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미중 간 관세 전쟁 휴전에 따라 대미 추가관세율을 대폭 낮추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14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홈페이지를 통해, 이날 낮 12시 1분(중국시간 기준)부터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던 125%의 추가 관세율 중 91%포인트를 즉시 정지한다고 밝혔다. 또한 남은 34%포인트 가운데 24%포인트는 향후 90일간 시행을 유예하며, 최종적으로 적용 관세율은 10%로 낮아지게 된다. 이번 조치는 지난 12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 결과에 따른 것으로, 양국은 공동성명을 통해 상호 간 수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대부분 철폐하고 일부는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중국 측의 발표에 따르면 이번 관세 인하는 중미 양국 생산자 및 소비자의 기대에 부합하며, 양국 경제 교류는 물론 세계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반면 미국은 합성마약 펜타닐 관련 품목에 대해 올해 2월과 3월 각각 10%씩 관세를 부과한 조치를 유지하고 있어, 현재 기준 대중국 추가관세율은 30%가 된다. 중국은 비관세 보복 조치의 철회 방침도 밝혔다. 중국중앙TV(CCTV)는 "지난 4월 2일 이후 미국의 관세 인상에 대응해
[더지엠뉴스]미국과 중국이 제네바에서 이틀간 마주 앉아 무역 분야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뤘으며, 12일 공동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고위급 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이후 양국이 처음으로 대면한 회담이었다. 11일(현지 시간) 중국 정부에 따르면, 협상은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유엔 대표부 공식 거주지 ‘빌라 살라딘’에서 열렸고, 전날 10시간 이상 이어진 데 이어 이날도 장시간 진행됐다. 중국 측에서는 허리펑(何立峰, He Lifeng) 국무원 부총리와 리청강(李成钢, Li Chenggang)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 겸 부부장이 협상에 나섰다. 미국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했다. 허리펑 부총리는 협상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회담은 매우 솔직하고 건설적이었다”며 “양국은 무역 및 경제 협의체계를 구축하기로 했으며, 이후에도 대화를 지속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상당한 실질적 진전을 이뤘고, 이는 중미 양국 관계의 새로운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중국은 항상 협력과 상호 존중을 기반으로 한 윈윈(win-win) 접근을 견지해왔다”고 덧붙였다. 양국의 공동성명에는 일부 ‘폭탄관세’
[더지엠뉴스]미국과 중국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고위급 무역 협상을 재개하며 양국 간 장기화된 관세 갈등을 조율하기 위한 첫 대면에 나섰다. 11일 중국 외교부와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협상은 전날 오전 10시부터 시작돼 약 10시간에 걸쳐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11일 회의가 속개될 예정이다. 중국 대표단은 허리펑(何立峰, He Lifeng) 국무원 부총리가 이끌었고, 미국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양국 모두 모두발언 생중계를 생략하며 극도의 경계 속에 회의를 진행했다. 협상의 중심에는 ‘145% 대 125%’로 격화된 상호 고율관세 문제가 자리했다. 중국은 미국이 먼저 시작한 이른바 ‘관세전쟁’의 책임을 지고 선제적 철회를 결단해야 한다는 기존 주장을 다시 내세운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미국은 중국산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 철회와 미국 기업에 대한 시장 개방 확대 없이는 관세 인하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한 이후 미중 양국 장관급 인사가 처음 마주한 자리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회담에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함께했고, 중국 대표단에는 공안 분야 고
[더지엠뉴스]중국이 유럽연합(EU)과의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협력 관계 강화를 예고하면서, 미국의 관세압박에는 원칙적 대응을 천명하며 강한 경고 메시지를 던졌다. 7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유럽은 지난 50년간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공동 번영을 실현해왔다”며 “지금 하루 무역량은 당시 1년치 규모와 맞먹는다”고 말했다. 린 대변인은 “1975년 저우언라이(周恩来, Zhou Enlai) 총리가 유럽경제공동체 고위 인사를 만나 수교를 공식화한 이후, 양측 연간 무역은 24억 달러에서 7천858억 달러로 300배 이상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과 유럽은 제도와 문화가 다르지만 상호 이해와 존중으로 협력을 확대해왔고, 기후변화 대응 같은 글로벌 과제에서도 함께 성과를 쌓아왔다”고 덧붙였다. 올해 유럽이사회 안토니우 코스타 의장과 EU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의 방중이 예정돼 있으며, 전략·경제·녹색·디지털 등 다층적 고위급 대화가 연속으로 열릴 예정이다. 양측은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베이징 등에서 고위급 리셉션과 문화·청년·체육·학술 분야 행사를 순차적으로 개최한다. 린젠은 “중국
