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중국 전역에서 노동절 연휴를 앞두고 관광과 외식을 중심으로 한 소비 진작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2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최근 호텔·항공권 예약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다수 지역 정부는 식음료와 문화관광 분야에 소비 쿠폰을 대량으로 배포하고 있다. 중국관광연구원 우펑린(吴丰林, Wu Fenglin) 소장은 인터뷰에서 “문관광 및 외식 소비 쿠폰 발행은 단순한 소비 촉진을 넘어 수요와 공급을 연결하는 수단”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지역 특색 음식과 문화 요소가 결합된 고급 관광 시장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최근 온라인 숙박 검색량과 항공권 예약량이 전주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며 연휴 특수를 예고했다. 특히 국내여행 예약자 수는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100% 이상 증가했으며, 항공권 예매 가격은 평균 11% 하락한 반면 장거리 노선 예약은 전체의 70%를 넘기며 3%포인트 늘어났다. 여행 플랫폼 '퉁청뤼싱(同程旅行)'의 데이터에 따르면, ‘4일 연차로 11일 휴가’가 가능한 달력 구조에 힘입어 장거리 여행이 급증했다. 국내외 여행 수요 모두 늘어나는 가운데, 민박 예약은 전년 대비 138% 폭등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가 미국산 제품에 대한 125%의 고율 관세를 일부 면제하는 '화이트리스트'를 비공개로 운영하며, 해당 기업들에게 개별적으로 통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일, 로이터 통신과 연합조보 등 복수의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마찰이 지속되는 가운데, 첨단 기술 제품을 중심으로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공식 발표 없이 비공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기업들은 지방 정부나 관할 부처를 통해 개별적으로 통지를 받고 있다. 면제 대상 품목에는 의약품, 반도체, 항공기 엔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산 에탄에 대한 125% 수입 관세도 면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에탄은 석유화학 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원료로, 중국은 미국산 에탄 수입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중국이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145% 관세 철회를 요구하며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실용적인 대응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중국 당국은 관세로 인한 기업들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 정부는 외국 상공
[더지엠뉴스]중국 자동차 부품기업들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른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30일 중국 21스지징지바오다오(21世纪经济报道)와 후난르바오(湖南日报)에 따르면, 상하이·선전 증시에 상장된 중국 내 주요 자동차 부품 기업 212개 중 최소 36개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에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의 16.7%에 해당하며, 기술 집약 산업 간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는 흐름을 보여준다. 시장조사 기관은 전 세계 노동인구 34억 명 중 약 11.6%가 향후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대체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시장 규모가 100조 위안(약 1경 9,661조 원)에 이를 것이라 추산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이러한 잠재 수요에 대비해 기술·부품 설계 능력을 집중하고 있다. 대표 기업인 쥔성전자(均胜电子)는 ‘로봇의 뇌, 소뇌, 사지’ 등 세 가지 핵심 모듈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퉈푸그룹(拓普集团)은 완성형 구동 장치와 센서 시스템, 제어 기술을 통합한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이와 함께 훙휘지능로봇(鸿辉智能机器人) 등은 전기 모터와 관절 부위 핵심 부품의 정밀 생산 체계를 확보하며, 빠른 상용화 가능
