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로보택시 산업이 자율주행 기술을 중심으로 교통 혁신의 핵심 주자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은 다양한 정책 지원과 기술 개발을 통해 로보택시의 대중화와 상업화를 가속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베이징, 선전, 우한 등 주요 도시들은 로보택시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보조금 정책과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했다. 베이징 이좡 경제개발구는 단일 시범 프로젝트 투자액의 최대 30%를 지원하며, 최대 300만 위안에 달하는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한 대규모 AI 모델을 구축한 기업에 대해서는 100만 위안의 추가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선전은 누적 주행거리 1,000km를 달성한 운영 주체에 최대 500만 위안을 지원하며, 차량의 스마트화와 무인화 기술 개조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우한은 시범 응용 차량 투자액의 30%를 인센티브로 제공하며, 기업당 최대 1,000만 위안의 자금 지원을 약속했다. 또한, 공공도로 테스트 비용의 절반을 보조하며 연간 최대 200만 위안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은 자율주행 기술 검증과 상업적 도입을 가속화하며 로보택시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더지엠뉴스] 중국의 모바일 충전 로봇 산업이 전기차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주목받고 있다. 모바일 충전 로봇은 ‘자율주행 충전소’ 또는 ‘모바일 충전소’를 의미하며, 섀시, 배터리 팩, 충전소, 충전기, 로봇 팔, 센서, 제어 시스템, 충전 포트 감지 시스템, 음성 인터렉티브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로봇은 고정 충전소의 한계를 보완하며, 전기차 충전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해왔다. 중국 정부는 모바일 충전 로봇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고속도로, 공공장소, 대형 상업시설 등 주요 지역에 모바일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농촌 지역과 같은 특수 환경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설비 개발을 장려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22년 교통운송부는 고속도로 휴게소에 모바일 충전 장비를 배치해 피크 시간대 충전 수요를 충족시키겠다는 방안을 발표했다. 모바일 충전 로봇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고속도로와 공공장소에서는 상시적인 충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응급 구조 상황이나 재난 상황에서도 신속한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스마트홈 환경에서는 가정용 기기를 충전하는 데에도 활용
[더지엠뉴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는 최근 <2024년 중소기업 특색 산업 클러스터 명단에 관한 공시>를 발표했다. 명단은 <중소기업 특색 산업 클러스터 발전 촉진 임시 방안>과 <2024년 중소기업 특색 산업 클러스터 조직 추천에 관한 공업정보화부 판공청의 통지>에 따라 평가와 인증 과정을 거쳐 선정됐다. 인증 기준 핵심 경쟁력: 우수한 중소기업 중심으로 강력한 경쟁력 보유. 협력 및 혁신 역량: 산업체인과 공급망의 효율적 협업과 혁신성. 디지털 전환 및 친환경 발전: 뚜렷한 디지털 전환 효과와 친환경 기술 적용. 운영 및 서비스 역량: 높은 수준의 산업 개방 협력과 서비스 체계. 주요 선정 클러스터 베이징 하이뎬구 로봇 산업 클러스터 미윈구 측정 및 제어 장비 산업 클러스터 순의구 항공 장비 지원 산업 클러스터 허베이성 탕산시 루베이구 지능형 특수 로봇 산업 클러스터 츠현 순환 화학 신소재 산업 클러스터 자오창현 유리섬유 강화 복합재료 산업 클러스터 광둥성 광저우시 황푸구 유기 고분자 재료 산업 클러스터 주하이시 샹저우구 인쇄 장비 및 소모품 산업 클러스터 선전시 푸티안구 지능형 터미널 산업 클러스터 산업별
