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로보택시 산업이 자율주행 기술을 중심으로 교통 혁신의 핵심 주자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은 다양한 정책 지원과 기술 개발을 통해 로보택시의 대중화와 상업화를 가속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베이징, 선전, 우한 등 주요 도시들은 로보택시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보조금 정책과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했다. 베이징 이좡 경제개발구는 단일 시범 프로젝트 투자액의 최대 30%를 지원하며, 최대 300만 위안에 달하는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한 대규모 AI 모델을 구축한 기업에 대해서는 100만 위안의 추가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선전은 누적 주행거리 1,000km를 달성한 운영 주체에 최대 500만 위안을 지원하며, 차량의 스마트화와 무인화 기술 개조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우한은 시범 응용 차량 투자액의 30%를 인센티브로 제공하며, 기업당 최대 1,000만 위안의 자금 지원을 약속했다. 또한, 공공도로 테스트 비용의 절반을 보조하며 연간 최대 200만 위안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은 자율주행 기술 검증과 상업적 도입을 가속화하며 로보택시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더지엠뉴스] 중국의 모바일 충전 로봇 산업이 전기차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주목받고 있다. 모바일 충전 로봇은 ‘자율주행 충전소’ 또는 ‘모바일 충전소’를 의미하며, 섀시, 배터리 팩, 충전소, 충전기, 로봇 팔, 센서, 제어 시스템, 충전 포트 감지 시스템, 음성 인터렉티브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로봇은 고정 충전소의 한계를 보완하며, 전기차 충전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해왔다. 중국 정부는 모바일 충전 로봇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고속도로, 공공장소, 대형 상업시설 등 주요 지역에 모바일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농촌 지역과 같은 특수 환경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설비 개발을 장려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22년 교통운송부는 고속도로 휴게소에 모바일 충전 장비를 배치해 피크 시간대 충전 수요를 충족시키겠다는 방안을 발표했다. 모바일 충전 로봇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고속도로와 공공장소에서는 상시적인 충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응급 구조 상황이나 재난 상황에서도 신속한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스마트홈 환경에서는 가정용 기기를 충전하는 데에도 활용
[더지엠뉴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는 최근 <2024년 중소기업 특색 산업 클러스터 명단에 관한 공시>를 발표했다. 명단은 <중소기업 특색 산업 클러스터 발전 촉진 임시 방안>과 <2024년 중소기업 특색 산업 클러스터 조직 추천에 관한 공업정보화부 판공청의 통지>에 따라 평가와 인증 과정을 거쳐 선정됐다. 인증 기준 핵심 경쟁력: 우수한 중소기업 중심으로 강력한 경쟁력 보유. 협력 및 혁신 역량: 산업체인과 공급망의 효율적 협업과 혁신성. 디지털 전환 및 친환경 발전: 뚜렷한 디지털 전환 효과와 친환경 기술 적용. 운영 및 서비스 역량: 높은 수준의 산업 개방 협력과 서비스 체계. 주요 선정 클러스터 베이징 하이뎬구 로봇 산업 클러스터 미윈구 측정 및 제어 장비 산업 클러스터 순의구 항공 장비 지원 산업 클러스터 허베이성 탕산시 루베이구 지능형 특수 로봇 산업 클러스터 츠현 순환 화학 신소재 산업 클러스터 자오창현 유리섬유 강화 복합재료 산업 클러스터 광둥성 광저우시 황푸구 유기 고분자 재료 산업 클러스터 주하이시 샹저우구 인쇄 장비 및 소모품 산업 클러스터 선전시 푸티안구 지능형 터미널 산업 클러스터 산업별
