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서울과 중국 청두가 한층 가까워졌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2일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왕펑차오(王凤朝, Wang Fengchao) 청두시장을 맞이하며 두 도시의 새로운 협력의 문이 열렸다. 오 시장은 청두가 16년 동안 ‘중국에서 가장 행복한 도시’로 뽑힌 이유에 주목하며, “시민 목소리를 담아 정책을 만들어가는 청두의 방식에 깊이 공감한다”고 전했다. 그는 지난해 충칭을 방문했을 때도 중국 지방정부가 시민의 편의를 위해 얼마나 세심하게 노력하는지 느꼈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9월 30일부터 3일간 주최하는 ‘서울스마트라이프위크 2025’ 행사에 청두시를 초청한 오 시장은 “청두의 다양한 경험과 기술이 서울과도 잘 어울릴 것”이라며 협력 의지를 밝혔다. 왕 시장도 따뜻하게 화답했다. 경제·무역, 혁신 산업, 스마트 도시 운영, 문화와 관광 등 여러 분야에서 서울과 함께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하나하나 언급했다. 이번 방한에는 청두시 대표단도 함께하며, 24일까지 한국에 머무르며 투자 설명회 개최와 우호 도시 방문 일정을 소화할 계획이다. 서울과 청두는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진 도시지만, 시민 중심이라는 공통된 철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협력 모델을 만들어가고
[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6세대 이동통신(6G) 기술 패권 확보를 위해 한국, 유럽연합(EU), 인도 등과의 국제 협력 강화를 공식화했다. 19일 중국 정부와 매체에 따르면 셰춘 중국 공업정보화부 정보통신발전사 사장은 이날 국무원 주최의 기자회견에서, 6G를 포함한 통신 산업 전반의 대외 개방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셰 사장은 “제1차 부가가치 통신사업 개방 시범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외자 기업의 중국 내 통신 서비스 진출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예고했다. 특히 그는 대외 개방 범위를 넓혀 자격을 갖춘 글로벌 ICT 기업들이 중국 통신 인프라에 투자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문을 더 넓히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5G 대비 최대 50배 빠른 전송속도를 지닌 6G 기술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규정하고, 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적극적인 국제 협력을 추진 중이다. 실제 지난달 전인대 정부 업무보고에서 처음으로 ‘6G’ 용어가 명시됐으며, 이는 중국 지도부가 해당 분야를 국가 핵심 전략으로 격상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번 발표는 과학기술 굴기를 통해 중국이 통신 기술 체계의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천명한 것이며, 한
[더지엠뉴스]한중 간 민간경제 협력 확대를 위한 포럼이 중국 안후이성 마안산시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18일 중국 정부와 매체에 따르면 ‘제11차 한중경제협력포럼’은 17일부터 이틀간 마안산시 진잉상메이호텔에서 개최됐으며, 한국과 중국 양국의 기업인과 정부 인사, 학자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사단법인 한중민간경제협력포럼(이사장 지영모)이 주최하고, 중국아주경제발전협회 및 한국아태경제인협회가 공동 주관했으며, 마안산시 정부가 후원했다. 포럼 주제는 ‘경제 교류 확대를 통한 우호관계 증진’으로, 주상하이 총영사관·한국무역협회·삼성·CJ·포스코·LS·세종텔레콤 등 주요 기업과 기관이 대거 참여했다. 17일 개막식에서는 갈빈 마안산시장의 환영사와 함께, 취안순지 중국아주경제발전협회장, 고재신 재경관, 황득규 삼성의료재단 이사장, 김형진 세종텔레콤 회장 등의 축사가 이어졌다. 지영모 이사장은 “양국 우호는 역사적으로 뿌리 깊으며, 포럼을 통해 경제 위기를 함께 극복하자”고 밝혔고, 정영수 코트라 상하이무역관장은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FDI)가 64억 달러를 기록했다”며 한국 경제의 저력을 소개했다. 중국 측 기조연설자인 황리빈 전 산업정보화부 사장
