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개발자 플랫폼에 아무런 예고 없이 최신 AI 모델 V3의 업데이트 버전을 올리며 글로벌 시장에 다시 충격을 던졌다. 25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딥시크는 공식 발표 없이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V3-0324’라는 이름의 모델을 등록했다. 허깅페이스는 거대언어모델(LLM)과 머신러닝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딥시크의 이번 조용한 출시는 개발자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다. 업데이트된 모델은 기존보다 프로그래밍 기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코드 생성, 디버깅, 알고리즘 문제 해결 등에서 뛰어난 지원 능력을 보여주며, 실제 적용 사례에서 높은 효율성과 정확성을 입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딥시크는 지난 1월에도 미국 애플 앱스토어에서 챗GPT를 제치고 무료 앱 다운로드 1위를 기록하며 업계를 놀라게 한 바 있다. 당시 공개된 경량형 추론모델 R1은 성능과 속도에서 오픈AI의 최신 모델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평가받았고, 이로 인해 미국 기술주가 흔들릴 정도의 파장이 이어졌다. R1은 수십억 달러의 인프라 없이도 고성능 모델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면서
[더지엠뉴스] 홍콩에서 열린 ‘밀켄연구소 글로벌 투자자 심포지엄’에서 중국 주식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이 두드러지게 드러났다고 24일 중국 매체가 보도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유력 경제 싱크탱크인 밀켄연구소(Milken Institute)가 주관했으며, 중국에서 두 번째로 열린 투자 회의였다. 포럼에 참석한 다수의 투자 전문가들은 “중국 자산에 대한 기대심리가 회복되고 있으며, 향후 중국 증시는 여전히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입을 모았다. 중국 알리바바 공동창업자 차이충신(蔡崇信)의 블루풀 캐피털 CEO 올리버 와이스버그는 “최근 사모펀드, 헤지펀드, 롱포지션 기반 펀드들이 다시 홍콩으로 몰려들고 있다”며 “이는 홍콩이 글로벌 투자 중심지로 복귀하는 신호”라고 강조했다. 웰링턴 인베스트먼트의 아시아 투자 책임자 자넷 퍼루말은 중국의 인공지능(AI) 대표주자인 딥시크(DeepSeek)의 부상 이후 “중국 주식은 올해 더 오를 ‘절대적 공간’이 있다”고 단언했다. 그녀는 “중국 기업은 글로벌 평균 대비 현저히 저평가되어 있으며, 특히 미국 기술기업에 비해 수익성과 주주환원 측면에서 오히려 우위”라고 덧붙였다. 올해 초부터 특히 홍콩 주식시장에는 반
[더지엠뉴스]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을 직접 찾아 고위 경제 관료들을 잇달아 만난 사실이 24일 알려졌다. 그는 지난 주말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발전포럼’(CDF)에 참석하며 허리펑(何立峰) 국무원 부총리를 만났고, 이어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주석 런훙빈(任鸿斌)과도 면담을 가졌다. 쿡 CEO는 허 부총리와의 만남에서 “중국은 고품질 발전과 대외 개방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고 있다”는 발언을 들은 뒤, “중국 시장과의 장기적 협력에 힘쓰겠다”고 화답했다. 특히 그는 중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내수 확대 정책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이는 단지 고용만이 아니라 애플의 중국 제조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했다. 중국을 단순 소비시장으로가 아니라 산업 파트너로 대우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중국 매체들은 팀 쿡이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국빈관에서 “중국의 소비 진작 정책은 건강하고 강한 시장을 만든다”고 밝히며,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피력했다고 전했다. 이런 행보는 단순한 외교 수사가 아니라, 시장 점유율 회복에 절박한 애플의 계산이 깔려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애플은 2023년 4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더지엠뉴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최신 AI 모델 ‘딥시크-V3’를 공개하며 글로벌 AI 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딥시크는 중국 내 연구진 150명과 데이터 자동화 팀 31명으로 구성된 연구진이 이끌고 있으며, 특히 1995년생 개발자 뤄푸리가 주목받고 있다. 쓰촨성 출신인 뤄푸리는 베이징사범대 전자학과에 입학했으나, 이후 컴퓨터학과로 전과하고 베이징대에서 컴퓨터언어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실력은 중국 AI 업계에서 인정받아 샤오미 창업자 레이쥔으로부터 연봉 1000만 위안(약 20억 원)의 스카우트 제안을 받았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뤄푸리가 샤오미의 제안을 거절하고 독자적인 길을 걸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딥시크는 해외 유학파보다는 중국 명문대 출신 국내파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팀을 구성해 경쟁력을 확보했다. 