[더지엠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협상 국면에서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과 직접 통화했다고 밝혔다. 25일 미국 시사지 타임이 공개한 인터뷰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이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왔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중국과 적극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언급했으나, 통화가 이루어진 구체적인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또한 시 주석이 먼저 연락해온 것에 대해 "약점을 드러낸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타임과의 인터뷰는 22일에 진행됐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통화는 그 이전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도 중국과 매일 협상 중이라고 주장했지만, 중국은 이를 '가짜뉴스'라고 반박한 바 있다. 24일에는 기자들의 질문에 "회의 참석자들이 누구인지는 중요하지 않다"며 "오늘 오전 중국과 만남이 있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협상과 관련해 "3∼4주 이내에 타결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국이 수용할 수 있는 숫자가 있지만, 미국이 1조 달러를 계속 빼앗기도록 둘 수는 없다"고 언급하며 무역적자 축소 의지를 피력했다. 관세
[더지엠뉴스]중국 외교부가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과 매일 협상 중’이라는 발언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이날 궈자쿤(郭子昆, Guo Zikun)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해당 보도와 관련된 질문에 대해 “가짜 뉴스”라고 선을 그었다. 24일 기준 궈 대변인은 “현재 중미 간 관세 문제와 관련한 협의나 협상은 전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으며, “합의에 도달했다는 말은 더욱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관세전쟁은 미국이 시작한 것”이라며 “중국의 입장은 줄곧 명확하고 일관되다”고 말했다. 이어 “맞서 싸우려면 싸울 준비가 돼 있고, 대화하려면 그 문은 항상 열려 있다”고 말하면서도 “협상은 반드시 상호 존중과 평등, 상생의 원칙 아래 이뤄져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상무부의 허야둥(何亚东, He Yadong) 대변인 역시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미국을 정면 비판했다. 허 대변인은 “미국이 진정으로 문제를 풀고자 한다면, 일방적으로 부과한 모든 대중 관세를 전면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미국의 무리한 관세는 시장 원칙을 무시한 것”이라며 “이는 자국 경제에도 도움이 되지 않으며 국제 무역
[더지엠뉴스]중국 상무부는 27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중국과의 관세 문제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 분쟁 해결 절차에 따라 협상에 응했다는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기자가 “미국이 중국 및 캐나다와 각각 WTO 내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는 보도가 있다. 협상은 시작됐나?”라고 질문하자, 상무부 대변인 허야둥(何亚东, He Yadong)은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일방적으로 부과한 관세가 전형적인 일방주의이며 보호무역주의라고 비판했다. 허 대변인은 미국의 조치는 WTO 규정에 심각하게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이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맞서 WTO 분쟁 해결 기제를 통해 이미 제소한 상태이며, 이에 대해 미국이 14일 협상에 응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은 WTO 절차에 따라 향후 절차를 계속해서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부터 격화된 미중 무역 갈등의 흐름 속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양국 간 갈등 해소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중국 측은 기존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정식 절차에 따라 국제 규범을 토대로 대응을 이어가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중국과 캐나다가 동시에 미국과의 관세 문
[더지엠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시진핑(习近平) 국가주석이 조만간 미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케네디센터 이사회에서 연설하며 시 주석이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미국을 방문한다고 언급했다. 미국과 중국은 최근 무역 관세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과 이달 초 중국산 제품에 추가 20%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에 중국도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의 보복 관세를 적용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양국 정상이 6월에 회담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두 정상은 올해 1월 17일에 한 차례 전화 통화를 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에도 시 주석과 여러 차례 통화했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1월 17일 통화 사실만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도 18일 오전 통화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 병사들이 러시아군에 포위되어 있다"며 "그들을 구출하기 위해 푸틴 대통령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병사들이 쿠르스크에서 포위됐다는 사실을 부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가 30일간의 휴전에 동의할 것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