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이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带一路)’ 사업이 올해 상반기만으로도 지난해 전체 투자 실적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 속도를 기록한 가운데, 중국 정부는 “다자협력을 통한 상생”의 상징이라며 미국의 고립적 통상정책과 차별성을 부각했다.
22일 중국 외교부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해당 수치를 인용한 질문에 “일대일로는 고품질 발전의 새로운 단계로 진입했다”며 “협력 성과는 유라시아에서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까지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야완(雅万) 고속철의 누적 탑승객이 1천만 명을 넘었고, 중유럽철도는 누적 11만 회 운행됐다”며 “중라(中拉) 루트인 ‘첸카이-상하이’ 신통로가 양방향 개통됐고, 중아프리카 협력 태양광발전소는 1.5GW 규모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루반공방, 균초기술 같은 소규모 기술협력도 수많은 가정에 실질적 이익을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외교부는 이번 성과를 통해 일대일로가 단순한 인프라 연결을 넘어 산업과 무역 협력의 플랫폼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더 많은 국가들이 글로벌 공급망에 편입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궈 대변인은 “중국은 ‘공상공향(共商共建共享)’, ‘고표준, 지속가능, 민생 중심’의 원칙을 지키며, 글로벌 현대화를 향해 협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각국과 함께 일대일로를 더욱 깊이 발전시켜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재무부의 일방적 관세와 중국의 에너지 수입 제재 관련 논의에 대한 질문에는 “중국은 언제나 대화를 통해 중미 간 오해를 줄이고, 실질 협력을 강화하길 바란다”며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궈 대변인은 “중미 정상의 통화에서 합의된 사항들이 충실히 이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미 국무부가 밝힌 ‘중국 내 미국인 출국 금지’ 사례에 대해선 “구체 내용은 알지 못하며, 중국은 법치 국가로서 출입국 사안을 법에 따라 처리한다”고 답했다. 미국 국방장관의 ‘필리핀 해역 방어 약속’ 발언에 대해서는 “제3국을 겨냥한 어떤 군사 협력도 지역 안정을 해치는 행위”라고 반박했다.
이번 주 예정된 중국-유럽연합(EU)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중유 수교 50주년을 맞아, 이번 회담은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세계 다자주의를 수호하는 긍정적 신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