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2015년 ‘중국 제조 2025(中国制造2025)’ 10년 전략계획을 발표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중국의 스마트 제조는 고속 성장기에 접어들었으며 뚜렷한 발전 성과를 거뒀다. 1) 제조업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스마트화 수준의 지속적인 향상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9월 기준 기업의 디지털화 연구개발 설계 툴 보급률과 핵심 공정의 수치 제어화율은 각각 69.3%와 49.5%에 달했다. 2) ‘인터넷+제조업'의 신모델 대거 등장 2019년 9월 기준 네트워크 협력, 서비스형 제조, 커스터마이징 제조를 진행한 기업의 비중은 각각 35.3%, 25.3%, 8.1% 수준이다. 3) 산업 인터넷 발전의 실질적 진전 산업 인터넷은 석유, 석화, 철강, 가전, 의류, 기계, 에너지 등 산업에 광범위하게 활용됐고 중국에서 산업 및 지역 영향력을 갖춘 산업 인터넷 플랫폼의 총수는 50개를 넘어섰고, 주요 플랫폼과 연결된 장비의 수는 평균 59만 대에 이르렀다. ■중국 스마트 제조 발전의 기회와 도전 1) 국가 차원 정부 차원에서는 국가와 지방 정부가 함께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하고 스마트 제조를 추진하고 있다. 2) 지방 차원 *중
[더지엠뉴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는 네트워크 제어 평면과 데이터 전송 평면을 분리해 네트워크의 프로그래밍화를 실현하는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가리킨다. 소프트웨어 정의 광역 네트워크(SD-WAN, Software-Defined Wide Area Network)는 SDN 기술과 광역 네트워크를 결합해 기업의 지역별 지점,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상호 연결하는 데 주로 활용된다. 또 MPLS, PON 광섬유, LTE, 5G 등 네트워크 기술을 동시 지원한다. ■경쟁 환경 및 제조사 사례 1) 산업체인 및 산업 지도 제조사의 사업 경향에 따라 소프트웨어형, 하드웨어형, 자원형 세 가지로 나눠진다. 사업 발전 과정에서, 세 가지 유형의 제조사 업무에는 모두 교차 중복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2) 제조사 경쟁 구도 현재 SDN 시장에서 하드웨어형 제조사의 시장 점유율은 약 61%이고, 자원형 제조사는 주로 운영사에 속하며, 현재 매출 점유율은 약 18%에 달한다. 세 유형의 제조사들은 상호 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설비형 제조사는 기타 두 유형의 제조사에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하고, 소프
[더지엠뉴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는 네트워크 제어 평면과 데이터 전송 평면을 분리해 네트워크의 프로그래밍화를 실현하는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가리킨다. 소프트웨어 정의 광역 네트워크(SD-WAN, Software-Defined Wide Area Network)는 SDN 기술과 광역 네트워크를 결합해 기업의 지역별 지점,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상호 연결하는 데 주로 활용된다. 또 MPLS, PON 광섬유, LTE, 5G 등 네트워크 기술을 동시 지원한다. 1) SDN 의 주요 응용 시나리오. *데이터 센터 데이터 센터는 현재 SDN의 핵심 응용 분야로, 약 4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금융, 정부, 에너지 등 대기업의 데이터 센터 관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캠퍼스 네트워크 스마트 캠퍼스, 대학 캠퍼스, 오피스 빌딩 등의 네트워크 관리 조정은 SDN 캠퍼스 네트워크 응용 시나리오에 부합한다. *SD-WAN 체인 편의점, 금융 지점, 주유소 등 다지점 응용 시나리오 커넥티드에 주로 활용되며, 약 35%의 비중을 차지한다. 2) 중국 SDN 시장 규모 2023년 중국
