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베이징 이좡에서 열린 로봇 소비제전이 짧은 기간 동안 폭발적인 성과를 거뒀다. 23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2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 ‘E-타운 로봇 소비제전’에서 1만9000여 대의 로봇과 관련 제품이 판매되며 매출은 330억 위안(약 6조 7천억 원)에 달했다. 이번 행사는 세계 최초의 로봇 소비 테마 페스티벌로, 정부의 대규모 소비 보조금 정책과 맞물려 수요를 크게 끌어올렸다. 베이징 이좡 관리위원회는 70억 위안(약 1조 4천억 원) 규모의 소비 보조금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개인은 최대 1500위안(약 28만 원), 기업은 최대 25만 위안(약 4700만 원)의 로봇 구매 지원을 받을 수 있었으며, 이 제도는 70억 위안의 판매를 직접적으로 촉진했다. 특히, 행사 기간 개장한 ‘로봇 몰(Robot Mall)’은 4000㎡ 규모의 세계 최초 로봇 4S 매장으로 주목받았다. 매장 관리자 왕이판은 16일간 주문액 100만 위안 이상 고급 휴머노이드 로봇 판매가 전체의 25%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JD닷컴과 주요 쇼핑몰도 동참해 판촉 캠페인을 전개했다. 로봇 쇼핑제전은 온라인에서도 화제를 모았다. 더우인과 콰이쇼우 등 플랫폼에서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정부가 내수 부양을 위한 전면 정비에 나섰다. 주요 도시의 차량 구매 제한 등 소비를 가로막는 규제를 철저히 손보겠다는 방침과 함께, 전기차 산업의 과열 경쟁도 제도적으로 다스리겠다고 밝혔다. 17일 중국 정부에 따르면, 리창(李强) 총리가 전날 주재한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국내 대순환 강화'를 핵심 전략으로 설정하고 이를 가로막는 장애 요인 전반을 정비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소비 진작과 산업 경쟁 질서라는 두 가지 축에서 강도 높은 대응 방안이 논의됐다. 회의는 “소비자들의 수요는 확대되고 있는데, 제도와 규제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자동차 구매 제한과 같은 불합리한 소비 제한 규정을 집중적으로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베이징, 상하이 등 일부 지역에서 시행 중인 차량 번호판 쿼터제의 완화 가능성도 언급됐다. 이와 함께 낡은 제품을 신제품으로 교체하는 ‘이구환신(以旧换新)’ 정책의 확장, 신형 소비·신흥 서비스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 확대, 교육·의료·문화·노인요양 등 서비스소비 중심 분야의 공급능력 제고 등이 주요 정책 과제로 부각됐다. 특히 중국인민은행은 올해부터 서비스소비와 노후산업을 위한 5000억 위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대한민국의 선택은 분명했다. 국민들은 갈등과 대립보다는 통합과 실용을 선택했고, 변화보다는 안정과 회복에 손을 들어주었다. 지난 2일 치러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과반을 훌쩍 넘는 득표로 승리하며 대한민국의 새 시대를 열게 됐다. 국내 정치 지형 변화 못지않게, 이번 선거 결과는 한중 관계에 있어서도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미 후보 시절부터 “실용적 외교와 경제 중심의 양국 협력”을 강조해왔다. 중국의 관영 매체들 역시 이를 주목하며 향후 한중 간 긴장 완화 및 협력 복원의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환구시보(环球时报)는 당선 직후 “한국의 차기 지도자는 한중 경제관계의 복원을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기조에 기대를 나타냈다. CCTV는 “한중 간의 경제 파트너십은 여전히 상호보완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탈정치화된 협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내 대표 포털 바이두에서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李在明当选总统)’이라는 키워드가 3일 오후 실시간 검색어 12위에 올라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중국과의 관계를 회복할 대통령”, “드디어 윤석열의 대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