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세그웨이나인봇(Segway-Ninebot, 九号公司)은 단거리 교통수단과 로봇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첨단 기술 기업으로, 나인봇(Ninebot)과 세그웨이(Segway)라는 두 개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2012년 중국 베이징에서 설립된 이 기업은 아시아태평양, 유럽, 아메리카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세계 100여 개 국가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베이징, 창저우, 선전, 항저우, 하이난뿐만 아니라 서울, 암스테르담, 파리, 바르셀로나, 시애틀, 로스앤젤레스 등 주요 도시에 자회사 및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세그웨이나인봇은 연구개발, 생산, 판매, 서비스까지 통합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기업으로, 총 4,148건의 글로벌 지재권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은 전동 이동수단, 로봇,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023년에는 ‘년도 브랜드 가치 전달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1월 18일에는 CCTV에서 ‘년도 혁신 모델’ 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세그웨이나인봇은 2020년 10월 29일 중국 증시 과학혁신판(科创板, 커촹반)에 상장되었으며, 'VIE+CDR 첫 주식'으로 주목을 받
사진=KIC중국 [더지엠뉴스] 중관춘산업정보화 QR 코드기술연구원(ZIIOT)이 글로벌 식별코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거두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원은 2018년 8월 1일 국제표준화기구(ISO), 유럽표준위원회(CEN), 국제자동인식 및 모바일기술협회(AIM) 등 3대 국제 기구의 승인을 받아 글로벌 코드 발행 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연구원은 ISO/IEC 15459 시리즈 국제 표준에 따라 MA 식별코드 시스템을 관리하며, 글로벌 루트 서비스 시스템과 등록 분석을 위한 최고 수준의 노드를 구축하여 전 세계에 코드를 발행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글로벌 루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산업별로 차별화된 코드를 발급해 각 분야의 디지털 신원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중관춘산업정보화 QR 코드기술연구원은 다양한 산업 분야와 협력하여 MA 식별코드 시스템을 확장하고 있다. 중국산업인터넷연구원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MA 산업 인터넷 루트 분석 노드를 구축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인터넷의 데이터 흐름과 관리가 보다 체계화됐다. 의료 분야에서도 눈에 띄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이 공인한 유일한 의료기기 식별코드(U
[더지엠뉴스] 베이징시가 기존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녹색 저탄소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베이징시 기존 데이터 센터 최적화 작업 계획(2024-2027년)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베이징시 경제정보화국, 발전개혁위원회, 통신관리국이 공동으로 제정했다. 이번 최적화 작업 계획은 데이터 센터의 전력 사용 효율(PUE)을 1.3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는 기존 평균 PUE인 1.5에서 2.0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로, 베이징시의 강력한 에너지 절감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계획에 따르면, 2024년부터 2027년까지 베이징 내 모든 데이터 센터는 단계적으로 에너지 절감 및 효율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노후 설비 교체, 고효율 냉각 시스템 도입, AI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설치 등이 주요 추진 과제로 포함됐다. 베이징시는 데이터 센터의 신재생 에너지 사용 비율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이를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원을 적극 도입하고, 에너지 저장 기술을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데이터 센터 운영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정책도 포함됐다. 에너지 절감 목표를 달성한 기업에는 세금 감면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가 외국인 독자병원의 설립과 운영을 확대하는 시범 사업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글로벌 의료 자원의 도입을 촉진하고 국내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외국인 독자병원은 중국의 기본 의료위생 및 건강법, 생물 안전법, 데이터 보안법, 의료 기관 관리 조례, 유전자 관리 조례 등의 규정에 따라 설립과 운영이 가능하다. 영리 및 비영리 병원 모두 설립이 허용되며, 종합병원, 전문병원, 재활전문병원은 설립할 수 있지만, 정신병원, 감염병 전문병원, 혈액질환 병원, 중의학병원, 소수민족 병원은 설립이 금지된다. 특히 병원 진료 과목 중 혈액 내과 등록이 금지되며, 장기이식, 보조 생식, 임산부 출산검진, 정신과 치료, 종양 세포 치료 등 특정 기술과 진료 사업도 허용되지 않는다. 외국인 의사와 홍콩, 마카오, 대만 지역의 전문 인력 고용은 허용되지만, 병원 전체 전문 기술 인력 중 중국 본토인의 비율이 50%를 초과해야 한다. 병원의 정보 관리 시스템은 중국 본토의 의료 서비스 감독 플랫폼과 연결해야 하며, 전자 진료기록 및 의료 장비 데이터 저장 서버는 반드시 중국 본토 내에 설치해야 한다. 중국 의료보험 관련 규
[더지엠뉴스]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이미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업계는 산업 형성기를 넘어 산업 확장기로 전환되면서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범용인공지능(AGI)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 공급망 구조의 개선, 다운스트림 응용 수요의 지속적인 확대에 힘입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첨단 제조 분야의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2025년 동 분야는 본격적인 투자 기회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 2020년 1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미국의 서비스업 직무 공석 수는 비(非)서비스업에 비해 증가량과 증가폭이 더 높았다. 제조업의 직무 공석 수는 팬데믹 이전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고, 전문 및 비즈니스 서비스, 교육 및 보건 서비스, 레저 및 숙박업 등 대면 서비스 산업의 직무 공석 수는 전체 증가율의 60% 가까운 영향을 미쳤다. 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BLS)의 2019년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가정 건강 및 개인 돌봄 보조원, 정신과 돌봄 종사자는 약 150만 명에 달하며,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수요는 산업화 초기 단계에서 15만 대, 중기 단계에서 44.9만 대,