*[산업 트랜드 6-1]에서 이어집니다. 중국은 인공지능(AI)에 진심이다. 미국보다 다소 출발점이 늦기는 하지만, 정부의 전방위적인 지원 덕분에 AI 산업 발전 속도는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최근 개최된 중국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3중전회)에서 채택된 ‘과학기술 발전’ 결정은 이러한 추세에 고성능 연료를 집어넣은 모양새가 됐다. 아이루이리서치(艾瑞咨询研究院)에 따르면 2023년 중국 AI 산업 규모는 2137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2028년에 두 배가 넘는 811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5년 복합 성장률은 30.6% 수준이다. ■인공지능 기술 산업 현황 5) 인공지능 제품의 점진적인 응용 실현 자동화 및 인공지능의 사용 트랜드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각 업계의 운영 방식을 새롭게 재편해 나가고 있다. IBM이 발표한 ‘2023년 글로벌 AI 사용지수(2023年全球AI采用指数)’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IT, 네트워크 프로세스, 비즈니스 프로세스 등 업무 영역에서 AI 및 자동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개발, 인력 운영, 세일즈 마케팅, 고객 서비스 등 부서 직원들이 AI 기술을 광범위하게 사
[더지엠뉴스] 중국은 인공지능(AI)에 진심이다. 미국보다 다소 출발점이 늦기는 하지만, 정부의 전방위적인 지원 덕분에 AI 산업 발전 속도는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최근 개최된 중국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3중전회)에서 채택된 ‘과학기술 발전’ 결정은 이러한 추세에 고성능 연료를 집어넣은 형국이 됐다. 아이루이리서치(艾瑞咨询研究院)에 따르면 2023년 중국 AI 산업 규모는 2137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2028년에 두 배가 넘는 811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5년 복합 성장률은 30.6% 수준이다. ■인공지능 정책 및 자본 동향 2023년 생성형 AI는 인공지능 분야에 커다란 발전과 새로운 희망을 가져왔으며, 생성형 AI에 관한 정책도 신속하게 마련됐다. 또 데이터 및 컴퓨팅의 기반 공고화부터 생성형 AI의 표준화 가이드, 그리고 산업적 지원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정책들이 잇따라 발표됐다. AIGC(AI Generated Content) 개념이 화제를 모은 2023년, 시드 및 엔젤 투자가 다시 주류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중 약 40%의 투자가 2023년 신설된 AIGC 기업에 몰려들면서 AIGC 가 AI 산업의 새로운
1)국가 차원 -IMT-2030(6G) 업무팀을 통해 6G 기술의 연구 및 테스트를 가속화 -2023년에는 6G 기술 모집을 적극 진행 -시맨틱 커뮤니케이션(의미통신) 등 기초 기술, 신형 무선 기술, 신형 네트워크 기술 등 핵심 기술 500개 이상을 구축 -IMT-2030(6G) 업무팀은 또한 6G 핵심 기술 실험을 적극 추진 2)지방 정부 -베이징, 후베이, 쓰촨, 산둥에서는 미래산업의 배치를 제안 -베이징, 상하이, 장쑤에서는 6G 네트워크 아키텍처 등 핵심 기초기술의 개발을 제안 -허베이, 상하이, 저장, 광시에서 우주-공중 지상 통합 네트워크, 위성 통신 기술 혁신 -안후이, 허난, 푸젠, 산둥에서는 칩, 모듈 등 핵심 부품 및 컴포넌트 연구개발 강화 -또 베이징시(하이디뎬구·차오양구), 상하이시(푸동신구)는 6G 배치를 확고히 하고, 6G 기술 연구를 중점 추진 ■ 6G 기술 연구개발 가속화 추세 중국은 각국과 함께 6G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6G 핵심 기술 연구는 단계적 성과를 거뒀다. 우주-공중-지상 통합, 지능형 축약 네트워크(intellicise) 등 신형 네트워크 기술과 신형 네트워크 보안 기술을 중심으로 배치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트랜드 4-1]에서 이어집니다. - 5GRedCap 산업 글로벌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5GRedCap 은 이미 규모화 및 상업화의 조건을 갖췄다. 2023년 말 기준 글로벌 8개국 이상 12개 통신사에서 RedCap 기술 검증 또는 상업화 시범운영을 완료했다. 중국의 여러 도시에서 이미 시범 상업화 단계에 들어갔다. 또 통신사 3곳에선 이미 상하이, 항저우 등 10개 이상의 도시에서 RedCap 엔드 투 엔드 상업화 보급을 시작했고 산업, 전력, 차량커넥트 등 여러 산업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5GRedCap 산업이 빠르게 성숙화되면서 다양한 칩 제품과 30개 이상의 RedCap 단자 제품이 출시됐다. - 5G-A3CC, 규모화 상업화 적용 단계 진입 중국의 3대 메인 통신사는 설비 기업과 함께 5G-A3CC 규모화 상업화 시범 보급에 돌입했다. 테스트와 검증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으며, 규모화 네트워킹의 실행 가능성이 일부 테스트를 통해 검증됐다. 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은 화웨이와 함께 창사(长沙), 스자좡(石家庄) 등에서 5GA3CC(2.6GHz+4.9GHz) 기술을 활용해 5G-A 혁신 기술 모범구와 선행 시범구를 구축했고, 실측 하향 최고 속도는