[더지엠뉴스] 중국의 무인 환경미화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자율주행 청소차를 중심으로 기술 혁신과 산업 체인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책과 시장 지원 아래 주요 기업들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있다. 자율주행 청소차란 자율주행 청소차는 다양한 도로 및 장소에서 청소, 소독 등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한 무인 환경미화 장비를 뜻한다. 자율주행 청소차 발전 연혁 중국은 2017년부터 도로 청소차의 무인화 개조를 시작해 2022년 운전석 없는 무인 청소차의 대량 생산에 이르렀다. 2017년 즈싱저는 베이징 올림픽 공원에 첫 번째 무인 청소차 ‘워샤오바이’를 투입했다. 2018년 중롄환징은 쿠와로봇과 함께 전천후 청소와 스마트 경로 계획이 가능한 무인 청소차를 출시했다. 2022년 원위안즈싱은 중국 최초의 6t 양산 무인 청소차 ‘S6’를 출시했으며, 센투즈넝은 풀스택 기술로 개발된 무인 청소차 ‘V3’를 발표했다. 2024년에는 센투즈넝이 다용도 무인 청소차 ‘Platforma-X’를, 쿠와커지가 새로운 기린 시리즈 청소 로봇을 출시하며 시장을 확장했다. 무인 환경미화 산업 체인 무인 환경미화 산업은 부품, 무인 기술, 설
[더지엠뉴스] 하이난 자유무역항은 2023년 다양한 성과를 통해 중국의 무역 및 투자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무역 규모와 투자 유치에서 눈에 띄는 성장을 기록했으며, 항공, 전자상거래, 첨단 서비스업 등에서 혁신적인 정책을 도입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1. 하이난 자유무역항의 무역 현황 2023년 하이난 자유무역항의 상품 무역 총액은 2,312.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3% 증가했다. 수입: 1,570.7억 위안(22.4% 증가)으로 전국 4위. 고부가가치 및 첨단 제품 수입이 증가하며 수입 구조가 개선됐다. 수출: 742.1억 위안(2.8% 증가)으로, 기계 및 전자 제품이 최대 수출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서비스 무역과 신흥 시장 서비스 무역 총 수출입액은 458.2억 위안(29.6% 증가)으로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신흥 시장 국가와의 무역도 확대되어 ‘일대일로’ 국가와의 수출입이 전년 대비 20.9% 증가했다. 2. 투자 및 산업 발전 현황 2023년 하이난 자유무역항은 227.1억 위안(약 32.8억 달러)의 외자 사용액을 기록했다. 신규 시장 주체: 139만 개의 신규 시장 주체가 등록되며 전년 대비 58.2% 증가. 외자 기업
[더지엠뉴스] 2024년 상반기 중국의 해외 투자 활동은 지속적인 성장과 산업 다각화를 보여주었다. 해외직접투자(ODI)와 하청 공사는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인수합병은 감소세를 기록했다. 중국의 해외직접투자(ODI)는 853억 달러로 전년 대비 13.2% 증가했다. 2. 해외 인수합병 인수합병 건수는 206건으로 19.2% 감소했지만, TMT(기술, 미디어, 통신)와 금융 서비스 분야는 각각 100%, 334.5% 성장하며 눈에 띄는 성과를 보였다. 주요 업종: 부동산, 호텔 및 건설업, 첨단 제조업, 운수업이 총 금액의 56%를 차지했으며, 건수 기준으로는 소비재와 광업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기록했다. 중국 기업의 해외 하청 공사 신규 계약금은 1,155.4억 달러로 전년 대비 22%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4. 분석 및 전망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
[더지엠뉴스]위성 인터넷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주요 국가들이 기술 및 서비스 경쟁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2,850억 달러에서 2024년 3,040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저궤도(LEO) 위성 채택 증가와 통신 서비스 수요가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미국: 스페이스X, 인텔샛, SES 등 대형 기업들이 위성 발사와 통신 서비스를 주도하고 있다. 유럽: 에어버스와 THALES Alenia Space 등 기업이 위성 제조와 발사에 강점을 보이며, 영국 정부는 원웹(OneWeb)을 인수해 통신 위성 사업을 확장 중이다. 아시아: 중국, 인도, 일본 등이 독자적인 위성 프로그램을 통해 시장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훙옌군집위성’과 ‘홍윈프로젝트’를 통해 저궤도 위성 인터넷 시장에 진출했다. 2021년 중국 위성 인터넷 시장 규모는 292.48억 위안으로, 2025년 446.92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연평균 11.18%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업스트림: 위성 설계 및 발사체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기관, 소프트웨어 및 제조업체가 포함된다. 미들스트림: 위성 운영 센터와 데이터 통신
