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시진핑 국가주석의 11년 만의 방한을 앞두고 다이빙(邸炳, Dai Bing) 주한 중국대사가 한중관계의 향후 10년을 가를 중대 전환점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한중이 초심을 되새기며 상호 신뢰를 회복해야 양국이 함께 전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9일 중국 인민일보(人民日报, Renmin Ribao)에 따르면, 다이 대사는 ‘마음에서 출발해 한중 관계의 아름다운 미래를 함께 만들자’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한중관계는 앞으로 나아가지 않으면 퇴보할 수밖에 없는 중요한 시기에 들어섰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몇 년간 100년 만의 대변화가 빠르게 전개되며 국제 정세가 복잡하게 얽히고 있다”며 “양국이 시대의 발전 흐름에 순응해 협력의 방향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진핑 주석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오는 30일부터 2박 3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이는 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다이 대사는 “한중관계의 지속적 심화는 시대 발전의 필연이며, 수교 당시의 초심을 굳건히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중관계가 “새로운 역사적 출발점에 서 있다”며, “일부 산업 경쟁이 존재하지만 협력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시진핑 주석이 제시한 외교 전략이 리창(李强, Li Qiang) 총리의 아세안 외교 무대를 통해 실체를 드러냈다. 중국은 역내 협력과 다자주의를 핵심 외교축으로 삼으며, ‘평화 발전과 공동 번영’을 구체적 행동 계획으로 옮기고 있다. 2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리창 총리가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동아시아 협력 정상회의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 참석해 “중국은 외부 간섭을 배제하고 아세안(ASEAN)과 함께 지속 가능한 성장의 공동체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리 총리는 동티모르의 아세안 정식 가입을 축하하며, 말레이시아 안와르 총리와 함께 ‘중국-아세안 자유무역지대 3.0 업그레이드 의정서’ 서명식을 공동 주재했다. 그는 “전략적 신뢰를 굳건히 하고, 경제 협력을 심화해 동아시아 번영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열린 ‘아세안+3(중국·일본·한국)’ 정상회의에서 리 총리는 “동아시아의 기적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며 개방과 협력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그는 산업·공급망 협력을 확대하고, 혁신과 포용을 축으로 한 성장 모델로 역내 경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국가주석이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다가올 5년은 중국의 전략적 주도권을 확보할 결정적 시기”라며 국가 발전의 방향을 직접 제시했다. 그는 세계적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9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에서 15차 5개년 계획 권고안이 승인됐다. 이 문건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중국의 국가 발전 목표를 제시하며, 핵심 방향을 ‘고품질 발전’으로 설정했다. 특히 기술 자립 강화, 첨단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 전환, 인공지능플러스(AI Plus) 산업 융합, 과학기술 혁신 가속이 주요 과제로 포함됐다. 시 주석은 회의에서 “각 지역은 자신들의 자원 조건에 맞는 발전 방안을 세워야 한다”며 “무리한 신산업 경쟁이나 중복 투자를 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2035년까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중간 수준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장기 목표를 내세우며, “15차 계획 기간 동안 적정한 성장률을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의 올해 GDP는 전년 대비 5.2% 증가한 100조 위안(약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공산당(中国共产党, Zhongguo Gongchandang)이 2026~2030년 국가 발전 청사진의 골격을 내수 확대와 과학기술 자립에 놓겠다고 밝혔다. 