[더지엠뉴스] 중국 자동차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생산국으로 자리 잡은 중국은 전기차 분야에서도 빠른 성장을 보이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중국의 2023년 승용차 판매량은 2,606만 대에 달했으며, 이 중 901만 대가 전기차였다. 이는 2022년 656만 대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로, 전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의 입지를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 특히,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 자동차 수출국으로 떠올랐다. 2023년 중국의 승용차 수출량은 414만 대로, 2021년 161만 대에서 급격히 증가했다. 중국 자동차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R&D) 투자와 현지 생산 확대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중국 기업의 글로벌 동력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37%에 달하며, 글로벌 100대 부품 기업 수는 2018년 6개에서 2024년 15개로 늘어났다. 이와 함께, 해외 공장 설립과 공급망 현지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중국 정부도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신에너
[더지엠뉴스] 중국 국가통계국, 과학기술부, 재정부가 공동 발표한 ‘2023년 전국 과학기술 비용 투입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연구개발(R&D) 비용은 33,357.1억 위안(약 6,270조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8.4% 증가한 수치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다. 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율(R&D 투입 강도)도 2.65%로 상승하며, 전년 대비 0.09%포인트 증가했다. 연구개발 인력 1인당 비용은 46.1만 위안(약 8,670만 원)에 달해 기술 인력에 대한 투자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활동별 현황 2023년 중국의 연구개발 투자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부문은 기초 연구였다. 기초 연구 비용은 2,259.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했다. 응용 연구 비용은 3,661.5억 위안(5.1% 증가), 실험 개발 비용은 27,436.5억 위안(8.5% 증가)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개발 비용에서 기초 연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6.77%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증가했으며, 응용 연구와 실험 개발 비중은 각각 11.0%와 82.2%를 차지했다. 연구개발 주체별 투자 기업이 연구개
[더지엠뉴스] 광저우가 중국의 주요 국가 중심 도시이자 글로벌 비즈니스 및 교류의 거점으로서, 외국인 투자 유치의 핵심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개혁개방 이후 외국 자본 유치 규모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며 중국 내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2023년 광저우의 세 개 국가급 경제기술 개발구역(황푸, 젠청, 난사)과 자유무역구에서 실제 활용된 외국인 투자액은 358억 3500만 위안으로, 이는 도시 총 투자액의 74.2%를 차지했다. 특히 난사 개발구는 2년 연속 전국 2위를 기록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화난미국상공회의소가 발표한 ‘화난 지역 경제 현황 특별 보고서’에 따르면, 광저우는 7년 연속 외국인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도시로 선정됐다. 또한 2023년 유니콘 기업 수가 가장 빠르게 증가한 중국 도시로 기록되었으며, 2024년 기준 24개의 글로벌 유니콘 기업이 자리 잡고 있다. 외자 기업은 광저우 전체 기업 수의 2%에 불과하지만, 전체 수출입 총액과 첨단 제조업 부가가치의 30~40%를 차지하며 경제 성장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산업별 투자 현황 광저우는 제조업 중심지로, 다양한 산업 클러스터를 통해 도시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더지엠뉴스]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와 데이터 분석 기업 엘스비어가 공동으로 ‘2024년 글로벌 상위 2% 최고 과학자 리스트’를 발표했다. 이 리스트는 전 세계 과학자들의 논문 수와 인용 수를 기반으로 종합 점수를 매겨 선정한 결과물로, 총 217,098명의 과학자가 포함되었다. 이번 발표에서 중국 출신 과학자는 10,687명으로, 전체의 4.92%를 차지하며 높은 연구 성과를 보였다. 리스트는 2024년 8월 1일 기준 스코퍼스(Scopus) 데이터를 반영했으며, H-지수, 공저자 수를 고려한 hm-지수, 논문 인용 수, 종합 지표(c-score) 등 다양한 평가 기준이 적용되었다. 칭화대학교, 중국 내 1위 차지 중국 대학 중에서는 칭화대학교가 가장 많은 연구자를 배출하며 1위를 기록했다. 칭화대 연구진은 인공지능, 양자 컴퓨팅, 신재생 에너지 등 첨단 과학 분야에서 글로벌 영향력을 갖춘 논문을 다수 발표하며 세계적 연구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칭화대는 ‘중국 특색, 세계 일류’라는 교육 이념을 기반으로 기초 연구와 응용 과학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고 있으며, 연구 성과를 산업화하는 데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저장대학교와 상하이교통대학교, 연구 혁신 주도
[더지엠뉴스] 밀켄연구소가 발표한 '2023~2024 중국 최고 성과 도시 지수'에서 항저우가 1위를 차지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고용 성장률, 평균 임금 성장률, 지역 GDP 성장률, 부동산 판매 면적 성장률, 대출 금액 성장률, 과학기술 공공 지출 성장률 등 15개 지표를 통해 도시의 성과를 평가했다. 보고서는 250개 중국 도시를 1, 2선 대도시 33개와 3선 중소도시 217개로 분류했다. 1, 2선 도시에서는 항저우, 우한, 지난, 창사, 청두가 상위 5위권을 차지했으며, 3선 도시에서는 단저우가 1위를 기록했다. 항저우는 2022년 8위에서 2023년 1위로 도약했으며, 허페이는 지난해 1위에서 7위로 하락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변화가 데이터 활용의 차이와 정책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항저우는 전자상거래와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경제 다각화를 이루며 선두를 차지했으며, 우한은 첨단 기술 산업으로 2위에 올랐다. 지난은 산업 다각화로 3위를 기록했고, 창사는 혁신 산업 육성으로 4위를 차지했다. 청두는 꾸준한 성장세로 5위를 유지했다. 도시 클러스터 측면에서는 장강 경제벨트와 청위시쿤 다이아몬드 경제권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