[더지엠뉴스]올해 1분기 중국의 서비스 무역이 상품 무역보다 빠르게 성장하며, 경제구조 내 서비스업 비중 확대의 흐름을 뚜렷이 보여줬다. 30일 중국 정취안르바오(证券日报)와 징지관차왕(经济观察网)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올 1분기 서비스 무역 총액이 1조 9,741억 8,000만 위안(약 388조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 중 수출은 8,351억 5,000만 위안(약 164조 원)으로 12.2% 증가했으며, 수입은 1조 1,390억 3,000만 위안(약 224조 원)으로 6.2% 늘어났다. 수출 증가율이 수입보다 높아지며 서비스 무역의 구조적 개선 흐름도 병행됐다. 특히 지식집약형 서비스 부문은 1분기 총 7,524억 9,000만 위안(약 147조 원)으로 2.6% 증가했다. 그 중 기타 상업 서비스는 3,204억 8,000만 위안(약 63조 원), 통신·컴퓨터·정보 서비스는 2,623억 4,000만 위안(약 51조 원) 규모로 나타나 핵심 산업군으로 자리잡았다. 무역 전체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분야는 여행 서비스다. 총액은 5,849억 위안(약 115조 원)으로 21.8%의 급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국제 항
[더지엠뉴스]중국의 IT 제조업체 샤오미(小米, Xiaomi)가 인공지능 산업에서 존재감을 강화하고 있다. 30일 샤오미는 첫 오픈소스 기반 AI 추론모델 ‘미모(MiMo)’를 공개하며 AI 기술 주도권 확보 경쟁에 공식적으로 참전했다. 중국 계면신문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샤오미는 이번에 공개한 미모가 현재 시장에 공개된 다양한 오픈소스 AI 중에서도 성능이 우수하다고 밝혔다. 특히 오픈AI의 o1-미니, 알리바바(阿里巴巴, Alibaba)의 큐원(Qwen) 등을 벤치마크 대상으로 삼아, 자사 모델이 이들을 앞질렀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해당 모델은 추론 성능과 응답 정확도 등 여러 지표에서 우위를 보였으며, 알고리즘 최적화와 경량화 구조로 모바일 디바이스 적용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고 한다. 샤오미는 이날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2025년이라는 시점이 늦어 보일 수도 있지만, 우리는 범용 인공지능(AGI)이 장기전이라 믿는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최근 AI 시장에 집중된 기술 경쟁 흐름과 맞물려 이뤄졌다. 같은 주 알리바바는 큐원 3(Qwen 3)를 새로 선보였으며,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xAI도 다음 주 ‘그록(Grok
[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민영기업 발전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최초의 기본법을 제정하고, 시장 내 공정경쟁과 기업 권익 보호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30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에 따르면, 제14기 전인대 상무위원회 제15차 회의에서 ‘민영경제촉진법’이 통과됐으며, 이 법은 오는 5월 20일부터 정식 시행된다. 전체 9장 78조로 구성된 이 법은 총칙, 공정경쟁, 투자·금융 지원, 과학기술 혁신, 규범운영, 서비스 보장, 권익 보호, 법률 책임, 부칙 등 실질적인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민영경제촉진법은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민영경제 발전을 명시적으로 규율한 법률로, 그간 행정 명령이나 임시 정책에 의존했던 민영기업 지원 체계를 법제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법 제정 목적은 명확하다. 바로 민영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보호하고, 다양한 시장 주체가 평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제도적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법률의 핵심 중 하나는 공정경쟁 보장이다. 지방정부나 일부 국유부문에서 민영기업에 차별적 기준을 적용하거나 입찰·조달에서 배제하는 관행을 근절하기 위한 조항들이 다수 포함됐다. 이에 따라 향후 정부 조달, 시장 진입, 프로젝트 응찰 등에서 국유기업과 민영기업
[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5% 달성을 목표로 내세우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28일 관영 신화통신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고용과 경제 안정을 주제로 4개 부처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경제정책 방향을 공개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자오천신 부주임은 1분기 중국 경제에 대해 "내수 비중 확대와 정책 효과로 긍정적 신호가 뚜렷했다"고 평가했다. 자오 부주임은 중국이 다양한 정책 수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올해 경제 목표 달성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올해 중국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5% 내외의 성장률을 목표로 설정했으며, 1분기 성장률은 5.4%를 기록했다.