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중국의 산업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교육, 의료, 보안 등 분야의 수요가 크게 증가했고, 이는 중국 지능형 로봇 시장의 빠른 성장을 이끌었다. 2024년 지능형 로봇 산업의 시장 규모는 251억 달러, 연평균 성장률(CAGR)은 2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 산업 로봇, 서비스 로봇, 특수 로봇의 글로벌 시장 비중은 각각 50%, 35%, 24%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지능형 로봇 산업의 발전 특징 및 성과 ‘중국 로봇기술 및 산업 발전보고서(中国机器人技术与产业发展报告)’에 따르면 중국 지능형 로봇 우수 기업은 주로 징진지(베이징-톈진-허베이),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등 지역에 분포돼 있다. 징진지 지역은 강력한 과학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장강삼각주 지역의 전자정보 및 제조업은 기반이 양호하고 일찍부터 발전을 시작했으며, 주강삼각주 지역은 선도적인 제어 및 서보 시스템 기술과 유연한 금융 환경을 갖췄다. 중국의 거대한 시장 수요로 로봇 완제품 제조와 시스템 통합 관련 중국 로컬 기업들이 연이어 등장하고 있으며, 각 산업의 국산화 비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 및 특수 로봇 분야에서 중국산 완제품은 뚜렷
[더지엠뉴스] ‘치처즈쟈(汽车之家)’의 신에너지 배터리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1월~11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비 35% 증가한 680만 대를 넘어섰으며, 시장 침투율은 30% 이상의 수준을 유지했다. 또 올해 순수 전기 신에너지 시장 성장률은 20~30%로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미 순수 전기 자동차의 누적 판매량은 400만 대를 넘어섰고, 보유량은 1,400만 대를 초과했다. 신에너지 자동차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배터리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2023년 연말 주요 자동차 회사들은 연간 판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마케팅 강도를 높이고, 다양한 이벤트를 도입한 원인으로 신에너지 시장 발전은 좋은 발전 양상을 보였다. 이 가운데 순수 전기 승용차 판매는 100만 대에 달했으며 시장 성장률은 40%를 초과해 전체 신에너지 판매량의 70%를 차지했다. 승용차는 신에너지 순전기 자동차 시장의 주력 차종으로, 2023년 10월~11월 판매량은 60만 대 이상에 달했고, 시장 점유율은 60%를 넘어섰다 승용차 모델별로 보면 중국에서 현재 판매 중인 130종 이상의 승용차 모델 가운데 소형 및 중형차의 모
[더지엠뉴스] 최근 상하이, 선전, 저장(浙江)성 등 지역에서는 미래산업을 적극적으로 배치하여 발전 추진력을 강화하고 지역 경쟁 우위를 재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펑파이커지(澎湃科技)’는 전국 국내총생산(GDP) 상위 10위권 도시인 상하이, 베이징, 선전, 충칭(重庆), 광저우, 쑤저우(苏州), 청두(成都), 우한(武汉), 항저우, 난징(南京)의 미래산업 발전 정책을 정리하고, 각 도시가 중점적으로 배치하고 있는 미래산업에 관해 조사를 진행했다. 펑파이커지 조사 결과 각 지역별 핵심 산업은 표현 방식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 합성바이오, 인공지능, 신소재, 양자 기술, 심해 우주 개발, 뇌 묘사 인공지능(Brain-InspiredIntelligence) 등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아직 미래산업에 대한 통일된 정의가 존재하지 않으며, 규획 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배치하고 있는 미래산업이 도시별로 서로 다르다. 따라서 이번 조사에서는 도시 규획 과정에서 ‘미래산업’이라고 명시한 분야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사용 환경과 분류 기준의 차이로 인해 하나의 기술이 각기 다른 분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양자 정보기술의 경우 베
