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남부 포산(佛山, Foshan)에서 치쿤구니야 바이러스가 급속히 확산된 가운데,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가 “사람 간 전염은 없다”고 밝혔다. 23일 발표에 따르면, 현재까지 보고된 감염은 모두 모기 매개에 의한 것으로, 지역사회 전파는 통제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치쿤구니야는 고열, 관절통, 발진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다. 감염자 대부분은 경증이며, 사망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CDC 소속 둔레이레이(Duan Leilei) 연구원은 “예방을 위해 낮 시간대 야외활동 시 긴 옷과 모기기피제 사용이 권장된다”고 밝혔다. 포산시는 순더(Shunde)구를 중심으로 총 2,658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방역 당국은 PCR 검사 병원 35곳을 추가 지정하고, 3,600여 개의 격리 병상을 확보했다. 확산 가능성에 대비해 베이징과 사오싱(Shaoxing) 등 도시들도 감시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22일, 치쿤구니야가 다시 전 세계로 확산될 가능성을 경고하며, 조기 대응을 촉구했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배우 심형탁이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통해 생후 164일 된 아들과의 독박육아 일상을 공개했다. 컵라면으로 하루를 때우며 육아에 모든 걸 쏟는 모습이 전파를 탔다. 24일 KBS에 따르면 전날 방송된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 583회에서 심형탁은 "요즘 1일 1식 중"이라고 털어놨다. 아들이 잠들 틈에 라면을 끓여 허겁지겁 먹는 장면, 젓가락질 도중에도 아기 우는 소리에 멈칫하는 장면이 이어졌다. 아들 ‘하루’를 재우기 위해 그가 선택한 방법은 다소 독특했다. 탱탱볼 위에 앉아 임재범의 ‘고해’를 부르며 아기의 눈을 감기려는 모습은 웃음과 동시에 진심이 묻어났다. 심형탁은 “아내가 일본인이라 베이비시터를 두지 않는다. 둘이서만 키운다”고 밝혔다. 그는 “아내가 죽을 만큼 힘들 때 산소호흡기 같은 존재가 되고 싶다”는 말도 덧붙였다. 심형탁은 자타공인 피규어 덕후로, “수집한 피규어만 1억 원어치가 넘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잠시나마 숨 쉴 틈을 찾기 위해 혼자 인형뽑기방에 다녀오는 모습도 공개됐다. 방송 직후 ‘심형탁 육아’는 실시간 검색어 상위권을 장식했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에서 결혼휴가를 대폭 늘리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전국 28개 성·자치구·직할시가 이미 관련 조치를 시행 중이다. 23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후베이성이 이달 결혼휴가를 기존 3일에서 15일로 연장한 데 이어, 산둥성과 쓰촨성은 각각 18일, 25일까지 확대했다. 이 가운데 산시성과 간쑤성은 가장 긴 30일 휴가를 보장한다. 허난과 헤이룽장성 역시 각각 28일, 25일까지 부여하고 있다. 결혼휴가 확대는 혼인율 하락에 대한 대응책으로 추진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결혼 등록 건수는 181만 쌍으로, 전년 대비 8% 감소했다. 이는 198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광둥성은 여전히 3일 기준을 유지하고 있어,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최소 10일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결혼휴가 정책은 각 지방이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돼 있어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당국은 결혼과 출산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제공이라는 점에서,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중국 내 일부 지역은 이동 혼인등록소를 야외 행사장에 설치하는 등 등록 장벽을 낮추기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2025년 상반기 중국이 도시 신규 일자리 695만 개를 창출하며 고용 목표의 절반 이상을 달성했다. 이와 함께 사회보험기금 잉여금은 9조8300억 위안(약 1800조 원)을 기록하며 제도 안정성을 입증했다. 23일 인력자원사회보장부 발표에 따르면, 6월 도시 실업률은 5%로 전년과 같았고, 실업보험료 인하를 통해 기업 인건비 부담을 약 900억 위안(약 17조 원) 줄였다. 