권역·산업 전반의 경쟁 질서를 정비하고 자본·토지·노동·기술 시장 개혁을 함께 추진해 성장의 동력을 생활·소비에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 제시됐다. 29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앙위원회는 제20기 4중전회에서 ‘제15차 5개년계획 권고’ 및 해설문을 공개하며 “주민 소비율을 뚜렷이 높이고, 내수가 성장의 주된 견인차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국내 대순환’ 강화와 ‘국내·국제 쌍순환’의 원활화를 함께 제시하며, 내수 확대와 공급측 구조 개혁의 통합 추진을 명시했다. 기업 연구개발비 세제 공제 확대, 중국산 혁신제품 공공조달 확대, 청년 과학기술 인재의 창업·혁신 지원 등 과학기술 자립자강 조치가 강화됐다. 시장 질서와 경쟁 환경의 정비도 병행된다. 내권식 과열경쟁과 독점·부정경쟁을 단속하고, 도농 통합 건설용지 시장과 기능이 개선된 자본시장, 유연한 노동시장, 고효율 기술시장을 구축하겠다는 개혁 방향이 제시됐다. 민영경제 활성화 의지도 분명히 했다. 권고문은 민영경제촉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국제 금 가격이 4000달러(약 540만 원) 선 아래로 밀리며 단기 조정 폭을 키웠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일시적 변동성을 전제하면서도 내년 5000달러(약 675만 원) 재돌파 가능성을 제시했다. 28일 로이터와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현물 금은 전장 대비 약세를 보이며 온스당 3991달러(약 539만 원) 내외에서 거래됐고, 선물도 약세 흐름을 같이했다. 이달 초 사상 처음 4000달러를 넘긴 뒤 20일에는 4381달러(약 591만 원)까지 치솟았지만, 일주일 남짓한 사이 낙폭이 커지며 과열 해소 구간으로 접어들었다. 니콜라스 프래펠 ABC 정련소는 가격이 3700달러(약 500만 원) 부근까지 내려왔다가 재차 고점을 시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폴 피셔 LBMA 의장은 급등 구간에서 쌓였던 투기적 포지션 청산이 진행되며 거품이 걷히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존 리드 WGC는 일부 투자자들이 3500달러(약 473만 원)대를 합리적 가격대로 보며, 역사적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임을 지적했다. 장기 전망의 배경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와 달러 약세 시그널이 있다. 실질금리 하향은 무이자 자산인 금의 상대 매력을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과 아세안(ASEAN)이 자유무역지대(FTA) 3.0 업그레이드 의정서에 정식 서명하며 역내 경제통합의 새 장을 열었다. 서명식은 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제47차 아세안 정상회의 중 진행됐다. 28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이번 업그레이드 의정서는 디지털경제, 녹색경제, 공급망 연계, 경쟁 및 소비자 보호, 중소기업 지원 등 5개 신규 분야를 포함한 9개 협력 영역을 포괄한다.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은 양측이 각각의 국내 비준 절차를 신속히 완료해 협정이 조속히 발효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린펑(林峰, Lin Feng)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경제사 사장은 “FTA 3.0 서명은 다자주의와 자유무역에 대한 양측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실질적 조치”라며 “일방주의와 보호무역주의를 거부하고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역내 시장을 구축하는 구체적 성과”라고 강조했다. 태국 카시콘은행(Kasikorn Bank) 수석전문가 위차이 친총초이(Wichai Kinchong Choi)는 “중국은 고품질 발전과 혁신 중심의 성장 전략을 통해 녹색·신에너지·연결성 분야에서 두드러진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중국의 첨단 투자와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가 과학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과학기술 성장전용층’에 첫 상장된 3개 기업을 발표했다. 이는 나스닥형 과학기술혁신판(科创板, STAR Market)의 핵심 구간으로, 기술 자립과 산업고도화를 지원하는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28일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첨단기술기업 육성과 신품질생산력 창출을 위한 자본시장의 실질적 개혁을 의미한다. 