창업자인 량원펑을 비롯해 딥시크 모델의 핵심 알고리즘을 개발한 가오화쭤와 쩡완딩 역시 중국 대학에서 학위를 받았다. SCMP는 딥시크가 해외 박사 출신을 중용하는 기존 AI 스타트업과 달리, 국내 인재를 적극 활용하는 점이 차별화된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더지엠뉴스]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23일(현지시간) 홍콩과학기술대에서 공학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받은 후 대담을 갖고, 글로벌 기술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며 중국과의 AI 협력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황 CEO는 "수학과 과학의 글로벌 협력은 오랜 세월 사회와 과학 발전의 토대가 돼왔다"며, "중국은 AI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홍콩과학기술대가 개방적 과학 연구를 통해 전 세계 AI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도 평가했다. AI 발전에서 중국의 역할 황 CEO는 중국이 AI 발전과 기술 혁신에 기여한 바를 높이 평가하며, "중국은 AI 연구와 개발의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발언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첨단 기술 제품의 대중국 수출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엔비디아는 이미 미국의 기술 수출 제한 정책으로 인해 중국 시장에 최신 AI 칩을 판매하지 못하고, 제품 라인업을 조정한 바 있다. AI 시대의 도래와 글로벌 협력 황 CEO는 "AI 시대는 이제 시작됐으며, 이는 모든 산업과 과학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해외 대표 기업 1) 인텔(Intel) 인텔(Intel)은 글로벌 최고의 반도체 제조사 중 하나로, 소프트웨어, 반도체,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반도체 분야의 강점을 기반으로, 인텔은 하드웨어, 엣지 플랫폼, 성능 최적화, 기술 시연이 통합된 로봇 매트릭스를 구축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Realsense 뎁스 카메라, FPGA, 인텔의 대표적인 CPU, 비전 프로세서 등을 제공했으며, ‘산업 엣지 노드 레퍼런스 아키텍처’라는 하드웨어 레퍼런스 설계를 제시했다. 엣지 플랫폼 측면에서는 산업 엣지 컨프롤 플랫폼, 산업 엣지 인사이트 플랫폼, AMR 개발 플랫폼 및 로봇 ‘클라우드-엣지-엔드’ 통합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구축했다. 성능 최적화 측면에서 인텔은 딥 러닝 최적화 및 이종 배포 OpenVINO, 병렬 최적화, 고성능 컴퓨팅, 이종 프로그래밍 모델 oneAPI, 결정론적 실시간 최적화 ECI RT Patch 등 솔루션을 제공했고, 기술 시연 측면에서 인텔은 모바일 로봇, 비전 그랩 등의 응용검증을 진행했다. ROS2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인텔은 맵핑 및 경로 계획, 머신 비전, 스마트 컨트롤 등 오픈 솔루션을 제시했다. 2)
[더지엠뉴스] 상하이성퉁정보과학기술유한공사(上海声通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이하 성퉁커지)는 인터렉티브 인공지능 시장의 선두자로서, 자체 융합 통신 및 인공지능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성퉁커지의 연구개발팀은 중국과학원(中国科学院) 허지펑(何积丰) 원사를 수석 연구자로 선두에 두고, 린샹(林祥) 박사와 상하이 교통대학과 공동 설립한 AI 연구소로 구성됐다. 성퉁커지는 2024년 7월 10일 홍콩 증권 거래소에 공식 상장됐다. 경영 현황 성퉁커지는 설립 이래로 뚜렷한 성과와 회계 실적을 달성했다. 2021년~2023년 각각 4.6억 위안, 5.15억 위안, 8.13억 위안의 매출을 기록하며 강력한 성장세를 보여줬다. 매출 총이익률은 32.19%에서 40.0%로 꾸준히 상승했고, 조정 후 순이익(비 국제회계기준)은 0.62억 위안에서 1.18억 위안으로 증가했다. 주요 업무 분야 성퉁커지는 스마트 시티, 스마트 교통, 스마트 통신, 스마트 금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인터랙티브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타 영역으로도 솔루션을 적극 확장해 나간다. 1) 스마트 시티 성퉁커지의 인터랙티브 인공지능 솔루션은 스마트 캠퍼스, 스
[더지엠뉴스] 지난시인민정부판공청(济南市人民政府办公厅)은 ‘지난시 차세대 인공지능 고품질 발전 행동 계획(2024-2026년)(济南市新一代人工智能高质量发展行动计划)’을 발표했다. 계획은 지난시 인공지능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향후 3년간의 목표와 구체적인 조치를 명확하게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목표 2026년까지 지난시 인공지능 핵심 산업 규모 600억 위안 이상, 인공지능 기업 수 500개 인공지능 스마트 컴퓨팅 파워 규모(FP16)는 3500PFlops 이상 인공지능 범용 및 수직 분야 대형언어모델 제품 50개 전형적인 인공지능 응용 시나리오 300개 이상 육성, 인공지능 시범 프로젝트1,000개 이상 인공지능 산업 클러스터 10곳 이상, 인공지능 시범구 3곳 이상 구축 (1) 스마트 컴퓨팅 파워 공급력 향상 - 지난시 인공지능 컴퓨팅센터(济南市人工智能计算中心), 바이두 스마트클라우드(지난)스마트컴퓨팅센터(百度智能云(济南)智算中心), 산둥 미래클라우드밸리 스마트컴퓨팅센터(山东未来云谷智算中心) 등 주요 프로젝트 건설을 추진한다. - 자체 개발한 관련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설치와 응용을 지원한다. - 기업의 컴퓨팅 자원 렌탈을 지원한다.
*[산업 트랜드 6-1]에서 이어집니다. 중국은 인공지능(AI)에 진심이다. 미국보다 다소 출발점이 늦기는 하지만, 정부의 전방위적인 지원 덕분에 AI 산업 발전 속도는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최근 개최된 중국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3중전회)에서 채택된 ‘과학기술 발전’ 결정은 이러한 추세에 고성능 연료를 집어넣은 모양새가 됐다. 아이루이리서치(艾瑞咨询研究院)에 따르면 2023년 중국 AI 산업 규모는 2137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2028년에 두 배가 넘는 811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5년 복합 성장률은 30.6% 수준이다. ■인공지능 기술 산업 현황 5) 인공지능 제품의 점진적인 응용 실현 자동화 및 인공지능의 사용 트랜드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각 업계의 운영 방식을 새롭게 재편해 나가고 있다. IBM이 발표한 ‘2023년 글로벌 AI 사용지수(2023年全球AI采用指数)’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IT, 네트워크 프로세스, 비즈니스 프로세스 등 업무 영역에서 AI 및 자동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개발, 인력 운영, 세일즈 마케팅, 고객 서비스 등 부서 직원들이 AI 기술을 광범위하게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