[더지엠뉴스] 중국 시장은 글로벌 5G 시장 발전에 있어 중요한 기반적 역할을 하고 있다. 기지국 설치 현황을 보면 2023년에만 106.5만개를 증설했다. 이는 그해 글로벌 증설량의 69.5% 수준이다. 또 중국의 무선 설비 시장의 이익 비중은 글로벌의 32%로 1위를 기록했다. 5G 이용자 증가량의 경우 2023년 8.05억명에 달했다. 글로벌 5G 이용자 수의 51.3%로 세계 최대 시장이다. 5G 침투율로 따지면 글로벌 시장의 46.6%, 한국의 5G 39.1%를 차지한다. 인구 최대 대국 자리를 중국으로부터 넘겨받은 인도의 5G 이용자 수는 아직 1.3억명, 5G 침투율은 11%에 그친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지속적인 침체 상황인 가운데, 5G 스마트폰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을 보인다. 2023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11.74 억대(전년비 -4.2%)로, 지난 10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글로벌 5G 스마트폰 출하량은 7.16억대로 1년 전과 견줘 오히려 2.3% 늘었다.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61% 수준이다. 중국 시장만 놓고 보면 5G 스마트폰 출하량은 2.38억대다. 전년비 11.7% 증가했으며,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86.
■고체수소저장 관련 기업 현황 8)융안싱(永安行) 대표적인 제품은 수소 에너지 자전거다. 이 제품의 내부 수소 스틱에는 저압 고체 수소 기술이 사용됐다. 이 덕분에 안전하고 많은 양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으며 내부 균형 압력이 낮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현재 융안싱은 연간 5만대 규모의 소출력 연료전지 생산 라인과 연간 15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수소 에너지 자전거 생산 라인을 구축했다. 9)윈하이금속(云海金属) 윈하이금속은 상하이 교통대학, 충칭대학 등과 협력해 마그네슘 기반 고체수소저장 소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직은 연구개발 단계지만 추후 개발이 완료되는 대로 산업화 단계에 돌입할 예정이다. 10)메이진에너지(美锦能源) 메이진에너지의 지주 회사인 ‘페이츠(飞驰)자동차’는(지분의 42.67% 보유) 2019~2021년 글로벌 최초의 고체수소 연료전지 버스, 최초의 수소연료전지 견인차, 글로벌 최초의 고체수소 연료전지 냉장차 등을 잇따라 출시했다. VCU, FCU, BAT, 전동 모터 등 다양한 제어 기술은 물론 차체 및 차대, 신형 3대 전력 시스템 및 FCV, EV, HEV, PHEV 등 개발 제조 능력을 보유했으며 신재생 에너지 자동차 시스템의
■고체수소저장 관련 기업 현황 1) 허우푸(HOHPU CLEAN ENERGY GROUP) 현재 기업의 수소 에너지 사업으로는 수소 에너지 충전 장비, 수소 에너지 관련 공정 EPC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수소 에너지 충전 장비에는 수소 압축기, 액체 수소 진공관, 수소가스 질량유량계, 수소 충전기, 수소 노즐 등이 포함된다. 2021년 수소 충전 장비 매출은 8126만 위안에 달했다. 같은 해 기업은 유상증자를 통해 155억 위안의 자금을 조달해 차량용 저압 고체 수소 에너지 시스템 1만개, 대형 수소 에너지 저장 시스템 5000개, 소형 수소 에너지 저장 시스템 8000개 생산 라인을 구축했다. 2019년에는 쓰촨(四川)대학교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쓰촨대학교 측으로부터 ‘바나듐·티타늄 기반 수소저장합금 중간 테스트 공정 및 합금 제조 프로젝트’, ‘바나듐·티타늄 기반 수소 저장 합금 중간 테스트 공정 및’ 장비 연구 프로젝트’를 의뢰받아 기술 서비스와 후속 연구를 진행했다. 2022년의 경우 쓰촨대학교와 함께 ‘운남 전기과학원 2022년 태양전지 수소 에너지 변환 기술연구 및 설비 시범생산 프로젝트’에 선정됐다. 해당 프로젝트는 허우푸(厚普) 주식회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