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31일 오전 톈진에 도착해 중국 순방 일정을 시작했다.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4일간 이어지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을 중심으로 양국 협력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날 중국 매체 펑파이신문(The Paper)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22분 전용기를 통해 톈진에 도착했다. 그는 중국 방문 기간 동안 시진핑 국가주석과 회담을 갖고 에너지, 무역, 안보 분야를 포함한 협력 방안을 집중 논의할 계획이다. 푸틴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올해 들어 두 번째다. 그는 지난 5월 베이징을 찾아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으며, 당시 러시아-중국 관계 강화를 재확인했다. 이번 순방은 SCO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다자 무대 참여와 양자 회담을 병행하는 일정이다. 상하이협력기구는 2001년 출범한 지역 다자 안보·경제 협력체로,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해 중앙아시아 4개국 등이 창립 회원국이다. 올해 톈진 정상회의에는 20여 개국 정상과 국제기구 대표들이 참석해 지역 안보와 경제 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다.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은 31일부터 톈진에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를 연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의장을 맡아 정상회의와 ‘SCO 플러스’ 회의를 주재하며, 20여 명의 외국 정상과 10개 국제기구 대표가 자리한다. 이번 회의는 출범 이후 최대 규모로, 향후 10년간 협력 전략을 설계하는 자리가 된다. 30일 중국 당국에 따르면 톈진은 회의 준비를 모두 완료했다. 메이장컨벤션센터는 시설과 기능을 새로 보강했으며, 취재진을 위한 다국어 서비스 로봇과 실시간 번역 시스템도 도입됐다. 이미 약 3천 명의 국내외 기자들이 등록을 마쳐 개막 열기를 더했다. SCO는 2001년 상하이에서 출범한 중국 주도의 지역 협력체로, 현재 회원국 10개국, 옵서버국 2개국, 대화 파트너 14개국을 포함해 아시아·유럽·아프리카 전역을 아우르는 최대 국제기구로 성장했다. 중국 외교부는 상하이 정신을 기반으로 다자주의를 굳건히 지키고, 보호무역주의와 일방주의에 맞서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링지(凌激) 상무부 부부부장은 2024년 중국과 회원국 간 교역액이 5124억 달러(약 714조 원)에 달해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과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원국 간 교역이 빠르게 늘어나며 역내 경제 협력이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다. 무역·투자와 더불어 에너지와 디지털 산업까지 협력이 확장되면서 글로벌 경제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28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접경지인 신장 호르고스 국제협력센터에서는 하루 3만 명이 넘는 인원이 오가며 활발한 교역과 관광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들어 7월까지 누적 이동 인원은 500만 명을 넘어섰으며, 2,000여 개 상점 중 200곳 이상이 면세점으로 운영되고 있다. SCO는 2001년 출범 이후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 10개 회원국으로 확대됐고, 현재 전 세계 인구의 절반과 경제 총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지난해 중국과 회원국 간 교역액은 3조6,500억 위안(약 672조 원)으로 출범 초기 대비 36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1~7월 교역액은 2조1,100억 위안(약 388조 원)으로 집계됐으며, 7월 한 달간만 3,260억 위안(약 60조 원)을 기록해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협력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카자흐스탄 악몰라 지역에 중국 기업이 건설한 풍력발전단지는 중앙아시아 최대 규모로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톈진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를 주재하며 국제 협력의 청사진을 제시한다. 이번 회의에는 20여 개국 정상과 10여 국제기구 대표가 참석해 ‘톈진 선언’과 향후 10년 발전 전략을 채택할 예정이다. 2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류빈(刘彬, Liu Bin) 외교부 부부장은 지난 22일 브리핑에서 시진핑 주석이 3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톈진(天津, Tianjin)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를 주재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중국이 다섯 번째로 주최하는 SCO 정상회의로, 지금까지 개최된 회의 가운데 가장 큰 규모가 될 전망이다. 시 주석은 회원국 정상회의와 ‘SCO+’ 회의를 주재하며 두 차례 기조연설을 통해 중국의 협력 구상과 새로운 조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는 ‘상하이 정신’을 계승해 공동 발전과 평화 안정을 강조하고, 이 과정에서 제2차 세계대전 승리와 유엔 창립 80주년을 기념하는 성명도 함께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각국 정상들은 공동으로 ‘톈진 선언’을 서명·발표하고, ‘상하이협력기구 향후 10년 발전 전략’을 승인한다. 아울러 안보, 경제, 문화 협력에 관한 다양한 합의문이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과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원국 간 교역과 투자가 올해 들어 다시 한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교역 규모는 2,931억8,000만 달러(약 402조 원)에 달하며, 에너지·인프라를 넘어 디지털 경제와 녹색 개발로 협력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24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1~7월 중국과 다른 SCO 회원국 간 상품 무역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8% 증가해 2,931억8,000만 달러에 달했다. 최근 5년간 무역 규모는 3,000억 달러를 넘어 4,000억 달러, 5,000억 달러까지 확대됐으며,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2.7% 늘어난 5,124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전자상거래 교류가 눈에 띄게 확대됐다. 지난해 SCO 회원국으로부터 중국이 들여온 국경 간 전자상거래 수입액은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현지 특산품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빠르게 중국 소비자에게 도달하면서 새로운 무역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았다. 