민은 세르히오 부스케츠를 넘는 수준의 연봉을 받게 되며 MLS 전체 연봉 순위에서 3위권에 오를 전망이다. 토트넘의 프랭크 감독은 “그는 이별과 관계없이 끝까지 프로페셔널했다”고 말하며 그의 태도를 높이 평가했다.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상하이 여름철 철도 이동량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급증하고 있다. 학생과 관광객이 대거 몰리며, 기존보다 하루 평균 5만 명이 더 기차역을 찾고 있다. 3일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상하이 기차역은 지난달 31일까지 여름 운송 시즌 절반 동안 총 1,331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했으며, 일일 평균 42만 9천 명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3.5% 증가한 수치다. 상하이역, 홍차오역, 송장역, 남역 등 주요 터미널을 포함한 전역에서 승객이 몰리면서, 평일 대비 평균 5만 명이 더 많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상하이-라싸, 우루무치, 칭다오 등 전통 관광지행 열차와 상하이-쿤밍 고속철 항저우~창사 구간은 탑승률이 각각 91.2%를 넘었다. 밤에 출발해 아침에 도착하는 쓰촨·충칭행 침대열차도 60% 이상의 초기 예약률을 보였다. 혼잡에 대비해 상하이 기차역은 31일간 중국 북서부, 산둥, 상하이-난징, 상하이-항저우 등 노선을 중심으로 총 255편의 여객 열차를 증편했다. 특히 올해는 새로 완공된 송장신역과 개보수를 마친 상하이 남역의 첫 여름 성수기로, 두 역 모두 이례적인 탑승자 증가세를 보였다. 송장역은 하루 평균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당국이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수수료 체계를 정비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을 공개했다. 핵심은 입점 상인의 부담을 줄이고, 각종 서비스 요금의 적법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데 있다. 3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온라인 플랫폼 수수료와 관련한 준수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수수료 부과의 기준과 절차, 금지 행위 등을 명확히 규정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지난달 31일자로 시행에 들어갔다. 새로운 규정에 따라 플랫폼은 수수료, 서비스 이용료, 회원비, 기술지원비, 마케팅비, 데이터 서비스비 등의 항목을 명확히 구분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책정해야 한다. 모든 수수료 구조는 홈페이지에 명시해야 하며, 거래규칙과 서비스 계약 역시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공개해야 한다. 수수료 정책 변경 시에는 법률에 따른 공청회를 거쳐야 하며, 과거 정책의 모든 버전은 시행일 기준 최소 3년간 보관해야 한다. 플랫폼은 내부적으로는 수수료 검토 및 리스크 평가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준법 교육과 사전 승인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 특히 이번 가이드라인은 입점 상인을 대상으로 한 중복 청구, 서비스 미제공 상태에서의 요금 징수,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자체 개발한 2톤급 전기수직이착륙(eVTOL) 항공기를 활용해 해상 석유 플랫폼에 긴급 물자를 처음으로 공중 수송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선박·헬기 중심이던 해상 공급 방식에서 기술 기반 물류 전환이 본격화됐다는 분석이다. 3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는 선전에서 출발한 eVTOL 항공기 ‘V2000CG 캐리올(CarryAll)’이 총 58분간의 비행을 거쳐 약 150km 떨어진 해상 석유·가스 플랫폼에 착륙했다고 발표했다. 수송 물자는 신선 과일, 응급 의약품, 기타 현장 보급품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임무에 투입된 V2000CG는 상하이 스타트업 오토플라이트(AutoFlight)가 지난 7월 납품한 모델로, 최대 이륙중량은 2톤, 적재중량은 400kg, 순항속도는 시속 200km, 최대 항속거리는 200km에 달한다. CNOOC 선전지사의 렌융이(任永义) 부조정관은 “기존에는 선박으로만 물자를 운반했기 때문에 왕복 10시간 이상이 소요됐고, 긴급 상황에는 헬기를 동원했지만 단가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시범 운항은 응급 대응 속도, 운항비용, 친환경성, 착륙 유연성 면에서 기존 수단을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로봇 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달 중순 열리는 베이징 세계 로봇대회에 전 세계 로봇 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기술력과 신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다. 3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2025 세계 로봇대회(World Robot Conference 2025)’는 8일부터 12일까지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일명 ‘E-Town’)에서 개최된다. 올해 행사는 “더 스마트한 로봇, 더 지능적인 실체(agent)”를 주제로 진행되며, 총 200여 개 국내외 주요 기업이 1,500개 이상의 전시품을 출품한다. 이번 대회에서 처음 공개되는 신제품만 100여 개에 달하며, 이는 지난해 대비 약 두 배 수준이다. 참가 기업들은 민첩한 4족 보행 로봇, 구조·수색 로봇, 산업 점검용 로봇부터 수술용 카테터 로봇, 자율 주행 잔디깎이 로봇까지 각종 특수 목적형 로봇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인간형 로봇 부문이 가장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전신형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 중인 50여 개 제조사가 최신 모델을 직접 전시하며, 각 사의 기술 완성도를 비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2024년 기준 전 세계 산업용 로봇 생산량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생물학적 두뇌 구조를 모사한 초대형 신경모사 컴퓨터를 선보였다. 연산 단위는 원숭이 뇌 수준에 근접하며, 병렬 구조의 새로운 AI 연산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3일 과학기술일보에 따르면 저장대학교 뇌컴퓨터지능 국가중점실험실은 신경모사형 초대형 계산 시스템 ‘우콩(Wukong)’을 새롭게 공개했다. 이 시스템은 20억 개에 이르는 신경세포와 1천억 개 이상의 시냅스를 기반으로 구성되며, 전체 연산 전력은 약 2000와트에 이른다. 우콩은 저장대와 즈장(之江, Zhijiang) 실험실이 공동으로 개발한 ‘다윈 3세대’ 신경모사 칩 960개를 탑재했다. 각 칩은 235만 개 이상의 펄스 신경세포와 수억 개 시냅스를 포함하며, 독립 명령어 집합과 신경모사 온라인 학습 기능을 지원한다. 시스템 전체는 15대 블레이드형 서버로 병렬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우콩은 현재까지 발표된 신경모사형 컴퓨터 중 신경세포 수 기준으로 세계 최대 규모로, 기존 인텔이 2024년 4월 공개한 Hala Point 시스템(11.5억 신경세포)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설계 목적은 생물 신경망 구조를 디지털 환경에서 정밀 구현하는 데 있다. 저장대 연구진은 우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에서 크루즈 산업이 빠르게 회복세를 보이며 올해 상반기 크루즈 관광객 수가 전년 대비 40.1% 늘었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여행 수요 회복이 맞물리면서 해양 관광 전반에 걸쳐 뚜렷한 반등세가 관측됐다. 8월 2일 중국 자연자원부 발표에 따르면, 1월부터 6월까지 전국 크루즈 승객 처리량은 전년 동기 대비 40.1% 증가했다. 이 같은 성장은 해양 관광 부문 전체의 실적 상승과도 연결되며, 해당 기간 동안 해양 관광 부문의 부가가치는 7718억 위안(약 1080억 달러)을 기록해 전년보다 8% 증가했다. 중국 당국은 크루즈 산업 진흥을 위해 항만 인프라 현대화, 선사 유치 확대, 국제노선 재개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와 함께 중국 내 중산층의 해외여행 수요 회복과 여름 성수기 도래가 수요 확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정부는 향후 크루즈 관광을 포함한 해양경제의 전략 산업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연해 지역의 항만 배후산업 육성과 관광·운송 통합 플랫폼 구축 등 구조적 접근도 병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