직업훈련 등 고용 촉진 프로그램에는 113억 위안(약 2조 2000억 원)이 투입됐고, 고용 안정 보조금 62억 위안(약 1조 2000억 원)이 81만 개 기업에 배분됐다. 비안융쭈(边永祖, Bian Yongzu) 현대화관리지 부주필은 “정부가 인프라 투자 확대, 고용 박람회 운영, 사회보험료 감면 등 실효성 있는 조치를 동시에 구사하며 기업 채용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는 소비 심리를 회복시키고 내수 기반을 강화하는 선순환을 형성한다”고 설명했다. 경제학자 톈윈(田云, Tian Yun)은 "올해 고용 보조금을 신청한 기업 대부분이 예년보다 빠르게 자금을 지원받았다"면서도 “청년 고용난은 여전히 구조적 문제이며, 많은 제조업체들이 여전히 인력난에 시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의 인공지능 산업이 연간 20% 이상 성장세를 이어가며 135조원 규모에 도달했다. 생성형 AI 서비스만 수백 개를 돌파한 가운데, 인터넷 이용자 수도 11억 명을 넘기며 디지털 인프라 확장도 가속화되고 있다. 22일 중국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CNNIC)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중국의 AI 산업 규모는 7천억위안(약 135조원)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국산 AI 기술이 1천억개급 파라미터와 멀티모달 기능을 갖추며 사무, 교육, 콘텐츠, 산업 설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응용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해 3월 기준 중국 사이버당국에 등록된 생성형 AI 서비스는 총 346개로 나타났다. CNNIC는 이들 서비스가 중국의 스마트 생태계 전반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보고서는 중국의 인터넷 사용자 수가 11억2천300만명에 달하며, 인터넷 보급률은 79.7%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 중 만 60세 이상 이용자는 1억6천100만명, 농촌 거주 이용자는 3억2천200만명으로, 각각 52.0%, 69.2%의 보급률을 기록했다. 6월 말 기준으로 중국의 5세대 이동통신(5G) 기지국 수는 455만개에 이르며, 전체 행정촌의 9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안후이성(安徽, Anhui)에서 개발된 국산 3세대 초전도 양자컴퓨터 ‘오리진 우콩(Origin Wukong)’이 본격적으로 중국 내 상업 배치에 들어갔다. 22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안후이성 허페이(合肥, Hefei)의 안후이양자컴퓨팅공정연구센터는 우콩 시리즈 양자컴퓨터 세 대가 각각 슈퍼컴퓨팅센터, 대학, 정부기관에 설치됐다고 밝혔다. 제품은 모두 양자칩에서 운영체제까지 전 과정을 자체 기술로 구현한 완전 독립형 시스템이다. 이번 배치는 중국의 과학기술 프로젝트 수행, 고등교육기관 내 인재 양성, 특수목적 응용 등 다방면에 걸쳐 활용될 예정으로, 중국은 미국, 캐나다와 함께 초전도 양자컴퓨터의 상업적 설치가 가능한 3개국 중 하나가 됐다. 오리진 우콩은 2024년 1월 첫 공개 이후 전 세계 145개국과 지역에서 53만 건이 넘는 양자 연산을 수행했다. 핵심 개발자인 궈궈핑(郭国平) 안후이양자컴퓨팅공정연구센터 소장은 21일 “최근 유럽 주요국 고객에게 양자 연산 성능 수출도 완료됐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조사에 따르면 양자컴퓨팅 산업 규모는 향후 수천억 달러(수백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궈 소장은 지난 3월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혼자 식사하러 온 여성 유튜버에게 "얼른 먹고 나가라"는 식으로 재촉해 논란을 빚은 여수의 유명 백반집이 결국 고개를 숙였다. 21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 여수시에 위치한 해당 식당 입구에는 "앞으로 친절하고 부드럽게 손님을 맞겠다"는 자필 사과문이 붙었다. ‘연예인 극찬 맛집’으로 이름난 이 식당은 유튜브 채널 ‘유난히 오늘’을 운영하는 유튜버가 올린 영상으로 전국적 비판 여론에 휩싸였다. 유튜버는 오전 10시 40분께 식당에 입장해 두 사람 몫인 2만 6000원 상당의 백반을 주문했지만, 식사가 채 끝나기도 전에 주인은 “이래 갖고 있으면 무한정이잖나”, “예약 손님 앉혀야 한다”며 거듭 퇴장을 유도했다. 해당 유튜버는 영상에서 “돈을 내고 눈칫밥을 먹은 건 처음”이라며 식사 도중 손이 떨릴 정도로 불쾌했다고 밝혔다. 구독자 수가 2만 명 남짓한 채널이었지만, 해당 영상은 100만 회 이상 조회되며 거센 여론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논란이 커지자 여수시는 지난 16일 직접 식당을 방문해 현장 상황을 확인했다. 