투자 협력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7월 기준 중국의 SCO 회원국 대상 직접투자는 누적 400억 달러(약 55조 원)를 돌파했다. 기존 에너지, 광업, 인프라 중심의 협력에 더해 디지털 경제,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비롯한 각국 정상들을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공식 초청했다. 국제 정세 불안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이 주도하는 다자 협력체를 통해 단결을 강조하며 영향력 확대를 꾀하는 모습이다. 22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류빈 부장조리(차관보)는 브리핑에서 시 주석이 오는 31일부터 톈진에서 열리는 회의에 푸틴 대통령,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모디 총리,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등 20명을 초청했다고 밝혔다. 류 부장조리는 “국제 질서가 복잡해질수록 국가 간 단결과 협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SCO는 2001년 중국·러시아·중앙아시아 4개국이 출범시킨 뒤 인도, 파키스탄, 이란, 벨라루스가 합류해 현재 10개 회원국으로 구성돼 있다. 정치·경제·안보 협력을 포괄하는 SCO는 중국과 러시아의 반서방 전략 구도가 반영된 기구로, 이번 회의에서는 ‘톈진 선언’ 채택이 예정돼 있다. 푸틴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다음 달 3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도 참석할 전망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베트남
더지엠뉴스 송종횐 기자 | 중국이 상하이협력기구(SCO) 의장국 임기를 마무리하며 오는 31일 톈진에서 사상 최대 규모 정상회의를 연다. 이번 회의는 다자안보 체제 재편의 분기점으로, 중국의 외교 전략 전환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중국은 지난 1년간 ‘상하이 정신’을 실천하며 100건이 넘는 의장국 활동을 전개했다”고 밝혔다. 정치, 안보, 경제, 교육, 디지털 산업 등 주요 분야에서 진행된 이 활동 가운데 절반 가까이는 제도적 틀 아래 이뤄졌으며, 각국 간 실질 협력을 크게 끌어올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협력 사업뿐 아니라 조직 개편을 둘러싸고도 진전이 있었다. 중국은 회원국들과 함께 정보안보센터, 마약퇴치센터, 초국경 범죄 대응센터 설립 등을 협의하며, 상시적인 안보 대응 구조 마련을 추진해왔다. 이러한 움직임은 회의체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SCO를 명실상부한 안보기구로 진화시키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이번 정상회의는 20여 개국 정상과 10개 국제기구 대표가 참석하는 대규모 행사로, 외교·안보는 물론 경제 아젠다까지 전방위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중국 외
시진핑 주석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상하이협력기구(SCO)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한 각국 대표단장을 집단으로 접견하며 SCO의 창립 정신을 재확인했다. 국제 정세가 복잡하게 얽힌 가운데, 그는 다자주의 수호와 공동 번영의 가치를 거듭 강조했다. 1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상하이협력기구는 24년간 상호 신뢰와 협력으로 강한 생명력을 보여줬고, 새로운 국제관계의 모범을 만들어왔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SCO를 주변 외교의 핵심으로 삼아 왔으며, 의장국으로서 각국과 함께 SCO의 실질적 발전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올해 톈진 정상회의를 계기로 각국 정상과 발전 전략을 논의하길 기대한다”며 “변화와 혼란이 교차하는 국제 환경 속에서 SCO는 방향을 분명히 하고 자신감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협력의 기반으로 ‘상하이 정신’을 들며, 문명 간 존중과 공동 번영을 위한 포용적 접근을 주문했다. 그는 이어 안전 협력 강화를 위한 제도 보완, 일대일로(一带一路) 구상과의 연계, 문화교류 확대 등 세 가지 협력 방향을 제시하며 “회원국 국민의 평화롭고 풍요로운 삶에 실질적 기여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다극화된 세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주석이 러시아 외무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를 인민대회당에서 접견하며 양국의 전략적 결속을 다시 확인했다. 그는 푸틴과의 합의를 이행하고, 글로벌 남반구 국가들과 연대해 국제질서 재편에 함께 나설 것을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라브로프 장관의 방문에 대해 “푸틴 대통령과 내가 합의한 중요한 사안들을 충실히 이행하자”며 양국 간 전략 협력의 지속을 당부했다. 시 주석은 특히 상하이협력기구(SCO)를 거론하며, 이는 중러가 함께 만든 플랫폼이자 유라시아 안정의 핵심이라며 “조직의 발전 방향을 함께 잡고, 여기에 새로운 동력을 주입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시 주석은 “중러는 서로의 발전과 안보 이익을 수호하고, 세계 남반구 국가들과 연대해 보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국제질서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 주도의 기존 질서에 도전하는 중국의 외교 전략을 재확인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에 라브로프 장관은 “푸틴 대통령의 따뜻한 안부를 전한다”며 “양국 정상의 전략적 지도 아래 중러 관계는 깊이 있는 발전을 이어가고 있다”고 화답했다. 그는 또 “올해는 세계 반파시즘 전쟁 승전 80주년이라는 뜻깊은 해”라고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정부가 상하이협력기구(SCO) 의장국 자격으로 올해 가을 예정된 정상회의에 앞서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회의는 주요 의제 조율과 협력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사전 정치 논의 성격을 지닌다. 1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2024~2025년 상하이협력기구의 순회의장국으로서, 올해 가을 톈진(天津, Tianjin)에서 정상회의를 주최할 예정이며, 이를 위한 외교장관회의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회의는 왕이(王毅, Wang Yi) 외교부장이 주재하며, 회원국 외교장관들이 참여해 상호 협력 방안과 국제·지역 현안을 논의하고 다수의 협정과 공동 문건을 채택할 예정이다. 린젠 대변인은 “이번 회의는 ‘상하이 정신을 고양하자: 상하이협력기구의 행동’을 주제로,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주석이 제시한 공동의 번영과 안정, 정의와 우호의 공동체 구상에 실질적인 진전을 만들 기회”라며 “회원국 간 협력 공감대를 넓히고 실질 조치를 통해 톈진 정상회의의 성공 개최를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회의의 상세 일정과 기자회견 등은 추후 적시에 안내하겠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