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인민은행이 공업정보화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6개 부처와 함께 6일 ‘신형 산업화 촉진을 위한 금융 지원 강화 지침’을 공동 발표했다.
지침은 스마트·친환경 제조를 포함한 첨단 산업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맞춤형 금융 지원을 제도화하고, 비효율적 경쟁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산업 구조를 조정한다고 명시했다.
2027년까지 신용, 채권, 주식, 보험을 아우르는 다층적 금융 시스템을 구축해 기업의 다양한 자금 수요를 안정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다.
6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둥사오펑(董少鹏) 중국인민대 중양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이번 지침은 금융을 산업정책 핵심 도구로 전환한 신호”라며 “산업고도화와 고품질 성장을 동시에 꾀하는 중국 정부의 전략적 조율이 담겼다”고 설명했다.
지침은 반도체, 공작기계, 기초 소프트웨어 등 핵심 기술 분야에서 돌파구를 마련한 기업에 장기 대출과 상장·채권발행·M&A 절차 간소화 등 우대 조치를 부여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첫 국산장비’와 ‘최초 소재’ 등에 대해 금융 우선 지원이 이뤄지며, 기술 상용화를 위한 장기자본 유치를 독려하기 위해 매월 투자 설명회 개최와 상장 육성 플랫폼 운영을 강조했다.
초기 단계의 하드테크 기업에 민간자본 유입을 유도하고, 창업투자회사가 서비스 기반 지분 투자 방식을 활용해 스타트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우수 인재 중심의 창업기업에는 대출과 재무 자문을 포함한 일괄 지원 체계를 제공하기로 했다.
전통 제조업에 대해서도 고급화, 지능화, 친환경 전환을 위한 금융지원을 강화하도록 했으며, 금융리스와 부채 유동화 등 장비 교체를 위한 수단을 확대한다고 명시했다.
과학기술금융의 질적 효율성 제고를 위해 중소기업 전문성 평가 확대, 기술채권 발행 확대, 중개기관의 맞춤형 서비스 강화 등이 추진된다.
또한 정보기술, 산업 소프트웨어, 스마트 자동차, 신에너지, 신소재, 고급장비, 상업우주, 바이오의약, 사이버보안 등 전략 산업 분야 기업에 다층 금융시장 접근을 보장하는 ‘혁신 포인트 제도’ 도입을 전국적으로 확산한다고 밝혔다.
외자기업 및 글로벌 진출 중소기업에 대한 교차 금융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는 내용도 포함됐다. 외환 계정 거래 간소화, 위안화 결제 확대, 고품질 제조기업의 무역 결제 편의성 제고 등을 명시했다.
디지털금융 부문에서는 5G 및 산업인터넷 프로젝트에 중장기 대출·리스·증권화를 통해 자금 공급을 확대하며, 은행의 디지털 플랫폼 구축을 독려하고 빅데이터·AI 기술을 활용한 중소기업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도록 했다.
부실채권 처리를 포함한 위험 통제 능력도 동시에 강화된다. 은행은 산업정책에 부합하는 자금 운용을 철저히 관리하고, 부정사용 방지를 위한 감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가 담겼다.
둥사오펑은 “과거에는 산업이 정부 보조금과 금융을 기다렸다면, 이제는 금융이 산업 전략과 함께 내장된 구조”라며 “기술·자본·인재를 하나의 고리로 엮는 닫힌 생태계를 만들려는 시도”라고 분석했다.
한편, 신화통신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제조업 중장기 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해 전체 대출 증가율을 웃돌았으며, 상반기 A주 시장에서 산업·정보기술 기업의 자금 조달 규모는 1,488억 위안(약 2조8,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