리차오 부주석은 상장식에서 “STAR 마켓이 개혁의 시험장 역할을 하며 반도체·바이오의약 등 핵심산업의 혁신 가속을 견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18일 CSRC는 아직 수익을 내지 못한 우수 기술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성장전용층 설립을 예고한 바 있다. 이번 상장은 그 후속 조치로, 자본시장 내 기술 중심 기업들의 신뢰를 높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상하이종합지수는 28일 오전 장중 일시적으로 4,000선을 돌파하며 2015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CSRC는 전날 공개한 문건에서 신규주 발행가격 산정 및 신용거래 규정을 개선하고, 알고리즘 거래에 대한 감독을 강화해 중소투자자 보호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내부자 거래, 시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확정한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제15차 5개년 계획(2026~2030)’ 권고안이 향후 과학기술 혁신의 전환점을 제시했다. 이번 계획은 기술자립을 국가 생태계의 핵심으로 두고, 인공지능(AI), 양자기술, 디지털경제를 중심으로 신성장 구조를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28일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앙위원회 제20기 4차 전체회의에서 이 권고안이 채택됐으며, 과학기술부 인허쥔(尹贺军, Yin Hejun) 장관은 브리핑에서 “과학기술 혁신은 향후 5년간 중국 발전의 중심축이 될 것”이라며 “기초 연구 강화, 산업과 기술의 융합, 인재 육성, 디지털 중국 건설의 가속화가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오리진퀀텀(Origin Quantum)의 궈궈핑(郭国平, Guo Guoping) 수석과학자는 “중국이 독자 통제 가능한 양자컴퓨터 개발에 매진하겠다”며 “새로운 질적 생산력의 토대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계획이 연구진에게 “강한 자신감과 명확한 목표를 부여했다”고 강조했다. AI 분야에서는 상하이의 스타트업 미니맥스(MiniMax)가 기초모델 연구를 강화하고 모델 구조 및 응용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미국과 중국의 포괄적 무역협상 기대가 커지면서 금 현물 가격이 급락해 온스당 4,000달러(약 560만 원) 아래로 밀렸다. 시장은 위험자산 선호로 기울고, 안전자산에서 이탈하는 자금 흐름이 가속하는 양상이다. 28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장중 금 현물은 3%대 하락을 기록했고 파생시장에서 레버리지 상품의 손익 변동성도 확대됐다. 최근 20일에는 온스당 4,380달러(약 613만 원)로 사상 최고를 찍은 뒤 차익 실현과 포지션 청산이 이어졌다. 한국 시각으로 30일 예정된 미중 정상회담을 고리로 통상 마찰 완화 기대가 커지며 달러 강세 완화와 주식 변동성 축소가 동반됐다. 세계금협회는 각국 중앙은행의 순매수 속도가 둔화한 점을 짚었고, 일부 매크로 펀드는 물가와 실질금리의 단기 궤적을 근거로 금 비중을 기술적으로 축소했다. 현물과 선물의 베이시스는 급격히 좁혀졌고, 현물·선물 간 차익거래 규모도 줄었다. ETF 시장에선 금 현물 추종 상품의 자금 유출이 포착됐고, 반대로 광범위 지수형·AI 반도체 테마형으로의 환승 매수가 관측됐다. 유럽에서는 장기물 금리 변동 속에 금 가격 민감도가 커졌고, 미국에선 연준의 소폭 금리 인하 관측이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라면을 빨리 끓이려 수도의 뜨거운 물을 바로 받으면 배관과 보일러를 거치며 용출된 금속 성분까지 함께 냄비로 들어갈 수 있다. 끓이는 과정은 세균을 줄일 수 있지만 납과 구리 같은 금속은 그대로 남아 섭취량만 키운다. 28일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따르면, 뜨거운 물은 납이 더 쉽게 녹아들어 농도가 높아질 수 있어 마시기와 조리에 쓰지 말고 반드시 찬물로 받아 데워 쓰는 것이 원칙이다. 온수는 정수장에서 온전히 처리된 물이 아니라 가정 내부의 온수기와 배관을 순환하는 동안 금속과 부품에서 용해물이 배어나오기 쉽다. 노후 배관이나 온수 탱크의 침전물이 함께 흘러나오는 경우도 있어 초기 토출수에는 미세 입자와 금속이 혼재될 소지가 커진다. 끓이기가 소독부산물과 박테리아 저감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금속은 휘발되지 않아 제거 효과가 없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음용과 조리는 찬물로만 하도록 권고하며, 특히 영아 분유 조제나 임산부·어린이 식사 준비 시 온수 사용을 금한다. 수도 사용이 한동안 없었다면 찬물을 10~30초 흘려 고여 있던 물을 빼는 단순한 플러시만으로도 금속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수전 토수망(에어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