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이 브라질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Luiz Inácio Lula da Silva)의 초청으로 8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브릭스(BRICS) 정상 화상회의에 참석해 주요 연설을 한다. 8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미국이 지난 7월 브라질과 인도에 50%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등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한 가운데 열리며, 브릭스 회원국들이 공동 대응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중국은 30% 관세가 적용된 상태로 협상을 이어가고 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도 30% 세율을 받고 있다. 반면 러시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아랍에미리트는 글로벌 최저 수준인 10% 관세가 매겨졌다. 브라질 언론 오에스타두 지 상파울루(O Estado de S. Paulo)는 이번 회의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각국이 미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 단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대신 각국 정상들은 세계무역기구(WTO) 개혁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확대,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 오는 11월 열리는 COP-30 기후 정상회의 준비, 아마존 열대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대만 TSMC(台积电)가 아랍에미리트(UAE) 공장 설립설에 대해 “검토 중이나 결정된 바 없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이는 최근 일부 외신을 통해 흘러나온 ‘중동 공장 진출설’이 확대 재생산되자, 회장이 직접 진화에 나선 것이다. 3일 대만 경제일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웨이저자(魏哲家) TSMC 회장은 “아랍에미리트 현지 정부와 기술 협력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현시점에서 생산 시설 건설을 포함한 구체 계획은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그는 “당사 정책은 모든 신규 투자에 대해 신중을 기한다”며 “중동 역시 그중 하나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발언은 지난달 블룸버그와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서 보도된 ‘TSMC의 아부다비 진출 가능성’ 기사 이후 이어진 것으로, 당시 일부 일본 언론은 “TSMC가 UAE에 제2 아시아 거점 역할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TSMC는 이미 미국 애리조나, 일본 구마모토, 독일 드레스덴 등지에 생산 기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과 EU의 반도체 공급망 내재화 전략과도 맞물린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동 진출은 단순한 수출 협력을 넘어, 지정학
[더지엠뉴스]중국의 중동 문제 특사 짜이쥔(翟隽, Zhai Jun)이 아랍에미리트를 방문해 대통령 외교 고문과 외교부 국무장관을 잇달아 만나며 중동 정세와 양국 협력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 2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전날 짜이쥔 특사는 아부다비에서 안와르 가르가시 외교 고문, 칼리파 샤힌 무바라크 외교 국무장관을 각각 접견했다. 그는 시진핑(习近平, Xí Jìnpíng) 국가주석과 무함마드 대통령 간 전략적 소통 아래 양국 관계가 큰 폭의 진전을 이뤘으며, 핵심 이익 문제에 있어서도 일관된 상호 지지 기반이 구축됐다고 밝혔다. 양국 간 실무 협력은 물론 국제 및 지역 사안에 대한 공동 대응도 밀접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 측은 양국 정상의 합의를 성실히 이행해 협력 수준을 더 높일 뜻을 전했다. 아랍에미리트 측은 중국과의 관계를 외교 전략의 중심축으로 삼고 있다며, 고위급 교류 확대와 함께 투자·무역 등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중동 문제에서 중국의 균형 잡힌 입장과 건설적인 기여를 높이 평가하고, 가자지구 분쟁과 시리아·수단 정세 등 다양한 지역 현안에서 중국과의 전략적 조율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번 회동에서는 가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