중국 주요 자동차 클러스터 (1) 베이징시 자동차 산업 클러스터 베이징시는 과학기술 발전의 최전선에 있는 도시로, 자동차 산업 또한 매우 중요시하는 산업 중 하나다. 다만 산업 클러스터는 도시 특성상 모두 변두리에 있으며, 현재 이좡경제개발구와 순의구에 집결돼 있다. 현재 이좡은 베이징시와 주변 도시 및 전국 자동차산업 투자의 핫플레이스로 뜨고 있다. 수년의 발전 끝에 벤츠, 베이치 신에너지(BAIC BJEV) 등 완성차 제조 기업을 필두로, 국가 신에너지 자동차 기술 혁신센터, 국가 스마트 커넥티드카 혁신센터, iAT 국가급 공업디자인센터 등 혁신형 연구개발(R&D) 기관이 대표적이다. 또 바이두 아폴로공원 자율주행기지, 샤오마즈싱(Pony.ai) 등 스마트 커넥티드 우수 기업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했다. (2) 상하이 자동차 클러스터 상하이(上海) 당국은 신에너지차 중심의 세계적 자동차 산업클러스터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상하이 자동차 산업은 중국의 국가 계획에 따라 신에너지차 제조업에 대한 외자 지분 제한 철폐를 가속화하고 세계 유명 외자 자동차 기업의 연구개발(R&D)센터 및 첨단 완성차 프로젝트를 유치하며 고성능 전자기
■중국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발전 현황 [더지엠뉴스] 중국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산업은 국가 산업 정책의 강력한 지원을 통해 중 완성차 제조, 배터리 기술, 자율 주행 등 핵심 산업체인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거뒀다. 하지만 향후 시장 확대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다. 2023년 중국의 인구 100명당 자동차 보유 대수는 24대임에도 신재생에너지 자동차의 보유 침투율이 아직 6%에 불과하다는 것이 근거다. 또 중국은 글로벌 자동차 산업 전환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했다. 중국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산업은 수년간의 발전을 통해 산업 체인의 여러 영역에서 시장 점유율 세계 1위를 차지하게 됐다. 1. 중국 자동차 수출 규모 2023년 중국 연간 자동차 수출은 491만 대로 처음으로 일본(442만 대)을 넘어서면서 글로벌 최대 자동차 수출국이 됐다. 그중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수출은 120만 대로, 78% 성장했다. 2. 배터리 시장에서의 중국 입지 삼전 시스템(三电, 전기배터리·전기모터·전력제어장치)은 신재생에너지 자동차의 핵심 부품으로, 이 가운데 배터리는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비용의 약 30%-40% 차지했다. 한국 SNEResearch 통계에 따르면 2023년
■ 중국의 스마트 제조 산업 체인 분석 1)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팩토리는 첨단 산업 및 제조업이 지향하는 대세의 흐름이며, 기업의 업그레이드 전환을 실현하는 최적의 루트다. - 2020 년 중국 스마트 팩토리의 시장 규모는 8560억 위안에 달했으며, 향후 몇 년간 중국 스마트 팩토리 산업은 계속해서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중국 스마트 팩토리 산업 시장 규모는 1.4조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 66%의 선도적인 스마트 팩토리 건설 투자 총 규모는 1억 위안을 초과하였으며, 45%의 스마트 팩토리 건설 프로젝트 자금 총투자는 1억~5억 위안에 집중돼 있다. - 1억 위안 이하의 프로젝트는 주로 스마트화 개조, 정보화 업그레이드, 산업 빅데이터 응용 등 단일 응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2020년 중국의 100대 '선도 스마트 팩토리'는 21개 성(省), 구(区), 시(市)에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중동부 및 연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 특히 장쑤, 산둥, 저장, 광둥 등 중점 지역은 전국에서 선도 스마트 팩토리가 가장 많이 분포된 지역으로, 규모 비중이 절반 이상에 달한다. 이들의 선도 스마트 팩
