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티베트 자치구 동남부를 흐르는 야룽창포강 하류 지역에 대형 수력발전소 건설을 본격 시작했다. 현장에 직접 참석한 리창(李强, Li Qiang) 국무원 총리는 착공식을 통해 해당 프로젝트의 공식 개시를 선포했다. 20일 중국 정부와 관영매체에 따르면, 리 총리는 시짱(西藏, Xizang) 자치구 닝치(林芝, Nyingchi)시에서 열린 착공식에 참석해 야룽창포강 수력발전 프로젝트의 건설을 전격 발표했다. 리 총리는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자격으로도 참여했으며, 이는 이번 사업이 국가 전략 차원의 중대 인프라임을 방증한다. 야룽창포강은 인도에서는 브라마푸트라(Brahmaputra)강으로 불리며, 중국과 남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수자원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해당 강 하류에 건설되는 것으로, 지역 에너지 안보와 지속가능한 개발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수력발전소 착공은 중국의 '서부대개발' 전략과 맞물려 있으며, 청정에너지 확보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가적 기조에도 부합한다. 리 총리는 “야룽창포강 프로젝트는 에너지 구조의 녹색 전환과 서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중국은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지난해 브릭스(BRICS) 10개국 태양광 발전량이 전 세계의 51%를 차지하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서 핵심 세력으로 자리매김했다는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의 보고서가 나왔다. 4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인도, 브라질은 태양광 중심의 전력 전환을 이끄는 주요 국가로 부상했으며, 중국은 지난해 834테라와트시(TWh)의 발전량으로 세계 최대 태양광 전력 생산국 자리를 유지했다. 이는 미국의 3배 규모이며, 인도는 2019년 대비 4배 증가한 133TWh, 브라질은 75TWh로 독일을 제치고 세계 5위권에 진입했다. 태양광 발전 증가는 전체 전력 생산에서의 비중 확대로 이어졌다. 보고서는 2024년 브릭스 국가 전체 전력 수요 증가분의 36%가 태양광으로 충당됐다고 밝혔다. 이는 10년 전 0.25%에 불과했던 것에서 대폭 상승한 수치다. 엠버는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중국의 전력 수요 증가분이 모두 청정에너지로 충당됐다고 분석했다. 인도와 브라질도 같은 기간 전년 대비 각각 32%, 35%의 태양광 발전 증가율을 기록하며 강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린보창(林伯强, Lin Boqiang) 샤먼대 에너지경제연구센터 소장은 중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유럽연합(EU) 외교 고위 당국자가 중국을 ‘가장 중요한 협력 파트너’로 평가하며, 미국식 반중 압박 노선과는 거리를 둔 발언을 내놓았다. 미국의 강경 입장과 달리 유럽은 중국과의 균형적 협력 관계 유지를 중시하는 모습이다. 24일 홍콩 언론 보도에 따르면,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전날 브뤼셀에서 열린 EU 외교장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EU 최대 무역 파트너 중 하나이며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과의 관계에서는 일정한 현실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지만, 이는 무역과 외교 현장에서 미국의 대중 압박에 일방적으로 동조하지 않겠다는 유럽의 입장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번 회의는 다음달 예정된 중·EU 외교장관 및 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자리였다. 최근 미국이 유럽 동맹국과 사전 협의 없이 이란을 공습한 데 따른 불만과 함께, 유럽 내부에서는 독자적 외교 공간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중국 외교부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최근 “중국과 유럽은 세계 다극화와 글로벌화의 핵심 파트너”라며, 협력을 통한 관계 발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