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이 동남아 국경 갈등과 중동 분쟁을 잇따라 중재하며 '글로벌 조정자'의 이미지를 부각하고 있다. 동시에 미국의 대중 압박에 대해서는 정면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3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캄보디아와 태국 간 국경 충돌에 대한 중국의 외교적 대응, 중동 인도주의 문제, 중미 경제협의, 대러 원유 거래 관련 압박 등에 대해 일괄 입장을 밝혔다. 먼저 궈 대변인은 전날 상하이에서 중국·캄보디아·태국 간 비공식 3자 회동이 열렸다고 전하며 “이번 만남은 캄·태 지도부가 정전 합의를 이행하도록 지원하고 국경 평화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중국의 주도적 외교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 회담에 순웨이둥(孙卫东, Sun Weidong) 부부장을 대표로 파견했다. 중국은 이들 양국과 수차례 메시지를 교환했고, 외교부 아시아 특사를 두 차례 파견해 물밑 조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궈 대변인은 “중국은 아세안의 역할을 지지하며 말레이시아와도 밀접히 협의했다”고 밝혔다. 가자지구 사태와 관련해선 “21개월간 이어진 무력 충돌로 아동 25명을 포함한 74명이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이후 전면 중단했던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1년 10개월 만에 조건부 재개했다. 핵심 지역인 후쿠시마를 포함한 10개 도현은 여전히 예외로 남겨둔 채, 과학적 검증과 외교 절충을 결합한 형태의 국경 완화다. 30일 중국 해관총서는 자체 샘플 검사와 국제 공동 감시 결과에 방사성 이상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수산물 수입을 일부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단, 일본 정부가 수출 품목에 대해 명확한 품질 보장과 방사능 안전을 증명할 것을 조건으로 명시했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개시된 2023년 8월 24일 이후 일본 전역에 적용된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를 완화한 첫 사례다. 그간 중국은 후쿠시마뿐 아니라 도쿄도, 군마현, 도치기현, 이바라키현, 미야기현, 니가타현, 나가노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등 총 10개 지역을 포함한 일본 전역에서의 수산물 수입을 금지해왔다. 이번에 수입이 허용되는 품목은 해당 지역 외의 수산물 중에서 중국 내 재등록을 완료한 생산기업이 생산한 제품에 한하며, 수출 시 일본 정부 발급의 위생 증명서, 방사성 물질 검사 합격증, 생산지 증명서 제출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중국 동북 지역에서 발생한 일본인 2명 피살 사건과 관련해, 중국 정부가 공식 입장을 내놓고 법적 절차에 따라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감한 외교 사안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제기되는 가운데, 중국은 사안의 형사적 성격을 강조하며 정치적 해석을 경계했다. 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은 법치 국가이며, 모든 사건은 법률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외국인들의 안전과 합법적 권익을 일관되게 보호해 왔고, 이번 사건도 법에 따라 수사·처리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사건은 지난 1일 랴오닝(辽宁, Liaoning)성 다롄(大连, Dalian)시에서 발생했다. 현지 공안은 중국 국적의 리(李, Li) 모 씨를 용의자로 체포하고, 그가 일본 국적의 남녀 2명을 살해한 혐의로 형사 구류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관영 언론은 이번 사건이 사적 갈등에 기인한 범행으로 보이며, 정치적 동기나 조직적 배경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일본 외무성은 사건 발생 직후 주중 일본대사관을 통해 중국 측에 사실 확인과 신속한 수사를 요청했으며, 언론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