[더지엠뉴스] 2015년 ‘중국 제조 2025(中国制造2025)’ 10년 전략계획을 발표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중국의 스마트 제조는 고속 성장기에 접어들었으며 뚜렷한 발전 성과를 거뒀다. 1) 제조업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스마트화 수준의 지속적인 향상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9월 기준 기업의 디지털화 연구개발 설계 툴 보급률과 핵심 공정의 수치 제어화율은 각각 69.3%와 49.5%에 달했다. 2) ‘인터넷+제조업'의 신모델 대거 등장 2019년 9월 기준 네트워크 협력, 서비스형 제조, 커스터마이징 제조를 진행한 기업의 비중은 각각 35.3%, 25.3%, 8.1% 수준이다. 3) 산업 인터넷 발전의 실질적 진전 산업 인터넷은 석유, 석화, 철강, 가전, 의류, 기계, 에너지 등 산업에 광범위하게 활용됐고 중국에서 산업 및 지역 영향력을 갖춘 산업 인터넷 플랫폼의 총수는 50개를 넘어섰고, 주요 플랫폼과 연결된 장비의 수는 평균 59만 대에 이르렀다. ■중국 스마트 제조 발전의 기회와 도전 1) 국가 차원 정부 차원에서는 국가와 지방 정부가 함께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하고 스마트 제조를 추진하고 있다. 2) 지방 차원 *중
[더지엠뉴스] IT 쥐즈(桔子)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중국 신규발행시장의 사모펀드(PE) 융자는 2682건으로, 전년도 하반기 대비 1.56%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견줘서는 4.56% 늘었다. 또 총투자 추정 금액은 약 3745.77억 위안으로, 전년도 하반기 대비 1.64% 전년보다 2.35% 각각 확대됐다. 주로 첨단제조, 의료건강, 인공지능 등 5대 산업에 융자 금액의 80%가 집중됐다. 산업별는 첨단제조는 연속 5년 반 가장 인기 있는 투자 산업으로서(융자 총액 기준), 그 비중은 39.04%에 달했다. 의료건강의 융자 금액 비중은 2022년 상반기 17.86%에서 2023년 상반기 16.92%로 소폭 하락했다가 2024년 상반기 반등해 17.26%까지 비중이 늘었다. 인공지능, 기업 서비스 분야의 융자 거래액은 전체 가운데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2024년 상반기 각각 8.58%, 9.66%을 달성했다. 전자상거래 소매업의 융자 거래 비중은 3.95%이며, 기타 분야의 합계는 21.51% 수준이다. 2024년 상반기 중국 신규발행시장에서 가장 활발했던 투자 분야로는 집적회로, 바이오 테크 및 제약, 신재생 에너지, 신소재,
[더지엠뉴스] 쓰촨성 원장(温江)은 청두시 뉴타운 서쪽에 있다. 중국 쓰촨(四川) 자유무역시험구 협동개혁 선행구로서 ‘중국 국제화 경영환경 건설 시범구’, ‘중국 최고 투자 가치 도시’, ‘중국 최고 행복감 도시-살기 좋은 도시, 활력과 혁신의 도시, 기업가 행복도 최상의 도시’에 모두 선정됐다. 2023년 말 기준 원장구의 상주인구는 101만 1100명, 도시화율은 79.18%다. 2022년 원장구 지역 총생산(GDP)는 717억 11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원장은 경제 발전을 실물 경제에 집중해 ‘3+6’ 현대화 산업 시스템으로 의약 건강, 녹색식품, 현대도시농업 등 3개 랜드마크 산업의 육성을 촉진하고 장비 제조, 전자정보, 인쇄용 방적, 현대 비즈니스, 문화관광, 디지털 경제 등 6개 중점산업 및 미래 산업의 융합을 가속했다. 2022년 원장 1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23억 8,900만 위안으로 1년 전과 견줘 3.3% 상승, 2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260억 7,800만 위안으로 전년보다 4.1% 올랐다. 3차 산업의 부가가치가 432억 4,400만 위안으로 전년과 비교해 2.3% 확대됐다. 원장 국가 농업 과학기술단지(温江国家
[더지엠뉴스] 중국 국가펄스자기장과학센터(国家脉冲强磁场科学中心)는 펄스 자기장 과학, 기술, 응용 연구를 수행하는 국가급 대과학 플랫폼으로, 펄스 자기장 관련 국가 인프라의 구축과 운영 임무를 담당하고 있다. 해당 기관에서 소유하고 있는 펄스 자기장 시설은 중국 교육부가 직접 관리감독해서 건설한 최초의 국가 중대 과학기술 인프라로 물리, 화학, 소재, 바이오의학 등 다학제 분야 과학 연구를 위해 중요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국가펄스자기장과학센터는 2008년 4월 공식 착공에 돌입해 2013년 10월 완공됐다. 자성체, 전원, 제어, 측량 등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돼 있다. 또 50-94.8T 시리즈 펄스 자성체, 30.45MJ/25kV 커패시터 에너지 저장형, 100MJ/100MVA 펄스 발전기형 전원, 12.2GJ 축전지형 전원 및 정밀 시계열 제어 시스템을 구축해 극초단파(UHF), 평지붕 자기장, 중복 주파수 자기장 등 다양한 유형의 자기장을 구현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전기 운송, 자기 특성, 자기 광학, 전자 스핀 공명 등 8개의 과학 실험실과 저온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핵심 기술 지표는 세계적인 수준에 달한다. 운영현황 2023년 말 기준, 해당