식당 측은 “영상 촬영 동의를 받지 않았고, 큰 목소리로 말해 오해가 생겼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수시는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티베트 자치구 동남부를 흐르는 야룽창포강 하류 지역에 대형 수력발전소 건설을 본격 시작했다. 현장에 직접 참석한 리창(李强, Li Qiang) 국무원 총리는 착공식을 통해 해당 프로젝트의 공식 개시를 선포했다. 20일 중국 정부와 관영매체에 따르면, 리 총리는 시짱(西藏, Xizang) 자치구 닝치(林芝, Nyingchi)시에서 열린 착공식에 참석해 야룽창포강 수력발전 프로젝트의 건설을 전격 발표했다. 리 총리는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자격으로도 참여했으며, 이는 이번 사업이 국가 전략 차원의 중대 인프라임을 방증한다. 야룽창포강은 인도에서는 브라마푸트라(Brahmaputra)강으로 불리며, 중국과 남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수자원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해당 강 하류에 건설되는 것으로, 지역 에너지 안보와 지속가능한 개발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수력발전소 착공은 중국의 '서부대개발' 전략과 맞물려 있으며, 청정에너지 확보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가적 기조에도 부합한다. 리 총리는 “야룽창포강 프로젝트는 에너지 구조의 녹색 전환과 서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중국은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당국이 희토류 등 전략광물 밀수에 대한 전방위 단속 강화에 나섰다. 미·중 기술패권 경쟁 속 수출통제 조치를 보완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20일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광시좡족자치구 난닝에서 열린 국가수출통제업무조정기구 회의에서 상무부, 공안부, 해관총서 등 다부처가 참석해 전략광물 밀수 근절을 위한 공동 작전 확대에 뜻을 모았다. 상무부 홈페이지에 공개된 보도자료는 이번 회의에서 전략광물 밀수에 대한 ‘무관용’ 기조가 재확인됐으며, 최근 몇 차례의 적발 사례를 통해 초기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수건의 불법 수출 사건이 수사됐고, 복수의 밀수 용의자가 체포된 것으로 전해졌다. 당국은 특히, 범죄조직 일부가 해외 세력과 결탁해 제3국 경유, 허위신고 등 교묘한 수법으로 단속을 피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법 집행 강도를 더욱 높이고, 이중용도 기술 수출 통제까지 통합 관리하는 공동집행센터 설립도 논의됐다. 이번 조치는 상무부가 지난해 12월 미국을 대상으로 갈륨, 저마늄, 안티몬, 초경합금 등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실시한 데 이어, 지난 4월에는 7종 중·중희토류 관련 품목까지 통제 범위를 확대한 흐름과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정부가 필리핀 내 치안 악화에 대한 우려를 공식화하며,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유학 경보를 발령했다. 특히 중국인을 겨냥한 범죄와 단속이 늘고 있어, 필리핀 유학 예정자와 체류자에게 철저한 경계를 촉구했다. 19일 중국 교육부는 올해 두 번째 해외 유학 경보를 발표하고, 최근 필리핀 내 중국인을 노린 범죄가 급증하고 있어 유학을 고려하는 학생들은 신중히 판단하라고 밝혔다. 이번 경보는 외교부와 주필리핀 중국대사관, 총영사관과 연계된 조치로, 모든 중국 국민에게 “정치 집회, 시위, 다중 밀집 지역은 피할 것”을 명확히 권고했다. 필리핀 주재 중국대사관은 지난 4월부터 “현지 경찰의 무분별한 단속과 기업 대상 검문이 잦아지고 있으며, 정국 불안과 시위도 계속되고 있다”고 경고해왔다. 외교부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이번 조치에 대해 “해외에 있는 중국 학생과 국민의 생명과 합법적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책임 있는 조치”라고 강조했다. 대사관은 특히 필리핀 방문이나 유학을 준비 중인 중국인들에게 “치안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여행과 체류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라”고 재차 요청했다. 또한 현지 법률 준수, 사기 및 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