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라이다 기업들이 자동차 중심에서 벗어나 로봇 시장을 새로운 성장 무대로 삼고 있다. 잔디깎이와 물류 로봇을 비롯한 응용 분야가 급부상하며 출하량은 수십만 대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22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로보센스(RoboSense)의 2분기 보고서에서 ADAS용 라이다 판매량은 12만 3,800대로 여전히 주력 부문이었으나 증가율은 4.6%에 머물렀다. 반면 로봇과 기타 응용 제품 판매량은 3만 4,4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631.9% 늘었고, 매출은 1억 4,700만 위안(약 2,787억 원)에 달해 ADAS 부문의 절반을 넘어섰다. 헤사이테크놀로지(Hesai Technology)도 같은 분기 ADAS용 라이다 출하량이 30만 3,600대로 전년 대비 275.8% 증가했으며, 로봇용 제품은 4만 8,500대로 743.6% 성장했다. 일부 완성차 기업이 라이다 대신 카메라 기반 솔루션을 채택하면서, 제조업체들은 로보택시 외에도 정원·물류 로봇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로보센스는 쿠마테크놀로지와 120만 대 규모의 잔디깎이 로봇 계약을 체결했으며, 메이투안(Meituan), 네올리틱(Neolithic), 화이트라이노(Whi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알리바바가 타오바오를 통해 음식 배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며 업계 지형이 흔들리고 있다. 하루 주문량이 연속으로 9천만 건을 넘어서면서 플랫폼 간 대규모 경쟁이 촉발됐다. 29일 중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타오바오 깜짝 세일과 자회사 엘러머(Ele.me)는 28일까지 2주 연속 일일 주문량이 9천만 건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의 8천만 건을 넘겼다는 발표 이후 불과 2주 만의 성과다. 알리바바는 음식 배달 시장의 '진입자'가 아닌 '전면 경쟁자'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타오바오 깜짝 세일은 5월 출시된 이후 매주 주문량을 갱신하고 있으며, 공급업체 확대와 보조금 공세로 빠르게 세력을 넓히고 있다. 알리바바는 500억 위안(약 9조 6천억 원) 규모의 보조금을 집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140만 개 가맹점이 입점했다. 특히 중소 외식업체 80만 곳이 평균 매출 1만 위안 이상을 기록하며 성과를 체감하고 있다. 한편 7월 기준 일일 활성 이용자 수(DAU)는 2억 명에 달하고, 플랫폼 내 라이더 수도 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리바바는 9월에 보조금 정점을 찍을 계획이며, 7~8월은 유통·배송 인프라를 강화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