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가 과학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과학기술 성장전용층’에 첫 상장된 3개 기업을 발표했다. 이는 나스닥형 과학기술혁신판(科创板, STAR Market)의 핵심 구간으로, 기술 자립과 산업고도화를 지원하는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28일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첨단기술기업 육성과 신품질생산력 창출을 위한 자본시장의 실질적 개혁을 의미한다. 리차오 부주석은 상장식에서 “STAR 마켓이 개혁의 시험장 역할을 하며 반도체·바이오의약 등 핵심산업의 혁신 가속을 견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18일 CSRC는 아직 수익을 내지 못한 우수 기술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성장전용층 설립을 예고한 바 있다. 이번 상장은 그 후속 조치로, 자본시장 내 기술 중심 기업들의 신뢰를 높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상하이종합지수는 28일 오전 장중 일시적으로 4,000선을 돌파하며 2015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CSRC는 전날 공개한 문건에서 신규주 발행가격 산정 및 신용거래 규정을 개선하고, 알고리즘 거래에 대한 감독을 강화해 중소투자자 보호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내부자 거래, 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정부가 서비스 소비를 내수 성장의 핵심 축으로 삼고 9월 안에 대규모 정책 패키지를 내놓을 예정이다. AI 기반 소비와 스포츠 소비 진흥, 인바운드 관광 활성화 등 신산업과 결합한 소비 모델이 정책의 중심에 놓였다. 8일 상무부에 따르면 청추핑(程秋平, Cheng Qiuping) 부부장은 국무원 기자회견에서 통신·의료·교육 등 핵심 서비스 분야 개방 확대, 외국인 투자 장려산업 목록 확대, AI+ 소비 및 IP 소비 육성, 지방정부의 특색 있는 소비 촉진 활동 지원 등을 포함한 방안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리차오 대변인도 문화 관광, 스포츠 행사, 캠핑 등 다층적 수요를 겨냥한 정책 조합을 강조하며,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소비 브랜드 구축과 가족친화형 소비 환경 조성 방침을 제시했다. 중국 체육총국은 스포츠 산업을 서비스 소비의 중추로 규정하며 "스포츠 소비 잠재력 방출 의견"을 공표했다. 문건은 2030년까지 산업 규모를 7조 위안(약 1,223조 원)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와 함께, 경기 시스템 표준화, 지적재산권 기반 스포츠 브랜드 경기 육성, 신흥 스포츠 이벤트 발전 등 20가지 조치를 담았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이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서도 자국 경제의 지속 가능성과 안정성에 대한 확신을 표명하며, 정부 차원의 확장적 정책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 26일 중국 경제 기획 당국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경기 부양 정책의 효과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외부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신감과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NDRC 대변인 리차오(李超, Li Chao)는 “정부가 계획 중인 새로운 친성장 조치들을 통해 이러한 성장세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발언은 OECD가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JP모건이 미국 채권시장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등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이에 대해 리 대변인은 “중국은 적극적 정책의 지원 아래 경제 운용이 전반적으로 원활하며, 고용 안정과 성장 기반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리 대변인은 초장기 특별 국고 채권을 통해 총 2,000억 위안(약 38조 4,000억 원)이 장비 업그레이드에 투입된다고 설명했다. 이 중 1,730억 위안(약 33조 2,000억 원)은 16개 부문, 약 7,500개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