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영국에서 신생아 7명을 숨지게 한 전직 간호사 루시 렛비(35)가 교도소에서 15분마다 상태 점검을 받으며 보호되고 있다. 19일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서리주의 교도소에 수감된 렛비는 동료 수감자들의 공격 위험 때문에 교도관들이 24시간 교대로 감시한다. 범죄가 다큐멘터리로 공개된 이후 조롱과 위협이 더 거세졌다는 설명이다. 렛비는 2015년 6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체스터 백작 부인 병원 신생아실에서 근무하며 남아 5명과 여아 2명을 살해했다. 그는 신생아들에게 공기를 주입하거나 우유를 강제로 먹였고, 두 명은 인슐린 중독으로 숨졌다. 피해자 중에는 미숙아와 쌍둥이도 포함됐다. 2018년 체포 당시 그의 집에서는 범행을 인정하는 자필 메모가 나왔다. “아기들을 일부러 죽였다. 나는 끔찍하고 악한 사람이다”라는 문구가 담겨 있었다. 사건 당시 한 어머니가 아기를 공격하는 장면을 목격했을 때도 그는 “나는 간호사예요”라며 태연히 대응했다. 영국 법원은 2023년 렛비에게 신생아 7명 살해와 8명 살해 미수 혐의로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했다.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귀걸이를 착용한 채 잠드는 습관이 얼굴 나이를 앞당길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귓불과 귓구멍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서 늘어짐과 손상이 빨라진다는 것이다. 18일 뉴욕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피부과 전문의 사만다 엘리스 박사는 “귀걸이를 낀 채 잠들면 귓불 처짐 현상이 가속된다”며 “가장 간단한 예방법은 자기 전 귀걸이를 빼는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 성형외과 전문의 스태포드 브루만드 박사는 “귀는 나이가 들어도 계속 성장하기 때문에 늘어진 귓불은 더욱 나이 들어 보이는 인상을 준다”고 지적했다. 성형외과 의사 아닐 샤 박사도 데일리메일 인터뷰에서 “옆으로 누워 잘 때 귀걸이가 지속적으로 압박을 주면 귓구멍과 주변 조직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며 “귀 피부는 민감해 흉터나 혹이 남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의들은 귀걸이가 미적 효과를 주지만 장기간 착용은 피부 노화와 조직 손상, 감염 등 부정적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귀걸이에는 땀, 피지, 헤어 제품 잔여물이 쌓여 세균이 번식하기 쉬우므로 정기적 세척과 소독이 필요하다는 조언도 나왔다. 샤 박사는 “잠들기 전 귓불을 순한 비누와 물로 씻은 뒤 알코올이나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검은색 플라스틱을 소재로 한 일부 커피머신이 암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끓는 물과 장시간 접촉 시 발암물질이 음료에 스며들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2일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검은색 플라스틱에 함유된 ‘카본 블랙’ 염료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라는 발암성 화합물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2020년 카본 블랙을 2B군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한 바 있다. 이는 동물 실험에서 발암성이 입증됐으나, 인체 연구에서는 확정적 증거가 부족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 소재는 커피머신뿐 아니라 주방용 조리도구에도 널리 사용된다. 여기에 더해 전기 화재 방지를 위해 첨가되는 브롬화 난연제(BFRs)와 유기인산염 난연제(OPFRs) 역시 발암 위험을 높이고, 신경독성과 호르몬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4년 ‘케모스피어’ 발표에 따르면, 해당 난연제를 고농도로 함유한 제품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암 발병 확률이 크게 증가했다. 문제는 난연제가 포함된 커피머신이 파손되거나 끓는 물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면 발암물질이 용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지난해 4월 발표된 장기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다리에 붙은 정체불명의 덩어리. 사람들은 외면했고, 병원들은 고개를 저었다. 하지만 그는 버텼다. 그리고 끝내, 몸을 되찾았다. 3일 영국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출신의 모하메드 살만(27)은 지난 6년간 자신의 허벅지에서 자란 거대한 종양과 함께 살아왔다. 연골육종이라는 진단을 받은 건 2019년. 특별한 통증도 없었고, 덩어리도 서서히 자라다 보니 그냥 참고 살았다. 그러나 지난 반년 사이, 상황은 급변했다. 덩어리는 갑자기 폭주하듯 불어나더니 무려 35㎏까지 몸집을 키웠다. 8살짜리 아이 하나가 다리에 달린 셈이다. 살만은 도저히 걸을 수 없게 되자 병원을 찾았다. 델리, 우타르프라데시 일대 의사들은 난색을 보였다. "위험하다", "못 고친다"는 말뿐이었다. 그때 등장한 이가 AIIMS 리시케시 병원의 정형외과 전문의 모히트 딩그라 박사였다. 지난달 9일, 6시간. 의료진은 고도의 혈관조영술과 MRI를 총동원했다. 덩어리 하나 잘못 건드리면 출혈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딩그라 팀은 끝까지 갔다. 결과는 성공. 종양은 단 한 조각의 합병증도 없이 제거됐다. 딩그라 박사는 “이 수술은 우리가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