[더지엠뉴스] 중국의 무인 환경미화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자율주행 청소차를 중심으로 기술 혁신과 산업 체인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책과 시장 지원 아래 주요 기업들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있다. 자율주행 청소차란 자율주행 청소차는 다양한 도로 및 장소에서 청소, 소독 등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한 무인 환경미화 장비를 뜻한다. 자율주행 청소차 발전 연혁 중국은 2017년부터 도로 청소차의 무인화 개조를 시작해 2022년 운전석 없는 무인 청소차의 대량 생산에 이르렀다. 2017년 즈싱저는 베이징 올림픽 공원에 첫 번째 무인 청소차 ‘워샤오바이’를 투입했다. 2018년 중롄환징은 쿠와로봇과 함께 전천후 청소와 스마트 경로 계획이 가능한 무인 청소차를 출시했다. 2022년 원위안즈싱은 중국 최초의 6t 양산 무인 청소차 ‘S6’를 출시했으며, 센투즈넝은 풀스택 기술로 개발된 무인 청소차 ‘V3’를 발표했다. 2024년에는 센투즈넝이 다용도 무인 청소차 ‘Platforma-X’를, 쿠와커지가 새로운 기린 시리즈 청소 로봇을 출시하며 시장을 확장했다. 무인 환경미화 산업 체인 무인 환경미화 산업은 부품, 무인 기술, 설
[더지엠뉴스] 허베이성 탕산(唐山)은 풍부한 광물 자원과 강력한 철강 산업으로 중국의 주요 철강 생산 기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최근 탕산은 전통 산업을 업그레이드하고 신형 산업화를 적극 추진하며 노후 산업도시에서 첨단 신산업 허브로 변화하고 있다. 탕산의 4대 메인 산업 올해 1분기 탕산의 4대 메인 산업인 고급 철강, 첨단 장비 제조, 친환경 화학, 친환경 건축자재는 655억 8천만 위안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전년 동기 대비 11.7% 성장했다. 이들 산업은 전체 산업 부가가치의 69.2%를 차지했다. 1. 철강산업: 핵심 산업의 고도화 철강 산업은 탕산의 핵심 기간산업으로, 올해 1~5월 부가가치가 4.9% 증가하며 전체 산업 부가가치의 49.4%를 차지했다. 탕산은 철강 산업의 고급화, 스마트화, 친환경화를 추진하며 산업 체인 확장과 제품 다양화를 도모하고 있다. 2. 로봇산업: 자동화와 스마트화 중심 성장 탕산은 자동화 및 스마트 생산에 대한 수요 증가로 로봇 산업을 대대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2023년 탕산의 로봇 기업 수는 151개로, 총 매출이 전년 대비 17.5% 증가한 67억 위안에 달했다. 탕산은 <탕산시 로봇 산업 발전 지원 정책
[더지엠뉴스] 중국 남서부 내륙 및 장강 상류에 위치한 쓰촨성은 2023년 지역내총생산(GRDP)이 60,132.9억 위안에 달하며 전년 대비 6.0% 성장했다. 1차 산업은 4.0%, 2차 산업은 5.0%, 3차 산업은 7.1%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균형 잡힌 성장을 보였다. 쓰촨성은 인공지능, 수소에너지, 바이오테크, 위성 네트워크 등 신흥산업을 육성하며 6대 경쟁우위 산업을 중심으로 지역 산업단지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성도인 청두시를 비롯한 21개 주요 도시가 지역 특화 전략과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며 각자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도시별 산업단지 현황 1. 청두시(成都) 청두는 산업으로 도시를 일으키고 제조업으로 강화한다는 전략을 통해 중심, 근교, 원교 지역의 3단계 산업 공간을 형성했다.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 분야의 R&D와 응용 역량을 갖추고 있다. 2. 몐양시(绵阳) 몐양은 기간 산업과 특색 산업의 부가가치를 85%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산업체인과 클러스터 집결 효과를 강화하고 있다. 3. 이빈시(宜宾) 윈난성과 구이저우성 접경에 위치한 이빈은 국가 및 지역 전략과 긴밀히 연계해 종합 교통 허브
[더지엠뉴스] 신지스과학재단(新基石科学基金会)은 2024년 과학탐구상(科学探索奖) 수상자 명단을 8월 26일 발표했다. 이번 명단에는 49명의 청년 과학자들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은 수학 물리학, 화학 신소재, 생명과학 등 10개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과학탐구상은 2018년 설립되었으며, 양전닝(杨振宁), 라오이(饶毅), 스이궁(施一公), 판젠웨이(潘建伟), 셰샤오량(谢晓亮) 등 14명의 저명한 과학자와 텐센트 창립자 마화텅(马化腾)이 공동 발의한 상이다. 수상자에게는 5년 동안 총 300만 위안(약 5억 5천만 원)의 상금이 지급되며, 연구와 개인적 사용에 제한이 없다. 주요 내용 과학탐구상은 수학 물리학, 화학 신소재, 천문∙지구과학, 생명과학, 의학과학, 정보 전자, 에너지 환경, 첨단 제조, 교통 건축, 다학제 융합 등 10개 분야로 나뉜다. 올해부터는 여성 연구원의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신청 연령 제한을 45세에서 48세로 완화했다. 이로 인해 이번 수상자 중 7명이 여성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는 역대 최고 비율인 14%를 기록했다. 분야별 수상자 및 연구 내용 1. 수학 물리학 (6명) 루하이저우(난방커지대학교): 위상 물성의 양자