[더지엠뉴스] 양자 컴퓨팅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시장 규모는 연평균 281.79%의 복합 성장률을 기록하며 0.24억 위안에서 50.21억 위안으로 급증했다. 앞으로 2024년부터 2028년까지는 연평균 38.56%의 성장률로 256.46억 위안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양자 컴퓨팅은 업스트림, 미들스트림, 다운스트림으로 나뉘어 주요 기술과 제품을 구성한다. 글로벌 경쟁력 분석 미국: IBM,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가 양자 컴퓨팅 기술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IBM은 1,000개 이상의 양자비트를 가진 Condor 프로세서를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유럽: 독일은 기업 수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기술력에서는 미국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프랑스는 ‘양자기술국가전략’을 통해 PASQAL 등 기업을 지원하며 성장을 도모 중이다. 중국: 텐센트와 화웨이를 비롯한 대기업들이 양자 컴퓨팅에 적극적으로 투자 중이며, ‘지우장 3호’ 광자적 양자 컴퓨팅 프로토타입 발표로 국제적인 입지를 강화했다. 양자 컴퓨팅은 기술 개발과 함께 지역별 정책과 협력을 통한 산업 통합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중국은 ‘뭐즈호’ 위성을 발사하며 양자
[더지엠뉴스] 중국 시장은 글로벌 5G 시장 발전에 있어 중요한 기반적 역할을 하고 있다. 기지국 설치 현황을 보면 2023년 중국은 5G 기지국을 106.5만 개 증설했고(글로벌 증설량의 69.5%), 중국의 무선 설비 시장의 이익 비중은 글로벌의 32%로 1위를 기록했다. 5G 이용자 증가량을 보면, 2023 년 중국 5G 이용자 수는 8.05 억 명(글로벌 5G 이용자 수의 51.3%)으로 세계 최대 5G 이용자 시장이 되었으며, 5G 침투율은 46.6%에 달하였다. 한국의 5G 침투율은 39.1%에 달하며, 인도 지역은 5G 비즈니스 활용이 가속화되면서 5G 이용자 수는 약 1.3억명, 5G 침투율은 11% 수준이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지속적인 침체 상황인 가운데, 5G 스마트폰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2023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11.74억대(전년비 -4.2%)로, 지난 10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글로벌 5G 스마트폰 출하량은 7.16억대(+2.3%)로,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61%를 차지했다. 중국 시장의 5G 스마트폰 출하량은 2.38억대( +11.7%)로,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86.6%다. 고스마트
[더지엠뉴스] 포터의 5가지 경쟁요인 분석 모델(Porter’s Five Forces Model)에 따르면, 현재 드론 핵심 부품은 특수성이 강하고 공급 시장이 집중화돼 있기 때문에, 드론 메인 제조사들이 업스트림에 진출 혹은 강화를 시작하긴 했으나 업스트림 시장에 대한 산업의 지배는 여전히 매우 과도한 상태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드론 산업 공급사는 매우 강한 가격 협상력을 가지고 있다. 현재 드론 시장의 소비자 집중도는 낮고 개별 구매량은 적음과 동시에 드론의 제품 카테고리가 다양하고공급업체의 집중도가 높아 드론 산업의 소비자는 상대적으로 약한 가격 협상력을 가진 상황이다. 현재 중국의 드론 산업은 성장 단계로, 아직 규모 확장 단계로 진입하지 못했다. 동시에 드론 시장은 밝은 전망과 커다란 산업 매력도를 갖춘 바, 드론 산업은 진입자에 의한 잠재적인 리스크가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드론의 다운스트림 분야는 매우 광범위하고 대체 가능한 제품이 거의 없기 때문에 대체품에 의한 위협은 상당히 적다. 현재 드론 산업의 진입·철수 장벽이 높은 상황에서 기존 기업들의 시장의 집중도가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산업의 전반의 경쟁은 적당한 수준에 놓여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