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80년 전, 중국은 14년간의 항전 끝에 침략자에 맞서 마침내 승리를 쟁취했다. 이는 인류 반파시즘 전쟁의 빛나는 한 장면이며, 오늘날에도 세계 평화 질서의 근간으로 남아 있다. 25일 글로벌타임스는 사설을 통해, 오는 80주년 기념행사가 단순한 과거 회고가 아닌, 정의와 평화를 향한 중국의 확고한 가치 선언임을 분명히 했다. 사설은 먼저, 항전 승리는 중국만의 승리가 아닌 인류 공동의 승리이며, 전후 국제 질서를 규정한 카이로 선언(開羅宣言, Cairo Declaration)과 포츠담 선언(波茨坦宣言, Potsdam Proclamation)에 중국이 깊이 관여했음을 상기시켰다. 그 정신은 오늘날에도 세계 공정과 정의의 기둥으로 기능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세계 곳곳에서는 전쟁의 본질을 왜곡하고 역사를 흐리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역사를 모독하는 행위이며 인류 양심에 대한 도전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사설은 이어,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총서기의 발언을 인용해 "항전 정신은 중국 인민이 어떠한 난관에도 굴하지 않고 국가적 부흥을 이뤄내는 정신적 원천"임을 강조했다. 특히, 오늘날 중국이 마주한 복잡한 국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대한민국의 선택은 분명했다. 국민들은 갈등과 대립보다는 통합과 실용을 선택했고, 변화보다는 안정과 회복에 손을 들어주었다. 지난 2일 치러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과반을 훌쩍 넘는 득표로 승리하며 대한민국의 새 시대를 열게 됐다. 국내 정치 지형 변화 못지않게, 이번 선거 결과는 한중 관계에 있어서도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미 후보 시절부터 “실용적 외교와 경제 중심의 양국 협력”을 강조해왔다. 중국의 관영 매체들 역시 이를 주목하며 향후 한중 간 긴장 완화 및 협력 복원의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환구시보(环球时报)는 당선 직후 “한국의 차기 지도자는 한중 경제관계의 복원을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기조에 기대를 나타냈다. CCTV는 “한중 간의 경제 파트너십은 여전히 상호보완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탈정치화된 협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내 대표 포털 바이두에서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李在明当选总统)’이라는 키워드가 3일 오후 실시간 검색어 12위에 올라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중국과의 관계를 회복할 대통령”, “드디어 윤석열의 대결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문화산업이 세계무대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전통문화의 현대적 변용과 콘텐츠 산업의 급속한 확장이 맞물리며, 중국식 현대화에 있어 문화강국 건설이 필수 과제로 부상했다. 3일 중국 인민일보에 따르면 전날 칼럼에서 “민족의 강성은 문화적 흥성에 기반한다”며, 문화강국 전략이 단순한 산업 육성을 넘어 중국의 문명적 자립을 실현하는 핵심이라 강조했다. 최근 열린 제21회 문화산업박람회에서는 12만여 종의 문화 제품과 4000건이 넘는 문화 투자 프로젝트가 거래되며, 산업과 정책, 예술과 기술이 유기적으로 융합되는 양상을 보였다. '2025 문화강국 건설 고위급 포럼' 역시 같은 맥락에서, 문화 제도 개혁과 창조 역량 고도화를 중심 의제로 삼았다. 인민일보는 이러한 흐름을 “새 시대 문화 창조의 새로운 물결”로 묘사했다.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은 지난 2023년 6월 2일 열린 문화유산 전승 발전 좌담회에서 “중화문명의 다섯 가지 고유 특성을 파악하고, 마르크스주의 기본 원리를 중국 현실과 중화 전통문화에 결합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칼럼은 “두 가지 결합”이 성공의 핵심이라며, 최근 중국에서 일어난 일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