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광구(光谷)는 ‘빛의 계곡’이란 뜻으로, 영어의 ‘디지털 밸리(Digital valley)’에 해당한다. 중국어로 ‘밸리’로 해석되는 ‘곡(谷)’자를 붙일 수 있는 곳은 우한광구와 베이징(北京)의 중관춘(中關村)밖에 없을 정로도 우한광구는 중국 하이테크 발전의 대명사로 통한다. 우한둥후국가자주혁신시범구(武汉东湖国家自主创新示范区)라고도 불리우는 우한광구는 2009년 12월 국무원의 승인을 받은 베이징 중관춘에 이은 중국의 두 번째 국가 자주 혁신 시범구이다. 우한광구는 중국 최대의 광전자 정보 산업 클러스터로서 광전자 정보 산업을 중심으로, 생명공학, 신재생에너지, 환경보호, 소비 전자제품 등 산업의 첨단기술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했다. 이 시범구의 광전자 정보, 생명공학, 소비전자 제품, 환경보호 등은 수백 억 위안 규모에 달하는 산업으로 거듭났다. 현재 둥후 시범구의 총 계획 면적은 518Km2 에 달하며 여기에는 광구(光谷) 생물성, 미래 과학기술성, 종합 보세구 등 8 개의 산업단지를 포함된다. 시범구에는 10만개 이상의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국가 첨단기술 기업은 3146개, 상장 기업은 52개에 달한다. 둥후 시범구는 중국 최대의 광전
[더지엠뉴스] 우한은 후베이성(湖北省)의 성도로 창강(长江)과 창장의 최대 지류 한수이(汉水)로 충적된 장한평원(江汉平原)의 동쪽, 중국 중부지역의 경제‧정치‧교통‧교육의 중심지다. 또 중국 내륙지역 중 규모가 가장 큰 항운으로 알려져 있다. 2022년 12월 기준 우한시 상주인구 1374만여명으로 중국 전체 도시 중 인구 규모 8위로 기록됐다. 우한시는 13개 행정구로 이루어져 있다. 우창(武昌), 한커우(汉口), 한양(汉口)이 우한시의 중심부를 이루는데 강을 사이에 두고 서 있다는 의미로 세 지역은 ‘우한싼전(武汉三镇)’으로 불린다. ◼7개 중점 도시 건설 지역 2020년 5월 우한시 정부(武汉市政府)는 도시 건설 중요 프로젝트에 관한 업무 회의에서 7개의 중심 지역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관련된 지역은 장안구(江岸区), 장한구(江汉区), 차오커우구(硚口区), 한양구(汉阳区), 우창구(武昌区), 훙산구(洪山区), 칭산구(青山区)이다. 1) 장안구(江岸区) 장안구는 북쪽으로는 루거우차오루(卢沟桥路)부터 남쪽으로는 장한루(江汉路)까지, 서쪽으로는징한다다오(京汉大道)부터 동쪽으로는 옌장다다오(沿江大道)까지에 포함한다. 장안구는 중국공산당
[더지엠뉴스] 후베이성 우한시 최초의 7대 ‘촹구(创谷·혁신벨리)’ 중 하나인 ‘장샤구양광촹구산업단지(江夏区阳光创谷产业园)’가 2022년 9월 21일 공식 오픈했다. 이 산업단지는 광전자 정보, 인공지능, 빅데이터, 5G 등 국가의 전략적 신흥 산업을 기반으로 한다. 장샤양광촹구산업단지의 총 투자 금액은 약 65.8억 위안, 총 건축 면적은 137만㎡에 달한다. 또 우한·중관춘정보벨리혁신센터(武汉·中关村信息谷创新中心), 텐센트 우한 연구개발(R&D) 센터(腾讯武汉研发中心), MAX 과학기술단지(MAX 科技园), 창청양광촹구산업단지(长城阳光创谷产业园), 융촹촹구센터(融创创谷中心) 등 프로젝트가 포함돼 있다. 아울러 기업의 독립 연구동, 고층 오피스, 인큐베이터 등 다양한 분야를 커버함으로써 기업의 각 발전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양광촹구산업단지는 다양한 건축 레이아웃을 통해 기업에게 연구개발, 생산,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통합한 다용도 생활 공간을 제공한다. 5대 서비스 체계와 스마트 산업단지 관리 플랫폼은 기업에게 전 수명 주기의 고품질 서비스를 줄 수 있다. 향후 양광촹구산업단지는 500여개 기업과 6
[더지엠뉴스]청두 한중혁신창업단지는 청두하이테크산업개발구(成都高新区) 남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혁신창업의 핵심단지인 징룽후이(菁蓉汇)에 의해 운영되고 25만6000㎡의 건축면적을 보유하고 있다. 2015년 10월 말, 중국 과학기술부(中国科技部)와 한국 미래창조과학부(韩国未来创造科学部)는 중국 청두에서 '혁신창업협력에 관한 양해각서(关于创新创业合作的谅解备忘录)'를 체결해 중국 청두에 한중혁신창업단지를 설립키로 했다. 청두 한중혁신창업단지는 중국 서부의 한중 협력시범지역 건설을 목표로 중국 국가급 인큐베이터 표준에 따라 관리되고 있으며 2016년 10월 청두하이테크산업개발구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국가급 협력단지로 부상했다. 한중혁신창업단지는 과학기술형 중소기업의 인큐베이션 및 육성을 목표로 한중 양국의 창업기업들에게 △연구개발 △투융자 △혁신 및 창업 △신형 인큐베이션 △신기술 신제품 전시 △국제교류협력 등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청두 한중혁신창업단지는 서울산업진흥원(首尔产业振兴院), 한국문화산업진흥원(韩国文化产业振兴院), 한국창업진흥원(韩国创业振兴院) 등 정부 및 산업기관과 심도 깊은 교류를 통해 협력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한중 민간 차원의