[더지엠뉴스] 푸장혁신포럼-일대일로 주제전문 포럼이 지난 9월 8일 상하이 장징 과학회당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은 "일대일로" 공동 실험실 구축을 중심 주제로 다루며, 향후 5년 내 100개의 공동 실험실 설립을 목표로 설정했다. 현재까지 중국은 "일대일로" 국가와 함께 53개의 공동 실험실을 설립했으며, 이번 포럼에서는 정부 관계자, 공동 실험실 관리자, 싱크탱크 전문가들이 모여 경험과 도전 과제를 공유하고 미래 계획을 논의했다. 주요 일정 및 내용 1. 주제 강연 포럼은 두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세션에서 세계 각국의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강연을 통해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1세션: 중국과학기술발전전략연구원의 류둥메이 당위서기가 사회를 맡았으며, 가나,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중국-포르투갈 공동 실험실 관계자들이 발표했다. 2세션: 상하이과학기술관리간부학원의 정팡 원장이 사회를 맡고,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중국 학계 인사들이 참석해 공동 연구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2. 청년 혁신 포럼(Y-HUBs) 올해 처음 개최된 **청년 혁신 포럼(Y-HUBs)**에서는 40세 이하의 청년 혁신가들이 오픈 마이크와 원탁 토론 형
[더지엠뉴스] 2024 글로벌창업투자대회(WeStart)가 오는 9월 7일부터 10일까지 상하이 장장과학회당에서 개최됐다. 이 대회는 푸장포럼(浦江论坛)의 주요 행사 중 하나로, 창업 투자 포럼, 로드쇼 마라톤, 투자 기관 및 프로젝트 전시를 통해 글로벌 창업 생태계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대회와 함께 열리는 'TOP100 창업 대회'는 약 2,000개의 기술 창업 프로젝트가 신청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출품한 우수 프로젝트가 다수 포함되어, 혁신 기술의 글로벌 무대를 더욱 빛내고 있다. 9월 7일 열리는 첫 로드쇼인 ‘대학 로드쇼 특별전’에서는 9개 대학의 12개 프로젝트가 생명공학, 신소재, 스마트 제조, 에너지 환경 등 다양한 산업을 선보였다. 주요 프로젝트 소개 1. GPCR 혁신 바이오 의약 상하이과학기술대학 연구팀은 GPCR 구조 및 항체 약물 연구를 바탕으로 체중 감량과 대사 질환 치료를 목표로 한 고분자 약물을 개발 중이다. GLP-1, AXX, CXX 수용체 등의 다중 표적 조합 기술이 핵심이다. 2. 보툴리눔톡신 신약 개발 기존 제품과 차별화된 분자 설계를 통해 합성 생물학 생산 공정을 도입한 보툴리눔톡신은 안전
주요 행사 부대 행사 중국 최초의 과학기술 기업 엑스포로, 혁신 수요와 인재, 자본을 연결하며 기술 교류를 촉진한다.이번 엑스포는 ‘1+3+365’ 플랫폼을 통해 연중 기술 교류와 자원 공유를 지원하며, 글로벌 기업을 상하이로 유치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글로벌 창업자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창업 투자 포럼과 로드쇼 마라톤 등을 통해 혁신 기업을 지원한다. TOP100 창업 대회에서는 대학과 연구기관의 우수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일대일로 국가들과 공동 실험실 구축을 목표로 하며, 현재 53개의 공동 실험실을 5년 내에 100개로 확대하는 계획을 논의한다. 40세 이하의 청년 혁신가들이 참여하며, 《MIT Technology Review》와 협력해 ‘35세 이하 기술 혁신 35인’ 아시아태평양 지역 발표식을 진행한다. 글로벌혁신센터(KIC중국)는 이번 포럼에서 한중과기혁신기업가포럼을 주최하며, 한중 간 기술 교류와 협력 기회를 확대한다. 푸장혁신포럼은 글로벌 기술 협력과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과학기술 발전과 협력을 통해 미래를 설계하며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