[더지엠뉴스]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하는 중국 CATL(닝더스다이, 宁德时代, Ningde Shidai)이 한국에 독자 법인을 설립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지난 1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시에이티엘코리아 주식회사'(CATL Korea Co., Ltd.)를 세우고 공식 법인 등록을 마쳤다. 설립일은 2025년 1월이며, 이사회에는 중국 국적 한신준과 호주 국적 권혁준이 공동대표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법인 자본금은 6억 원이며 발행주식은 12만 주다. 법인의 사업 목적은 배터리 및 전력저장장치(ESS), 관련 장비 및 재활용 사업 등으로 명시됐다. 법인 설립 직후 CATL은 한국 현지에서 영업, 마케팅, 인사 부문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 채용에 착수했다. 이를 통해 한국 내 배터리 관련 사업 확장을 위한 초석을 마련한 것으로 해석된다. CATL은 가격 경쟁력이 높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주력으로 내세우며,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 국면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특히 자국인 중국 시장은 물론, 테슬라, BMW, 벤츠, 폭스바겐 등 세계 주요 완성차 브랜드에도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더지엠뉴스]한중 양국 정부 간 청년 외교관 교류 프로그램이 7년 만에 다시 시작된다. 13일 외교부는 이번 교류 사업에 참가하는 대표단이 중국 외교부의 초청으로 14일부터 19일까지 장쑤성(江苏, Jiangsu), 충칭(重庆, Chongqing), 베이징(北京, Beijing) 등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표단은 오진희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 심의관이 단장을 맡고 있으며, 중국에 깊은 관심을 가진 실무직 외교관 13명으로 구성됐다. 이 교류 프로그램은 2011년 양국 외교장관 합의에 따라 추진돼 왔으나, 2018년 이후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여파로 중단됐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재개됐다. 방중 일정은 중국 외교부 실무자들과의 회동을 시작으로, 중국 지방정부 인사들과의 면담, 옌청(盐城, Yancheng)의 한중 산업단지 시찰, 충칭과 전장(镇江, Zhenjiang) 일대에 위치한 항일 독립운동 사적지 방문 등이 포함된다. 외교부는 이번 방문을 통해 외교 실무자들이 중국 사회와 정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한중 관계의 미래를 위한 신뢰 형성의 계기로 삼는다는 입장이다. 한편 이번 방중은 중국 측이 먼저 재개를 제안해 이뤄졌으며, 특히 장쑤성과 충칭 등은
[더지엠뉴스]주한 중국대사관이 청명절을 맞아 재한 화교 대표들과 함께 인천 화교 묘역을 찾아 항일 열사에 대한 추모 행사를 진행했다. 4일 기준 주한 중국대사관에 따르면, 지난 3일 팡쿤(方坤, Fang Kun) 공사를 비롯한 외교관, 재한 화교 및 중국 유학생 대표들은 인천의 화교 묘역을 찾아 합동 참배를 진행했다. 이들은 묘역 내 자은탑 앞에 헌화하고, 세 번 절하며 선조들의 넋을 기렸다. 특히 항일 열사로 알려진 방숭학(方崇學) 선생의 묘소를 찾아 경건한 분위기 속에 추도식을 진행했다. 강수생 인천화교협회 회장과 취환 재한여성화인화교연합회 회장은 각각 추도사를 통해 “화교 선인들이 한국 사회에 뿌리 내릴 수 있도록 헌신한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선대의 희생과 투쟁정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중국대사관은 이번 행사를 통해 재한 화교 사회의 역사와 뿌리를 되새기고, 중국과 한국 간 우호 교류의 상징적 의미를 강화하고자 했다.