2017년 5월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은 '일대일로' 국제협력서밋(“一带一路”国际合作高峰论坛)에서 2018년부터 중국국제수입박람회(中国国际进口博览会)를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매년 11월 상하이에서 열리고 있다. 올해는 제7회째다. 전시구역 4) 소비 제품 전시 구역 소비 제품 전시 구역은 ‘질적인 삶의 공유와 아름다운 라이프 스타일의 공동 창조’를 주제로 소비 제품 생산기업이 친환경과 지속 가능한 발전, 혁신 제품과 서비스, 업종 간 협력과 융합, 개성화된 맞춤제작과 스마트 기술 분야에서 거둔 성과를 집중적으로 전시해 아름다운 삶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시킨다. 5) 의료기기 및 의약보건제품 전시 구역 의료기기 및 의료보건 구역은 '건강한 중국, 보다 나은 삶'을 주제로 건강한 중국 건설을 중심으로 하며. 글로벌 의료산업의 최신 발전 트렌드와 공동 화제를 반영해 시민의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소망에 부응하고자 한다. 이 구역에서는 국제 선도적 의료 혁신 제품, 첨단 기술, 관련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전시한다. 6) 서비스무역 전시구역 서비스무역 구역은 디지털화를 주축으로 비즈니스의 전체 라이프 사이클에 주목하며 ‘녹색 저탄소, 가치사슬의
2017년 5월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은 '일대일로' 국제협력서밋(“一带一路”国际合作高峰论坛)에서 2018년부터 중국국제수입박람회(中国国际进口博览会)를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매년 11월 상하이에서 열리고 있다. 올해는 제7회째다. 중국국제수입박람회는 중국국제수입박람국(中国国际进口博览局)을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주최하는 세계적인 전시 행사다. 포용성, 개방 협력, 호혜 발전을 촉진하는 글로벌 신형 공용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 CIIE는 중국과 세계 각국 간 긴밀한 협력의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개방 협력에 대한 의지를 대외적으로 알림으로써 글로벌 무역과 경제 발전을 촉진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CIIE는 국가별 전시회, 훙차오국제경제포럼(虹桥国际经济论坛), 기업 비즈니스 전시회, 전문 패키지 행사 및 인문교류행사 등으로 구성된다. 국가별 전시회는 수입박람회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참여국들은 자국의 경쟁력 분야와 우수자원을 집중적으로 선보이며, 무역과 투자 촉진을 위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전시 플랫폼으로 활용된다. 1회 때부터 각계의 큰 관심을 끌면서 이제는 수입박람회의 가장 큰 하이라이트이자,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 가운데 훙차
대규모자금조달 및 유니콘 기업 분석 1) 대규모자금조달 상황 2023년 중국에는 대규모 자금조달이 177건 발생했으며, 공개된 자금조달 총 금액은 4522억3700만 위안에 달했다. 이 가운데 베이징에서는 대규모 자금조달 21건이규, 이는 중국 국내 대규모 자금조달 건의 8% 수준이다. 자금조달 총 금액은 356억8300만 위안으로, 중국의 모든 자금조달 총 금액의 8%였다. 2) 신규 유니콘 기업 상황 같은 해 중국에서 신규 증가한 유니콘 기업은 34개이며, 이 가운데 베이징의 신규 유니콘 기업은 5 개로, 전체의 15%를 점유했다. 현재 중국은 총 554개의 유니콘 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이 중에서 베이징의 유니콘 기업은 총 148개로, 전체의 27%로 기록됐다. 투자 기관 분석 베이징의 신규발행 시장에 참여한 VC/PE 기관은 1060개로, 전년 대비 20% 감소줄었다. CVC 기관은 142개였다. 1) VC/PE 기관 랭킹 투자 건수를 보면, 상위 3개 VC/PE 기관은 치지촹탄(奇绩创坛, 25건), 톈친쥔저(天勤君泽, 20건), 훙산중궈(红杉中国, 20건)이다. 2) CVC 기관 랭킹 투자 건수를 보면 상위 3개 CVC 기관은 텅쉰투자(腾讯投资,