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와 관련해 자오 부주임은 미국산 곡물과 에너지 수입 감소가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주장했다. 또 미국의 고율 관세가 유지될 경우, 수출기업의 대규모 실업 사태를 막기 위해 고용 안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인력자원사회보장부의 위자둥 부부장도 기업 지원을 강화해 고용을 유지하고, 실업자 창업을 독려하는 정책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중앙정부는 667억위안(약 13조원)
[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들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세금 환급 제도를 대폭 개편했다. 28일 중국 인민일보에 따르면 상무부는 재정부, 문화여유부, 해관총서, 세무총국, 중국민항국과 함께 외국인 관광객의 쇼핑 편의를 높이는 방안을 담은 새로운 통지를 발표했다. 이번 개정으로 세금 환급 대상 최소 구매 금액은 기존 500위안(약 10만원)에서 200위안(약 4만원)으로 크게 낮아졌다. 또한 환급 시 받을 수 있는 현금 한도 역시 종전 1만위안(약 200만원)에서 2만위안(약 4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중국 정부는 세금 환급이 가능한 상점과 품목도 확대하고, 환급 처리 서비스를 개선하는 등 외국인 소비자를 위한 다양한 편의 조치를 마련하기로 했다. 성추핑 중국 상무부 부부장은 "새로운 제도는 더 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중국을 방문해 쇼핑과 관광을 즐기도록 이끌 것"이라며 "중국 전통 상품과 새로운 중국식 트렌드를 세계에 알리는 데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속에서도 내수를 확장하려는 중국 정부의 노력과 맞물려 외국인 관광 시장을 더욱 활성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중국은 최근 외국인 대상 소비
[더지엠뉴스]중국의 대표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가 미국 엔비디아(NVIDIA)의 고성능 인공지능(AI) 칩 'H100'을 대체하기 위한 자체 칩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28일 중국 정부와 매체에 따르면, 화웨이는 이르면 5월 말 자사의 신형 AI 칩인 '어센드(Ascend) 910D' 샘플을 선보일 예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화웨이가 910D 개발 초기 단계에서 중국 기술 업체들과 협력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이번 신형 칩이 엔비디아 H100보다 성능이 우수할 것으로 화웨이 측이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화웨이는 앞서 '910B'와 '910C' 칩을 출시한 바 있으며, 910C는 910B 프로세서 두 개를 하나로 결합한 형태다. 로이터 통신은 화웨이가 910C 제품을 고객사에 이르면 5월부터 대량 공급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910C 샘플은 지난해 말부터 일부 기업에 제공되기 시작했으며, 이미 일정량이 납품 완료된 것으로 전해졌다. WSJ에 따르면 화웨이는 2025년 한 해 동안 중국 국영 통신사 및 바이트댄스(ByteDance)와 같은 민간 AI 기업에 910B와 910C 칩을 80만 개 이상 공급할 계획이다. 미국 정부는 엔
[더지엠뉴스]중국 국가통계국은 27일, 올해 1∼3월 동안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이윤 총액이 1조5천93억6천만위안(약 297조9천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해당 수치는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해 작년 -3.3% 감소에서 반등했다. '규모 이상' 기업은 연간 매출 2천만위안(약 40억원) 이상으로, 이익 총액은 제조업 수익성 변동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1∼2월 이윤 총액은 0.3% 감소했지만, 3월 한 달 동안은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국유기업 이윤 총액은 5천599억5천만위안(약 110조5천억원)으로 1.4% 줄었고, 민영기업 이윤 총액은 3천709억7천만위안(약 73조2천억원)으로 0.3% 감소했다. 외자기업과 홍콩·마카오·대만 투자기업은 3천883억5천만위안(약 76조6천억원)으로 2.8% 증가하며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다. 농식품 가공업 이윤은 40.3%, 비철금속 제련 및 압연가공업은 33.6%, 특수설비 제조업은 14.2% 각각 늘었다. 반면 화학원자재·화학제품 제조업 이윤은 0.4%, 석유·천연가스 채굴업 이윤은 3.1%, 자동차 제조업 이윤은 6.2% 각각 감소했다. 올해 1분기 총 매출은 32조1천400억위안(약 6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