[더지엠뉴스]다이빙(戴兵, Dai Bing) 주한 중국대사가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찾아 윤원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과 만나 양국 간 첨단 산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11일 확인된 중국대사관 발표에 따르면, 다이빙 대사는 지난 3월 28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을 방문해 경제와 무역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 강화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다이빙 대사는 중국과 한국이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핵심 파트너라고 강조하며, 중한 협력이 높은 수준의 기반을 이미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근 산업 분야에서 양국 간 경쟁 구도가 일부 나타나고 있으나, 전략적 협력의 중요성과 상호 이익 구조는 여전히 견고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인천경제자유구역이 다국적 기업들이 모이는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중국 기업들과의 연계 확대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양국 기업이 각각의 산업기술 강점을 기반으로 첨단 산업에서 협력의 새로운 지점을 발견하고, 더 긴밀한 연계를 통해 상호 발전의 동력을 키우길 바란다고 밝혔다. 윤원석 청장 역시 인천이 한국 내에서 중국과의 교류가 가장 활발한 도시 중 하나라고 강조하며, 인천경제자유구역이 한국 최초이
[더지엠뉴스] 27일, 다이빙 대사는 한국 국회와 글로벌전략협력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한중일 3국 협력 전문가 대화 개막식에 초청을 받아 참석했다. 이번 행사에는 포럼 대표인 위성락 의원을 비롯하여 한국 여야 국회의원과 미즈시마 고이치 주한 일본대사, 즈시 슈지 중한일 3국협력사무국(TCS) 사무차장 및 3국 전문가와 학자들이 참석했다. 다이빙 대사는 축사를 통해 중국, 일본, 한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동반자이며 세계 주요 경제체라고 강조했다. 그는 '가까운 이웃이 먼 친척보다 낫다'라는 말을 인용하며,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세계 상황 속에서 3국 협력이 더욱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다이빙 대사는 중국이 한국, 일본과 함께 3국 협력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업그레이드하여 더욱 성숙하고 안정적이며 회복력을 갖출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위성락 의원, 미즈시마 고이치 주한 일본대사, 즈시 슈지 TCS 사무차장 등은 축사에서 3국이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 유사하며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어, 3국 협력이 지역의 평화와 번영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강조했다. 또한 새로운 정세 속에서 3국이 협력하여 함께 나아가며 3국 협력에 새로운 동력
[더지엠뉴스]3월 20일, 서울에서 한화중국평화통일촉진연합총회와 중국재한교민협회총회, 한국 구이저우성 상회 등 한국 내 주요 화교 단체들이 모여 <반분열국가법> 시행 20주년을 기념하는 좌담회를 개최했다. 참석자들은 <반분열국가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 법이 조국 통일을 수호하는 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국내외 중국인들이 조국 통일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며, 재한 중국 동포들이 <반분열국가법>을 확고히 지지한다고 밝혔다. 행사에서는 30여 개 화교 단체 대표들이 ‘<반분열국가법> 시행 20주년 기념 재한 화교∙화인 공동 성명’에 서명했다. 이들은 해외 동포들이 민족 대의를 위해 모든 분열 행위에 단호히 반대할 것을 촉구하며, 재한 동포들의 역할을 강조했다. 행사에 참석한 중훙눠(仲红诺, Zhong Hongluo) 주한 중국대사관 공사참사관 겸 총영사는 재한 동포들이 조국 통일을 위해 기울인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도 각자의 강점을 발휘하여 조국 통일과 민족 부흥의 대업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더지엠뉴스]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28일 베이징에서 세계 유수 기업 최고경영자들과 만남을 가질 예정이다. 27일 로이터통신은 익명의 소식통 2명을 인용해, 이번 회동에는 독일의 BMW와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미국의 반도체 기업 퀄컴(Qualcomm) 등 글로벌 기업의 CEO들이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이 회동은 최근 중국이 부동산 위기와 소비 위축, 외국인 투자 감소 등 경제 복합 위기 속에서 대외 개방을 강조하고 있는 시점에 개최돼 주목받고 있다. 시 주석은 글로벌 경영진을 직접 만나 중국 시장의 개방 기조를 재확인하고, 외자 유치의 필요성을 설득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지난 23일과 24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발전포럼(CDF)에서는 리창(李强, Li Qiang) 총리가 "중국은 외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 더 깊이 통합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혀 대외 개방 메시지를 선제적으로 발신한 바 있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해에도 포럼 직후 미국 기업 CEO 및 학계 인사들과 면담을 진행했으며, 당시 “각국 기업, 특히 미국 기업에게 더 넓은 기회를 제공하겠다”며 투자 유치를 위한 신호를 직접 보냈다. 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