[더지엠뉴스] 루이서우(睿兽)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베이징의 신규발행 시장(1차 시장)에서는 1174건의 자금조달이 발생했다. 전년보다 296건(20%) 감소한 수치다. 공개된 자금조달 총액은 740억18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388억7600만 위안(34%) 줄었다. 대규모 자금조달 21건 추가됐으며, 유니콘기업 5곳이 새로 등장했다. 인기를 끌었던 자금조달 산업은 주로 기업서비스(172건), 인공지능(170건), 스마트제조(156건)이었다. 단계별로는 초기 기업이 812건으로 성장기(283건), 후기(79건) 기업을 압도했다. 활발한 투자 활동을 한 기관으로는 치지촹탄(奇绩创坛, 25건), 훙산중궈(红杉中国, 20건), 톈친쥔저(天勤君泽, 20건), 팡정허성(方正和生, 14건), 치디즈싱(启迪之星, 13건) 등으로 기록됐다. 중국 기업 31곳이 기업공개(IPO)를 완료했는데, A주식시장에 상장한 기업은 20곳, 홍콩 주식 시장에 상장한 기업은 9곳,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한 기업은 2곳으로 집계됐다. 총모금액은 279억3300만 위안이었다. 신규발행 시장의 투융자 분석 신규발행 시장(1차 시장)은 1174건에서 740억1800만 위안의 자금이
[더지엠뉴스] 톈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经济技术开发区, TEDA)는 중국에서 가장 처음으로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로 지정된 14개 개발구 중 한 곳이다. 1984년 12월에 설립된 이래 개발구의 주요 경제지표와 종합발전수준은 꾸준히 전국 선두 자리를 유지해 왔고, 전국 경제기술개발구 종합발전수준평가에선 1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40년의 발전을 거친 톈진경제기술개발구는 중국에서 경제 규모가 가장 크고, 종합 투자 환경도 으뜸으로 인식되는 국가경제개발구로 꼽힌다. 톈진경제기술개발구는 톈진항보세구(天津港保税区), 빈하이까오신구(滨海高新区) 등과 함께 톈진의 경제기능구인 빈하이신구에 위치한다. ■디디·메이퇀·순펑 합류, 발전 ‘가속도’ 톈진경제기술개발구는 유리한 입지, 제조업 산업 인프라, 자유무역 시험구, 경제개발구 정책 등 경쟁력이 서로 맞물리면서 2~3차 산업의 통합 발전과 융합 개발에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있다. 현재 톈진경제기술개발구에는 공인된 금융 기관 158개가 입주해 있으며, 여기에는 법인 본사 기관 26개가 포함돼 있다. 또 톈진시 전체에서 유일하면서도 중국에서 흔치 않은 ‘전체 자동차 금융업무 허가(全牌照)’ 지역이다. 금융업의 부가가치가 톈진시
[더지엠뉴스] 톈진경제기술개발구(天津经济技术开发区, TEDA)는 중국에서 가장 처음으로 국가급경제기술개발구로 지정된 14개 개발구 중 한 곳이다. 1984년 12월에 설립된 이래 개발구의 주요 경제지표와 종합발전수준은 꾸준히 전국 선두 자리를 유지해 왔고, 전국 경제기술개발구 종합발전수준평가에선 1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40년의 발전을 거친 톈진경제기술개발구는 중국에서 경제 규모가 가장 크고, 종합 투자 환경도 으뜸으로 인식되는 국가경제개발구로 꼽힌다. 톈진경제기술개발구는 톈진항보세구(天津港保税区), 빈하이까오신구(滨海高新区) 등과 함께 톈진의 경제기능구인 빈하이신구에 있다. ■작년 연간 수출입액 44조원에 육박 2023년 톈진경제기술개발구의 발전 구조는 지속적인 최적화를 통해 투자 구조는 더욱 실용적으로, 대외무역 구조는 더욱 우수하게, 재무 및 세수 구조는 더욱 안정적으로 변화했다. 고정 투자에서의 산업 투자 비중은 77.2%로 상승했고, 핵심 산업 프로젝트 84개가 건설 중이다. 또 30개 프로젝트는 완공돼 이미 생산에 돌입했다. 연간 수출입액은 2300억 위안(43조8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태양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