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최근 금값이 연일 상승하며 실물 금 거래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 등 신흥국의 금 수요 증가와 미국 내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금이 안전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고환율과 정치적 불안정성이 금값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한 달 사이 4% 넘게 상승해 그램당 약 13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실물 순금의 경우 지난해 말 한 돈당 52만 7000원에서 현재 54만 4000원으로 2주 만에 약 3%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약 50% 급등한 수치다.
국제 금값 또한 1년간 30% 이상 상승하며 온스당 2700달러에 근접하고 있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 등 주요 금융기관은 올해 국제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달러 가치가 강세를 보이는 상황에서도 금값이 상승하는 것은 자산 시장 불안정성이 극도로 높아진 상황에서 금이 안전한 투자처로 주목받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국내에서는 이와 같은 금값 상승이 돌잔치나 결혼 등 실물 금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줄 것으로 보인다.
부모들은 "돌반지를 대신할 선물 문화를 바꾸거나 더 실용적인 대안을 고민해야 할 때가 왔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금값 상승의 장기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관련 시장의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